OECD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최종 업데이트일2025. 3. 11.

조사 개요

  • 국제성인역량조사 사업의 주요산출물인 성인스킬조사(PIAAC)는 성인의 정보처리 스킬과 스킬활용, 경제적ㆍ비경제적 성과를 국제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조사로, 16~65세 성인을 대상으로 정보를 수집해 각국의 교육 및 훈련 정책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함
  • OECD에서 주관하는 국제 조사 사업으로, 국내에서는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두 부처에서 비용을 공동부담하고,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예산집행과 연구 지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프로젝트를 총괄하여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 2008년부터 2013년까지 1주기 조사를 마친 이후, 2주기 조사 사업은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이루어져 2024년 12월 PIAAC 2주기 주요 조사 결과와 데이터가 공표됨
PIAAC 2주기 조사 개요
대상 국가에 거주하는 만 16~65세 성인
평가 주기 10주년(1주기 2013년, 2주기 2024년 결과 공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주기 조사가 지연됨.
평가 방식

직접평가

  • 언어능력, 수리력, 적응력 문제해결력의 핵심 정보 처리스킬
  • 각 영역 0~500점 사이 점수 분포
  • 태블릿 기반 적응적 평가

배경 설문

  • 개인 특성과 배경, 교육훈련, 직장 이력 및 환경, 스킬 할용, 비경제적 성과, 사회·감정적 스킬 등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
표본 31개국 총 161,038명(평균 5,195명), 국내 6,198명
참여국(31개국)

OECD 회원국

  •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한민국, 덴마크, 독일,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미국, 벨기에(Flemish),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영국(잉글랜드),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이탈리아, 일본, 체크, 칠레, 캐나다,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OECD 비회원국

  • 싱가포르, 크로아티아

주요 자료

PIAAC 직접 평가의 프레임워크

언어능력 수리력 적응적 문제해결력
정의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고, 지식과 잠재력을 개발하며,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문서화된 글에 접근, 이해, 평가, 성찰하는 능력 사람의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수학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시된 수학적 내용, 정보, 아이디어에 접근하고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추론하는 능력 문제가 즉각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역동적인 상황에서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지적·메타인지적 과정을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다양한 정보 환경과 맥락에서 해결책에 적응하는 능력
인지적 과정
  • 글을 파악(정보찾기)
  • 글을 이해하고 평가
  • 상황을 수학적으로 접근·평가
  • 수학을 활용
  • 평가, 비판적 검토, 판단
  • 정의
  • 탐색
  • 적용
내용

글의 특징:

  • 유형(설명, 서술, 해설, 논증, 지시문, 거래)
  • 양식(연속, 비연속, 혼합)
  • 조직(정보의 양과 내용 펴현의 밀도, 글의 매체)
  • 자료출처(단일, 여러개)

수학적 내용 정보 및 아이디어

  • 양과 수
  • 공간과 형태
  • 변화와 관계
  • 데이터와 확률

수학적 표상

  • 텍스트와 상징
  • 물리적 대상의 이미지
  • 구조화된 정보
  • 동적 응용

과제의 차원

  • 문제 설정
  • 상황의 역동성
  • 환경의 특징
  • 정보 환경
맥락
  • 직장과 직업적 상황
  • 개인적 상황
  • 사회적, 시민으로서의 상황
  • 개인적 상황
  • 직장에서의 상황
  • 사회적, 공동체적 상황
  • 개인적 상황
  • 직장에서의 상황
  • 사회적, 공동체적 상황

자료: OECD(2021). The assessment of frameworks for Cycle 2 of PIAAC.

PIAAC 조사 실행 절차

대상자 기초조사→배경설문조사 or 약식조사→태블릿 사용법 안내→1단계:유형 배치문항(언어8개, 수리8개)→실패(경로1):기초능력조사→노력, 수행에 대한 자기 평가→사후 설문조사/성공(저득점,경로2): 기초능력조사→언어능력,수리력,적응력 문제해결력→노력, 수행에 대한 자기 평가→사후 설문조사/성공(고득점,경로3): 기초능력조사

자료: OECD(2023). Survey of Adult Skills - Reader's Companion.

PIAAC 주요 결과

[ PIAAC 2주기 참여국의 영역별 평균점수 국제비교 결과 ]

PIAAC 2주기 참여국의 영역별 평균점수 국제비교 결과/ 언어능력(평균점수/국가명): 260 OECD평균, 249 대한민국/ 수리력(평균점수/국가명):263 OECD평균, 253 대한민국/ 적능적 문제해결력(평균점수/국가명): 251 OECD평균, 238 대한민국

자료: OECD(2024). Do Adults Have the Skills They Need to Thrive in a Changing World?

그밖에 상세한 주요 결과는 아래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