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Korean Work Ethics
Author(s)
김기홍이지연정윤경
Publication Year
1999-12-31
Created
1999-12-31
Keyword
직업윤리
URI
https://www.krivet.re.kr:8443/repository/handle/201303/153
Other URL
https://www.krivet.re.kr/ku/da/kuBAAVw.jsp?gn=E1-E120130272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윤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인 직업윤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한국인의 직업윤리관 정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 더불어 건전한 직업윤리 확립을 위한 국가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대한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대해 전통·현대·미래 사회의 세 시대로 구분하여 각 시대마다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인의 직업윤리의 개선에 시사점을 주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에서 필요한 직업윤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직업윤리의 본질과 중요성을 알아보았고 둘째, 한국인 직업윤리의 실태와 문제점을 시대별, 즉 전통사회, 현대사회, 미래사회로 구분하여 파악하였으며, 셋째, 주요국이 지향하는 직업윤리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넷째, 한국인 직업윤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이와 더불어 전문가 협의회를 개최하여 연구의 질을 보완하였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대해 재조명하고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에서 한국인의 직업윤리 확립을 위한 직업윤리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establish the desirable work ethics of the Korean by reviewing the work ethics in Korea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desirable work ethics commensurate with the shift in the work environment in the upcoming 21st century.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 found out primarily the essence and the importance of work ethics and suggested the role model of Korean worker required in the work environment of 21st century, characterized a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Secondly, we diagnosed the factors that hamper the settlement of desirable work ethics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work ethics as far as the Korean are concerned. Third, we extracted practical lessons through analyzing the work ethics of the leading countries. Fourth, we grasped the point of improvements in the work ethics of the Korean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In addition, we enhanced the quality of this study with the help of a variety of seminars and expert committee.
...
Table Of Contents
연구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0

Ⅱ. 직업윤리의 본질 13
1. 직업윤리의 의미와 특성 13
2. 직업윤리에 관한 이론적 기초 27

Ⅲ.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실태와 의견 및 요구조사 분석 53
1. 전통사회에서 한국인의 직업윤리 54
2. 현대사회에서 한국인의 직업윤리 72
3. 미래사회에 대비한 한국인의 직업윤리 88
4. 직업윤리교육의 실태 125

Ⅳ. 주요국의 직업윤리 135
1. 일본의 직업윤리 135
2. 독일의 직업윤리 142
3. 미국의 직업윤리 148

Ⅴ. 한국인의 직업윤리 확립을 위한 개선 방안 155
1.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에서 직업윤리의 방향 155
2. 직업윤리 확립을 위한 개선 방안 163
3. 제언 175

참고문헌 179

Abstract 185

부 록 193
표/그림 목차
<표 Ⅰ- 1> 설문조사 내용 6
<표 Ⅰ- 2> 설문조사의 표본집단 대상 7
<표 Ⅰ- 3> 응답자들의 표본집단 특성 8
<표 Ⅱ- 1> 직업윤리의 구분 24
<표 Ⅱ- 2> Kohlberg의 도덕발달의 단계 34
<표 Ⅲ- 1> 현재와 비교한 전통사회의 봉사?책임?협동 정신의 정도 67
<표 Ⅲ- 2> 전통사회에서 직업윤리 형성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했던 요인 68
<표 Ⅲ- 3> 전통사회에서 직업윤리 형성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던 요인 69
<표 Ⅲ- 4> 전통 직업윤리중 개인의 차원에서 후세에게 강조되어야 할 점 70
<표 Ⅲ- 5> 전통 직업윤리 중 조직의 차원에서 후세에게 강조되어야 할 점 71
<표 Ⅲ- 6> 전통 직업윤리 중 국가의 차원에서 후세에게 강조되어야 할 점 72
<표 Ⅲ- 7> 직업윤리의 문제점 76
<표 Ⅲ- 8> 우리 사회의 총체적인 윤리의 후진성에 대한 동의 정도 81
<표 Ⅲ- 9> 현재 직업윤리 형성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 82
<표 Ⅲ-10> 현재 직업윤리 형성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요인 83
<표 Ⅲ-11> 현재 직업윤리와 관련하여 도덕적 문제가 심각한 집단 84
<표 Ⅲ-12> 직업윤리 관점에서 도덕적 문제가 심각하다고 보는 집단(2순위) 84
<표 Ⅲ-13> 직업윤리 중 개인의 차원에서 개선되어야할 점 85
<표 Ⅲ-14> 직업윤리 중 조직의 차원에서 개선되어야할 점 86
<표 Ⅲ-15> 직업윤리 차원에서 IMF 경제 위기의 원인 87
<표 Ⅲ-16> 각 전문가 집단이 보는 경제적 위기의 원인(2순위) 87
<표 Ⅲ-17> 21세기 직업환경의 변화 91
<표 Ⅲ-18> 지식기반 정보화사회가 요구하는 지식?능력?가치성향 92
<표 Ⅲ-19> 직업과 관련한 가치관의 변화 95
<표 Ⅲ-20> 21세기가 요구하는 한국인 상 100
<표 Ⅲ-21> 21세기에 더욱 직업윤리가 중요하리라는 의견에 동의 정도 118
<표 Ⅲ-22> 21세기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요인 119
<표 Ⅲ-23> 21세기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요인 120
<표 Ⅲ-24>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에서 중요하게 될 특수직업 윤리 120
<표 Ⅲ-25> 21세기에 개인의 차원에서 직업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 121
<표 Ⅲ-26> 21세기에 조직의 차원에서 직업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 123
<표 Ⅲ-27> 21세기에 조직의 차원에서 직업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 123
<표 Ⅲ-28> 21세기에 국가의 차원에서 직업윤리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 124
<표 Ⅲ-29> 직업윤리교육의 실태 127
<표 Ⅲ-30> 사회교육 기관의 직업윤리 교육의 실태에 대한 응답 경향과 전문가 집단간 관련성 128
<표 Ⅲ-31> 교육훈련기관에서 직업윤리교육의 의무화 129
<표 Ⅲ-32> 직장에서 직업윤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 130
<표 Ⅲ-33> 직업윤리교육의 문제점 130
<표 Ⅲ-34> 직업윤리교육의 문제점(1순위)과 각 전문가 집단의 응답경향 131
<표 Ⅲ-35> 직업윤리교육의 문제의 해결점 133
<표 Ⅲ-36> 21세기 직업윤리교육의 목표 133
<표 Ⅳ-1> 미국과 일본의 직업윤리 비교 150

〔그림 Ⅱ-1〕직업인이 가져야할 윤리적 범주 26
〔그림 Ⅱ-2〕사회화의 과정과 결과 38
〔그림 Ⅱ-3〕직업윤리교육이 가지는 사회적 목적 44
〔그림 Ⅱ-4〕윤리적 발달에서 인지적?경험적?환경적 요소의 변이 46
〔그림 Ⅱ-5〕귀납적 차원에서 직업윤리교육 48
〔그림 Ⅱ-6〕연역적 차원에서 직업윤리교육 50
〔그림 Ⅲ-1〕지식기반 정보화사회에서 중요한 윤리분야들 97
Publisher
한국직업능력개발원
Citation
김기홍 et al. (19991231). 한국인의 직업윤리에 관한 연구.
Type
Research Report
ISBN
89-8436-020-1 93190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Research Report) > I. 기본보고서 (1997~현재)
파일 목록

SNS Share

  • qrcode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