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사업 목표

최종 업데이트일2025. 1. 10

연구·사업 운영 방향

역동적 경제와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직업능력개발 연구 강화

  • 미래 대응 사회이동성 정책 연구 강화

    • 사회이동성제고를 위한 연구 강화
    • 미래 사회 대비 종합 연구 강화
    • 에너지 전환 분야 인재전략 연구
    • 저출생, 인구 및 지역 변화에 대응한 인적자원개발 연구 강화
    • 신기술분야 인력 전망 연구 강화
  • 산업전환·기업 경영 환경 변화 대응 인적자원개발 연구 강화

    • 디지털 전환 등 산업전환에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및 제도개선 연구 강화
    • 초기 경력자, 청년의 안정적 노동시장 이행과 적극적 성장을 지원하는 연구·사업 추진
    • 근로자 직무 능력 및 기업 성과 향상 촉진을 위한 연구·사업 강화
  • 미래 사회 변화 대응 대상별 직업교육 혁신 및 현장성 연구 강화

    • 직업교육의 미래 사회 변화 대응성 연구 강화
    • 중등 직업교육 현장성 제고 연구 강화
    • 중등 직업교육 내실화 연구 강화
    • 고등 단계 및 성인 대상 직업교육 혁신 연구 강화
  • 미래 노동시장 변화 대응 직무역량 및 자격체계 연구 강화

    • 인공지능 시대, 신산업분야 및 중소기업 맞춤형 직무능력 연구 수행
    • 신규 NCS 학습모듈 개발·개선 연구 수행
    • NCS 학습모듈 질 관리 및 활용성 제고 연구 수행
    • 국가자격 관련 기본계획 지원 및 교육훈련-자격-고용 연계 연구 강화
    • 민간자격 국가공인 조사 및 운영 체계화 연구 수행
    • 국가역량체계 구축 및 활성화 연구 수행
  • 전 생애 경력개발 지원 및 연구 강화

    • 미래사회 변화 대응 진로교육 연구강화
    • 진로교육 접근성확대를 위한 콘텐츠개발 및 운영지원
    • 국가진로교육 정보활용 및 사용자 맞춤 서비스 고도화
    • 데이터기반 진로교육 정책 및 진로결정 지원 강화
  •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및 K-TVET 성과 확산

    •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TVET 및 HR 분야 국제 동향 분석 및 선도
    • K-TVET 성과 홍보 및 확산
    • 구성원의 글로벌 역량 강화 및 직업교육훈련(TVET) 분야 국제 협력 지원
    • 개발도상국의 TVET 발전 협력

위 사항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중기 연구사업운영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매년 경영목표 추진 실적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될 수 있음.

연구사업 목표 콘텐츠 문의처
연구기획센터 · 044-415-5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