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한국교육고용패널

최종 업데이트일2025. 3. 19

KEEP 소개

  • 학교 → 노동시장 진입과정에 대한 자료 수집

    청소년이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기간 동안 진로와 고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학교생활, 가정생활, 여가생활, 진로, 근로 경험에 대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합니다.

  • 학교교육, 진로교육, 청년고용정책 수집에 활용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정책과 진로교육정책, 청년고용정책을 정교하게 수립하는 데 활용합니다.

  • 다음세대를 위한 교육 및 고용생태계 조성에 기여

    이렇게 만들어진 교육 및 고용 정책을 통해, 다음 세대가 자신의 적성과 흥미, 가치관에 맞는 진로를 선택하고 직업인으로서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18세~30세 청소년이 성인이 될 때 까지 다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립 학교교육, 진로교육, 청년고용 연구 및 정책 수립에 활용

조사연혁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 KEEP): 2004~2015

  • (목적)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자료 수집 및 구축
  • (대상) 2004년 1차년도 조사: 중학교 3학년 학생 코호트 2,000명,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코호트 4,000명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은 일반계 2,000명과 전문계 2,000명으로 구성

    ※ 1차년도 조사에서는 학부모, 담임 교사와 학교에 대한 조사도 실시

    ※ 2007년 4차년도 조사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코호트에 패널 1,495명 추가
    (전문계고 학생 951명, 외국어고 학생 272명, 과학고 학생 272명)

    ※ 2010년 7차년도 조사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코호트에 비교를 위한 보정패널(대졸자 남성) 757명 추가

    ※ 2019년 전체 패널을 대상으로 ‘청년층 노동시장 이행 추적 조사’라는 명칭으로 후속 조사 실시

    ※ 이용자 편의를 위한 Smart Keep 개발 및 Balanced Panel 구축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Ⅱ: KEEPⅡ): 2016~

  • (목적) 한국교육고용패널 후속 조사로 학교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 과정에 대한 체계적 자료 수집 및 구축
  • (대상) 2016년 1차년도 조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558명

    ※ 고교유형에 따른 구성은 일반고 5,393명, 자율고 550명, 특성화고 2,595명, 마이스터고 1,020명, 과학고 250명, 외국어/국제고 250명, 예술고 250명, 체육고 250명

    ※ 1차년도 조사에서는 학부모, 담임교사와 학교에 대한 조사도 실시

    ※ 2차년도 조사는 2018년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후 매년 학생 대상 조사 실시

KEEP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4,000명 - 전문계고 3학년:2,000명 일반계고 3학년:2,000명 / KEEP 중학교 코호트 2,000명 - 4차년도 추가패널 1,500명 전문계고, 외고, 과학고 등 / KEEP2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558명 - 일반고, 특성화고, 자율고, 특목고(과학고, 외국어고, 예술고, 체육고, 마이스터고 등) 그래프 정보

조사 대상 및 방식

조사 대상 및 방식 표
구분 조사 대상 조사 내용 조사 방식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 KEEP)
학생 고등학교 생활, 사교육, 학업성취, 진로, 재학 중 근로, 대학생활, 교육·훈련, 현장실습, 구직활동, 일자리 특성, 직장경력, 가정생활, 여가생활, 일반적 특성 등

· 1~3차: 면접조사(PDA, 활용)

· 4~12차: 면접조사(CAPI)

학부모 가족구성원, 교육환경, 문화생활, 보호자, 경제활동상태, 가구소득 등 배경변인

· 1~3차: 면접조사(PDA, 활용)

· 4차: 전화조사(CATI)

학교(행정) 학교 일반현황

· 1~3차: 면접조사(PDA, 활용)

· 4차: 웹조사

담임교사 학생평가 및 담임교사 일반사항

· 1~3차: 면접조사(PDA, 활용)

· 4차: 웹조사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Korea Employment Education PanelⅡ: KEEPⅡ)
학생 고등학생생활, 학습 및 사교육, 현장체험, 재학 중 근로경험, 대학생활, 대학 입학 준비, 교육훈련, 자격증, 구직활동, 일자리 유무, 일자리 지속 여부, 주된 일자리 특성, 취업 의사 및 준비, 경험 일자리(직장, 사업), 가정생활, 여가생활, 진로계획, 및 직업의식, 일반적 특성 등

· 1차: 집단면접(CAPI, PAPI)

· 2차 이후: 면접조사(CAPI)와 웹조사 병행

학부모 가구원, 교육환경, 문화생활, 보호자, 가구 소득 및 지출 등 배경변인

· 1차: 종이 설문(PAPI)

학교(행정) 학교 일반현황

· 1차: 종이 설문지(PAPI)

담임교사 학교평가, 학생평가, 담임교사 일반사항

· 1차: 종이 설문지(PAPI)

한국교육고용패널 콘텐츠 문의처
동향·데이터분석센터 · 044-415-383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