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산업의 자격 연구(Ⅱ) :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중심으로
Study on the Qualification of Service Industry(II): Focusing on Enterprise Service Sector and Distribution Service Sector
- 저자
- 박종성 주인중 정향진 김상호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0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0.31
- 등록일
-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서비스 산업자격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 4 제3절 연구 방법 6 제4절 연구의 한계점 11 제2장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산업 및 직업 현황 제1절 서비스 산업의 특징 및 중요성 15 제2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산업의 범위 및 중요성 21 제3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산업 현황 26 제4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의 직업 현황 37 제5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교육·훈련 현황 63 제6절 소결 및 시사점 82 제3장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제1절 자격제도의 개요 89 제2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 현황 및 분석 98 제3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의 활용성 분석 120 제4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의 문제점 157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69 제4장 국외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 및 직업 현황 제1절 한·미·일 자격제도 비교의 의의 177 제2절 미국의 자격 및 직업 현황 178 제3절 일본의 자격 및 직업 현황 216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242 제5장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 신규 수요 발굴 제1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의 신설 방향 279 제2절 신규 자격 발굴 절차 282 제3절 자격의 신설 기준 및 내용 289 제4절 신설 자격의 적합성 조사 293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301 제6장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의 개선 방향 제1절 기본 방향 307 제2절 기존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종목 개선 방향 309 제3절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자격 신설 및 운영 방향 321 제7장 정책 제언 제1절 기존 자격에 대한 개선 유도 방향 333 제2절 신규 자격종목 검토 방향 338 SUMMARY 345 참고문헌 347 부 록 353 2-1. 사업·배분 서비스 관련 한국표준산업분류(일부) 353 2-2 사업·배분 서비스 관련 한국표준직업분류(일부) 355 2-3 사업·배분 서비스 관련 한국고용직업분류(일부) 357 3-1 사업·배분 서비스업 자격종목 분류 359 4-1 사업·배분 서비스업 관련 미국 자격 개요(일부) 367 4-2 사업·배분 서비스업 관련 미국 직업 개요(일부) 370 4-3 사업·배분 서비스업 관련 일본 자격 개요(일부) 372 5-1 사업·배분 서비스업 분야별 설문지 374 6-1 사업·배분 서비스업 신규 자격 구축(안)(일부) 430
본 연구는 서비스 산업에 대한 자격 실태(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중심으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서비스 자격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개선하고,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서비스 분야 신규 자격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하위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에 대한 자격 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기존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자격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의 신규 자격종목을 발굴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for qualifications of existing business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and to derive newly required qualification items in the industry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mainly on the qualification status of the business and distribution service industry. ...
<표 1-1> 서비스 산업의 자격 연구 연차별 추진계획 5 <표 1-2> 설문 조사 내용 10 <표 2-1> 우리나라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분류 기준 21 <표 2-2>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의 사업체 변화 추이 27 <표 2-3>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사업체 수 28 <표 2-4>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의 종사자 변화 추이 30 <표 2-5>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종사자 수 32 <표 2-6>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매출액 34 <표 2-7> 배분 및 사업 서비스 분야의 실부가가치액 변화 35 <표 2-8>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산업별 고용 현황 39 <표 2-9> 사업 및 배분 서비스(대분류) 취업자 전망 41 <표 2-10> 사업 및 배분 서비스(중분류) 취업자 전망 43 <표 2-11>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표준직업분류 취업자 전망 45 <표 2-12>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고용직업분류 취업자 전망 47 <표 2-13> 사업 및 배분 서비스 산업․직업 취업자 전망 50 <표 2-14>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의 직무 체계 51 <표 2-15>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의 직무별 관련 자격 56 <표 2-16> 고교 졸업자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취업 현황 64 <표 2-17> 전문대 졸업자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취업 현황 65 <표 2-18> 대학교 졸업자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취업 현황 66 <표 2-19> 전문대 졸업자 전공별 사업․배분 서비스 취업 현황 67 <표 2-20> 사업․배분 서비스 전문대학 학과별 취업자 현황 70 <표 2-21> 대학 졸업자 전공별 사업․배분 서비스 취업 현황 72 <표 2-22> 사업․배분 서비스 관련 대학교 학과별 취업자 현황 75 <표 2-23> 사업․배분 서비스 분야 취업자 학력별 전공일치도 78 <표 2-24> 계좌제 훈련 직종별 참여 인원 현황 80 <표 2-25> 사업․배분 서비스 계좌제 훈련 직종별 참여인원 81 <표 3-1> 우리나라 자격구분 및 현황 91 <표 3-2> 주무부처별 국가자격의 종목 및 직종 93 <표 3-3> 연도별 국가공인 민간자격 공인현황 95 <표 3-4> 소관부처별 국가공인 신청 민간자격종목 수 96 <표 3-5> 서비스 산업 분야별 자격종목 수 98 <표 3-6> 국내 사업․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종목 유형 및 규모 99 <표 3-7> 사업․배분 서비스 분야 국가자격 합격자 현황 103 <표 3-8> 사업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 합격자 현황 106 <표 3-9> 배분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 합격자 현황 108 <표 3-10> 사업 서비스 분야 국가자격종목별 검정방법 112 <표 3-11> 배분 서비스 분야 국가자격종목별 검정방법 114 <표 3-12> 사업․배분 서비스 분야 검정실시기관별 자격종목 118 <표 3-13> 설문 조사 응답자의 특성 122 <표 3-14> 분야별 설문응답자의 특성 비교 123 <표 3-15>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의 활용성 평가 기준 125 <표 3-16>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국가자격의 활용도 비교 143 <표 3-17> 사업․배분 서비스업 국가기술자격의 활용도 비교 147 <표 3-18>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민간자격의 활용도 비교 151 <표 3-19> 자격의 시험과목 및 출제기준 개선주기의 적절성 153 <표 3-20> 영역별 자격의 보수교육 및 사후관리의 적절성 155 <표 3-21> 영역별 자격 활용 평가체계의 적절성 156 <표 3-22>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자격제도의 문제점 158 <표 3-23> 현장에서 활용성이 떨어지는 자격의 문제점 159 <표 4-1> 미국의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종목 182 <표 4-2> 미국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의 직업 분류 194 <표 4-3> 우리나라에 없는 미국의 자격종목 213 <표 4-4> 일본의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종목 218 <표 4-5> 일본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의 직업 분류 231 <표 4-6> 우리나라에 없는 일본의 자격종목 240 <표 4-7> 한․미․일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자격의 비교 245 <표 5-1> 사업 및 배분 서비스업 자격 신설 시 고려요인 280 <표 5-2> 신설 자격의 유형 282 <표 5-3> 신설 자격의 도출 근거 285 <표 5-4> 신설 자격의 직무내용 및 평가 지표 예시 288 <표 5-5> 신규 자격 신설 기준 및 내용 290 <표 5-6> 사업․배분 서비스 자격 신설 적합성 종합 평균비교 298 <표 5-7> 사업․배분 서비스 자격 신설 적합성 지표별 평균비교 299 <표 6-1> 그룹별로 발굴된 신규 자격종목 323 <표 6-2> 신규 자격종목의 국가자격 및 민간자격 구분(안) 325 <표 6-3>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자격 신설(안) 예시 328 <표 7-1> 신규 발굴 자격종목 338 [그림 1-1] 연구 단계별 추진 내용 7 [그림 3-1] 금융․보험․부동산․임대업 국가자격의 활용성 126 [그림 3-2] 금융․보험․부동산․임대업 민간자격의 활용성 127 [그림 3-3]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국가자격의 활용성 128 [그림 3-4]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국가기술자격 활용성 130 [그림 3-5]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민간자격의 활용성 130 [그림 3-6]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 국가자격 활용성 132 [그림 3-7]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 민간자격의 활용성 133 [그림 3-8] 운수업 분야 국가자격의 활용성① 135 [그림 3-9] 운수업 분야 국가자격의 활용성② 135 [그림 3-10] 운수업 분야 국가기술자격의 활용성 136 [그림 3-11] 운수업 분야 민간자격의 활용성 137 [그림 3-12]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국가자격의 활용성 138 [그림 3-13]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의 활용성 ① 139 [그림 3-14]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의 활용성 ② 140 [그림 3-15]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의 활용성 ③ 141 [그림 3-16]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의 활용성 ④ 142 [그림 3-17]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민간자격의 활용성 142 [그림 5-1] 신설 자격 도출 절차 283 [그림 5-2] 정보통신서비스 분야 신규 자격 평가 지표별 비교 294 [그림 5-3] 금융 및 부동산 분야 신규 자격 평가 지표별 비교 295 [그림 5-4] 전문․과학․기술 분야 신규 자격 평가 지표별 비교 296 [그림 5-5] 사업시설․지원 분야 신규 자격 평가 지표별 비교 296 [그림 5-6] 운수업 분야 신규 자격 평가 지표별 비교 297 [그림 6-1] 기존 자격종목 개선 기본 방향 308 [그림 6-2] 신규 자격종목 발굴 기본 방향 309 [그림 6-3] 사진기능사 자격의 개선 방향 310 [그림 6-4] 사진제판기능사 자격의 개선 방향 312 [그림 6-5] 비서 3급 자격의 개선 방향 313 [그림 6-6] 워드 2급/3급, 컴활 3급 자격의 개선 방향 315 [그림 6-7] 가맹거래사 자격의 개선 방향 316 [그림 6-8] 주택관리사보 자격의 개선 방향 317 [그림 6-9] 인쇄기사/산업기사/기능사 자격의 개선 방향 319 [그림 6-10] 영사 산업기사/기능사 자격의 개선 방향 320 [그림 6-11] 사업 및 배분 서비스 분야 신규 자격종목 제시 322 [그림 6-12] 자격종목의 신설 방향(예시) 32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서비스 산업의 자격 연구(Ⅱ) : 사업 및 배분서비스업 중심으로 | 2011.01.01~201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