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교 수 및 학생 수 변화 추이(1965~2010) 19
<표 2-2> 전공계열별 학생 수 증가율 25
<표 2-3> 대학원 유형별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세(1965~2010) 29
<표 2-4>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이(1965~2010) 34
<표 2-5> 기술대학 학교 수, 과정,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이(2000~2010) 41
<표 2-6> 전문대학 특성화 사업 사업비 규모(2004~2008) 47
<표 2-7> 산학협력 관련 사업의 통폐합(안) 53
<표 2-8> 학령인구 변화에 따른 대학입학 자원 수 변화 추이 전망 57
<표 2-9> 통ㆍ폐합 대학의 입학정원 감축 현황 61
<표 3-1> 4년제 대학 연평균 등록금 추정치(PPP달러, 2006~2007학년도) 75
<표 3-2> 전문대학의 성인입학자수 규모 전망 95
<표 3-3> 고등교육기관 변화 추이 102
<표 3-4> 산업별 명목산출량 비중 전망 109
<표 3-5> 산업별 고용비중 전망 111
<표 3-6> 산업별 취업자 연평균 증가율 전망 112
<표 3-7> 성별 교육수준별 인력수요 전망 113
<표 3-8> 산업별 인력수요 전망(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115
<표 3-9> 직업별 인력수요전망(한국고용직업분류) 116
<표 3-10> 직업별 인력수요전망(한국표준직업분류) 117
<표 3-11> 학력별 계열별 인력수급전망 118
<표 3-12> 산업구조변화 전망 시나리오 121
<표 3-13> 시나리오별 산업별 인력수요 전망(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122
<표 3-14> 시나리오별 직업별 인력수요전망(한국표준직업분류) 124
<표 3-15> 학력별 계열별 인력수급전망 125
<표 3-16> 고등교육에의 적용 가능 IT 관련 기술 139
<표 3-17> 전통적 교육체제와 유비쿼터스 학습체제 간의 비교 147
<표 3-18> IT 기술변화로 인한 고등교육체제 변화 시나리오 149
<표 3-19> 우리나라 고등교육 국제화 정책 내용 171
<표 3-20> 글로벌화 영향 요인 Matrix 178
<표 4-1> 핀란드 정부의 고등교육분야 재정지원(1995~2008) 200
<표 4-2> 대만 산학협력 프로그램(business and academy joint development program) 214
<표 4-3> 대만 기전대학 산학협력 실적 비교표 216
<표 4-4> 2010~2011년 대만 교육부 지원 연합기술발전센터 명단 218
<표 4-5> 미국 연방정부와 미시건주의 직업교육 프로그램 성과비교 257
<표 4-6> 5개국 고등교육체제 개편 주요 내용 요약 비교 265
<표 5-1> 고등교육체제 변화 전망 시나리오 1 286
<표 5-2> 고등교육체제 변화 전망 시나리오 2 298
<부록 표 1> 학령인구(18세인구)의 변화 추이 및 전망 337
<부록 표 2> 고졸자 대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상대임금(25~64세인구, 2008) 338
<부록 표 3> GDP 대비로 고등교육단계 민간교육지원 정부보조금 수준(%, 2007) 339
<부록 표 4>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 지출 중 학생에게 직접 지원하는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중(%, 2007) 340
<부록 표 5>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 지출 중 학생에 대한 재정지원 비중(직접 지원하는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및 교육기관에 지원하는 장학금 포함, %, 2007) 341
<부록 표 6> 소득10분위별 자녀의 대학진학률(2004) 341
<부록 표 7> 18세 학령인구 대비 대학입학자수 비율 추이(%) 342
<부록 표 8> 성인의 대학 정규과정 참여 비율 추이 342
<부록 표 9> 학령인구의 고등교육 취학률과 대학 신입생의 연령 분포 343
<부록 표 10> 대학재학 외국인 학생 수 추이(명) 343
<부록 표 11> 대학입학자원, 대학입학정원과 충원율 추정(외국인학생 미고려) 344
<부록 표 12> 시나리오1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345
<부록 표 13> 시나리오1에 따른 충원률 전망 346
<부록 표 14> 시나리오2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347
<부록 표 15> 시나리오2에 따른 충원률 전망 348
<부록 표 16> 시나리오3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349
<부록 표 17> 시나리오3에 따른 충원률 전망 350
<부록 표 18> 전체 대학 입학생 대비 전문대학 입학생 비율 추이 351
<부록 표 19>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충원율 전망1 352
<부록 표 20>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충원율 전망2 353
<부록 표 21> 지역별 충원율 전망 354
<부록 표 22> 고등교육 졸업률 국제비교(2008) 355
[그림 2-1]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교 수 변화 추이(1965~2010) 20
[그림 2-2]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생 수 변화 추이(1965~2010) 20
[그림 2-3]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교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21
[그림 2-4]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학생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21
[그림 2-5] 대학 전공계열별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이(1965~2010) 23
[그림 2-6] 4년제 대학 전공계열별 재적 학생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24
[그림 2-7] 사회계열 전공 분야별 학생 수 변화 추이(1999~2010) 26
[그림 2-8] 공학계열 전공 분야별 학생 수 변화 추이(1999~2010) 26
[그림 2-9] 대학원 유형별 재적 학생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28
[그림 2-10] 대학원 유형별 석사과정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이(1999~2010) 30
[그림 2-11] 대학원 유형별 박사과정 재적 학생 수 변화 추이(1999~2010) 30
[그림 2-12] 전문대학 전공계열별 학생 수 변화 추이(1965~2010) 31
[그림 2-13] 전문대학 전공계열별 학생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32
[그림 2-14]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재정 학생 수 비중 변화 추이(1965~2010) 34
[그림 3-1] 학령인구(18세인구)의 변화 추이 70
[그림 3-2] 고졸자 대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상대임금(25~64세인구, 2008) 72
[그림 3-3] 등록금 부담의 추이 74
[그림 3-4] GDP 대비로 고등교육단계 민간교육지원 정부보조금 수준(%, 2007) 74
[그림 3-5]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 지출 중 학생에게 직접 지원하는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비중(%, 2007) 76
[그림 3-6]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정부 지출 중 학생에 대한 재정지원 비중(직접 지원하는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및 교육기관에 지원하는 장학금 포함, %, 2007) 76
[그림 3-7] 소득10분위별 자녀의 대학진학률(2005학년도) 78
[그림 3-8] 18세 학령인구 대비 대학입학자수 비율 추이(%) 79
[그림 3-9] 성인의 대학 정규과정 참여 비율 추이 80
[그림 3-10] 학령인구의 고등교육 취학률과 대학 신입생의 연령 분포 82
[그림 3-11] 대학재학 외국인 학생 수 추이(명) 83
[그림 3-12] 대학입학자원, 대학입학정원과 충원율 추정(외국인 학생 미고려) 84
[그림 3-13] 시나리오1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86
[그림 3-14] 시나리오1에 따른 충원률 전망 86
[그림 3-15] 시나리오2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87
[그림 3-16] 시나리오2에 따른 충원률 전망 87
[그림 3-17] 시나리오3에 따른 외국인 입학생 수 전망 88
[그림 3-18] 시나리오3에 따른 충원률 전망 88
[그림 3-19] 전체 대학 입학생 대비 전문대학 입학생 비율 추이 89
[그림 3-20]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충원율 전망1 91
[그림 3-21]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의 충원율 전망2 92
[그림 3-22] 지역별 충원율 전망 93
[그림 3-23] 고등교육 졸업률 국제비교(2008) 96
[그림 3-24] 산업별 취업자 비중 100
[그림 3-25] 직업별 취업자 비중 101
[그림 3-26] 학교급별 학생 수 변화추이 102
[그림 3-27] 제조업 및 서비스업 명목부가가치 비중 추이 104
[그림 3-28] OECD 산업분류에 따른 제조업 구조변화 추이 105
[그림 3-29] 경공업과 중화학공업의 제조업 취업자 비중 106
[그림 3-30] 서비스업 주요 취업자 비중 106
[그림 3-31] 권역별 대학e-러닝지원센터 연도별 구축 현황 131
[그림 3-32] Cloud Computing System 136
[그림 3-33] 다양한 모바일 장치 140
[그림 3-34]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 기본계획 얼개(2007) 169
[그림 3-35]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 정책 추진 과제(2007) 170
[그림 3-36] 한국 고등교육 글로벌화 요인 간 관계 177
[그림 4-1] 핀란드 교육 제도 199
[그림 4-2] 비전 2020에 따른 전국 대학 수 변화 202
[그림 4-3] 대만의 고등교육 시스템 211
[그림 4-4] 영국의 학제 229
[그림 4-5] 영국의 수요 중심 직업교육 기본 구조 231
[그림 4-6] 일본의 학제 242
[그림 4-7] 미국의 교육시스템 254
[그림 5-1] Vincent-Lancrin의 미래 고등교육 시나리오 274
[그림 5-2] 정책환경 변인과 고등교육 모습 변화 290
[그림 5-3]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 미래 시나리오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