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 교육훈련 전이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Current Transferral Conditions on Education and Training in Businesses and a Study on the Improvement
저자
박윤희 장주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0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5.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교육교육훈련 전이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 문제	6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제4절 연구의 의의와 제한 및 용어의 정의	23
제2장 문헌 분석 25
   제1절 교육훈련 전이의 개념	27
   제2절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제3절 교육훈련 단계별 전이 촉진 활동	39
제3장 기업 교육훈련 전이 실태 및 사례분석 45
   제1절 교육훈련 전이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47
   제2절 교육훈련 전이 실태에 관한 심층면담조사 결과	71
   제3절 교육훈련 전이 관리 및 측정 사례분석	72
   제4절 요약	117
제4장 기업 교육훈련 전이 영향 요인 분석 119
   제1절 응답자 특성 및 조사도구의 검증	121
   제2절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 요인: 전이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129
   제3절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 요인: 전이에 대한 상사의 인식	139
   제4절 근로자와 상사의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인식 차이	147
제5장 기업 교육훈련 전이 개선 방안 153
   제1절 교육훈련 전이 개선 방향	155
   제2절 교육훈련 전이 개선을 위한 추진 과제	157
SUMMARY 161
참고문헌 165
부    록 179
   <부록 1> 교육담당자용 설문지	181
   <부록 2> 근로자용 설문지	187
   <부록 3> 교육담당자 및 근로자 심층면담 조사 결과	195
  교육훈련의 최종 목표는 교육훈련 이수자가 교육훈련을 통해 배운 내용을 직무현장으로 돌아가 실제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데 있다. 교육훈련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교육훈련 이수자가 일터로 돌아가 적용하지 않는다면 교육훈련 참여의 의미가 없으므로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는 교육훈련 결과의 유효성(effectiveness) 측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기업 현장에서는 교육훈련의 실시 그 자체에 노력을 기울이는 반면, 근로자들이 교육훈련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능 등 업무현장에서 어느 정도로 적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 of training)’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쏟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정부에서도 정부 지원 사업으로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 실시를 지원하고 있으나, 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 또는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원과 관심은 부족한 상황이다. 기업의 근로자 교육훈련에 대한 시간적·재정적 투자가 헛되지 않고 근로자 직무능력향상 및 조직의 성과 향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전이의 실태분석을 바탕으로 전이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의 교육훈련 전이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전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To address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literature on transfer of learning. Second, the status of transfer of learning in companie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actitioners as well as employees. The case studies on three companies were also carried out to examine how they manage and assess the transfer of learning after implementing training for employees. Third, the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affect the transfer of learning for employees. More specifically, the transfer was measured both by employee's perception and by employee's immediate boss as distinguishable dyad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transfer of learning in companies. ...
<표 1-1> 교육담당자 표집	14
<표 1-2> 근로자 표집	15
<표 1-3> 교육담당자 조사 내용	17
<표 1-4> 근로자 조사 내용	19
<표 1-5> 자료의 배포 및 수집	20
<표 1-6> 심층 면담 현황표	21
<표 2-1> 교육훈련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	32
<표 2-2> 교육훈련 전이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	37
<표 2-3> 시간 및 교육훈련 관계자에 따른 3×3 매트릭스	42
<표 2-4> 문헌 분석을 통한 교육훈련 전이 촉진을 위한 교육훈련 단계별 활동	43
<표 3-1> 교육담당자 일반 현황	48
<표 3-2>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 인식	49
<표 3-3> 교육훈련 이수 후 현업적용도 측정 필요성	50
<표 3-4> 경영진의 직원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관심도	51
<표 3-5> 직원들의 교육훈련 전이 수준	52
<표 3-6> 교육훈련 전이 측정 여부	54
<표 3-7> 직원 교육훈련 전이 측정 방법(중복응답)	55
<표 3-8> 직원 교육훈련 전이를 측정하지 않는 이유(중복응답)	57
<표 3-9> 직원 교육훈련 전이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중복응답)	59
<표 3-10> 직무교육 프로그램 실시 기간	61
<표 3-11> 공통교육 프로그램 실시 기간	62
<표 3-12> 직무교육 프로그램 종료 시기	64
<표 3-13> 공통교육 프로그램 종료 시기	65
<표 3-14> 교육훈련 단계별 활동 정도	66
<표 3-15> 교육훈련 전이 관련 활동의 정도	67
<표 3-16> 실시 교육 유형에 따른 전이 활동 수준 비교	69
<표 3-17> 업종에 따른 전이 활동 수준 비교	70
<표 3-18> 기업 규모에 따른 전이 활동 수준 비교	70
<표 3-19> 상반기 교육 시간 계획 및 주요 내용	80
<표 3-20> 하반기 교육 시간계획 및 주요 내용	83
<표 3-21> 교육훈련 단계적 시행	92
<표 3-22> CBC 기반의 교육체계 수립 프로세스	100
<표 3-23> 본 교육프로그램의 학습전이 극대화 활동	109
<표 4-1> 응답 근로자의 특성	122
<표 4-2> 변수의 신뢰도	124
<표 4-3> 개인특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및 요인의 신뢰도	125
<표 4-4> 교육훈련 설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및 요인의 신뢰도	126
<표 4-5> 조직환경 특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및 요인의 신뢰도	127
<표 4-6> 연구 변인별 평균 및 표준편차와 변인 간 상관관계	128
<표 4-7> 현업적용도(교육생)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30
<표 4-8> 현업적용도(교육생)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중소기업)	132
<표 4-9> 현업적용도(교육생)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중견기업, 대기업)	134
<표 4-10> 현업적용도(교육생)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공통교육)	136
<표 4-11> 현업적용도(교육생)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직무교육)	138
<표 4-12> 현업적용도(상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140
<표 4-13> 현업적용도(상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중소기업)	142
<표 4-14> 현업적용도(상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중견기업, 대기업)	143
<표 4-15> 현업적용도(상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공통교육)	145
<표 4-16> 현업적용도(상사)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직무교육)	146
<표 4-17> 현업적용도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상사의 인식 비교(전체)	148
<표 4-18> 현업적용도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상사의 인식 비교(중소기업)	148
<표 4-19> 현업적용도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상사의 인식 비교(중견 또는 대기업)	149
<표 4-20> 현업적용도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상사의 인식 비교(공통교육)	150
<표 4-21> 현업적용도에 대한 교육생의 인식과 상사의 인식 비교(직무교육)	150
[그림 1-1]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0
[그림 1-2] 사례연구를 위한 분석 틀	22
[그림 2-1] 기업 교육훈련 전이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모형	39
[그림 2-2] 교육훈련 전이의 단계별 장애 요인	40
[그림 3-1] 액션플랜 도출 양식	81
[그림 3-2] 2011 경영기술교육원 교육 서비스	99
[그림 3-3] 6 BOX Model	103
[그림 3-4] 6 boxes 긍정적 행동 영향 요인	103
[그림 3-5] Carl Binder의 ‘6 Box Model’	104
[그림 5-1] 기업 교육훈련 전이 개선 방향	156
[그림 5-2] 교육훈련 전이 개선을 위한 추진 과제	15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 교육훈련 전이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