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학융합단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Industry-Academia Merged Complex Model for Creation of Jobs for Youth
저자
박동 옥준필 박철우 나영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산학융합단지청년일자리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2장 산학융합단지 관련 이론적 논의와 유형 11
제1절 산학융합단지의 개념과 조건 13
제2절 산학융합단지의 주요 유형 18
제3장 국내 산학융합단지 사례분석 25
제1절 서울디지털단지: 산업단지 이주형 27
제2절 시화 반월 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 내 입주형 42
제3절 대구 경북권 산업단지: 혼합형 59
제4절 대덕테크노밸리: 산업단지 이주형 72
제5절 광주첨단국가산업단지: 산업단지 이주형 91
제4장 국내 산학융합단지 관련 설문조사 분석 105
제1절 조사개요 107
제2절 실태조사 분석 결과 111
제3절 산학융합단지 내 산학협력 결정요인 분석 결과 136
제4절 분석의 시사점 140
제5장 주요국 산학융합단지의 고용연계 모형 분석 145
제1절 미국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 대학연합형 과학단지 모델 147
제2절 스웨덴의 산학융합 모델: IT대학과 샬머시공대 사례 154
제3절 핀란드의 산학일체형 모델: 알토대학 사례 166
제6장 한국형 산학융합단지 모형과 정책과제 173
제1절 한국형 산학융합단지 모형 예시 175
제2절 대학 산업체 차원의 정책과제 180
제3절 정부 차원의 정책과제 184
SUMMARY 187
참고문헌 191
부  록 195
1. 설문조사지(대학관계자용) 197
2. 설문조사지(산업체관계자용) 203
 본 연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주제를 주요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다. 
 첫째, 기존의 산학협력과 구분되는 산학융합의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산학융합의 개념은 널리 알려진 일반화된 개념이 아니다. 이는 기존의 네트워킹에만 의존하는 산학협력 방식을 벗어나 ‘집단적 학습(collective learning)’이 필요한 단계로의 진화가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새롭게 제시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개념에 대해 이론적 논의를 통해 보다 명확한 용어의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 산업단지와 대학 간 산학융합의 실태를 현장조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전국의 5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산업단지별 산학융합 유형 및 특징을 제시하고, 산학융합을 통한 고용연계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들 산업단지에는 지역 대학들이 내부에 입지하거나 또는 대학의 일부가 이전하는 등 산학 간 융합을 위해 다양한 방식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각 유형들이 갖는 특징과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산학융합단지를 조기에 활성화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국의 산업단지와 대학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에서 산학융합의 현 실태와 활성화를 위한 조건, 장애요인, 정책방안 등을 모색하였다. 설문조사는 산업체와 대학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특히 산업체의 경우 기업의 기술수준, 기업부설 연구소 등 연구개발 관련 사항, 대학과의 지리적 근접성, 산학연계와 관련된 사항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넷째, 주요국의 산학융합단지를 통한 청년층의 고용연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모형의 우리나라에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별도의 해외출장을 실시하지 않고 그동안 축적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해외사례들의 특장점들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한국형 산학융합단지를 통한 청년층의 고용연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대학과 산업체는 물론이고, 정부차원에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n available model and policy tasks for industry-academia convergence as one of alternatives for the creation of youth jobs. Korea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mmission(NSTC) adopted an agenda, 'Advanced Measures for Industry-academia-institute Cooperation', to invigorate systematic and regular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2010. Accordingly it was required to examine new ways of relations among the parties of collaboration. ...
<표 1-1> 산학융합단지 모형 개발 연구의 세부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9
<표 2-1> 기존 산학협력과 산학융합의 개념 구분	17
<표 3-1> 서울디지털산업단지 주요 변화상	29
<표 3-2> 서울디지털산업단지 내 첨단산업 현황	30
<표 3-3> 서울디지털산업단지 고용현황(2010)	39
<표 3-4> 시화․반월 산업단지 내 주요 업종별 현황	45
<표 3-5> 산학협력 희망분야 수요조사	47
<표 3-6> 영진전문대학의 산업단지 내 취업률 현황	67
<표 3-7> 재학생 및 교수의 창업 현황	87
<표 3-8> 창업대학원의 창업 현황	87
<표 3-9>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의 운영 현황	88
<표 3-10>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의 일반 현황	95
<표 3-11> 광주첨단과학산업단지의 산업별 비중	95
<표 4-1> 응답자 표본의 특성	109
<표 4-2> 연구개발투자 증감 예상에 따른 대학과의 협력정도	112
<표 4-3> R&D 투자규모정도에 따른 협력정도	113
<표 4-4> 연구개발비 수주처에 따른 협력정도	115
<표 4-5> 연구개발활동 수행정도에 따른 협력정도	117
<표 4-6> 가장 인접한 대학(산업체)과의 시간거리에 따른 협력정도	119
<표 4-7> 인근 대학(산업체)관계자들과의 접촉빈도에 따른 협력정도	121
<표 4-8> 대학(산업체)관계자들과의 접촉 시 주된 내용	123
<표 4-9> 인근 대학(산업체)로부터의 지원여부에 따른 협력정도	124
<표 4-10> 산학 간 지리적 접근성 중요도 인식에 따른 협력정도	126
<표 4-11> 인턴십에 관한 인식	128
<표 4-12> 인력충원 및 졸업생의 현장성 정도에 대한 인식	130
<표 4-13> 대학(산업체)관계자들과의 협력목적	132
<표 4-14> 대학(산업체)관계자들과의 협력 애로사항	133
<표 4-15> 대학 및 산업체 상호 수요 반영 정도에 따른 협력정도	135
<표 4-16> 산학협력 결정요인 분석 결과	138
<표 5-1> 알토대학의 설립 이후 현황	169
[그림 2-1] 클러스터의 산학융합 진화단계에 따른 유형 구분	15
[그림 2-2] 물리적 연계도 및 고용연계 정도에 따른 산학 융합단지 유형  	19
[그림 3-1] 서울디지털단지 입주기업과 대학 등을 연계한 취업정보망	36
[그림 3-2] G밸리 산학협력연계센터 조직도	38
[그림 3-3] 시화반월 산학융합단지 모형	43
[그림 3-4] 시화․반월 국가산업단지의 위치도	44
[그림 3-5] 한밭대학교의 대덕테크노밸리 산학융합캠퍼스 입지	73
[그림 3-6] 한밭대학교의 대덕테크노밸리 산학융합캠퍼스 모델	75
[그림 3-7] 한밭대학교의 산학융합을 위한 다빈치 프로젝트 추진체계	77
[그림 3-8] 현장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단계별 주요 교육과정	81
[그림 3-9] 최근 3년간 특성화학부의 지역별 취업현황	84
[그림 3-10] 산업단지 캠퍼스 내 이전 학과별 취업현황	85
[그림 3-11] 조선대학교 산단캠퍼스의 인력양성 방향	93
[그림 3-12] 금형산업과 지역주력산업의 인력공급 체계	99
[그림 3-13] 산학융합연구실의 기술개발 진행절차	102
[그림 5-1] 리서치트라이앵글파크의 대학연합형 과학단지 모델	148
[그림 5-2] 스웨덴 시스타 과학단지의 산학융합 개념도	155
[그림 5-3] 오타니에미 과학단지의 산학융합형 창업 네트워크	167
[그림 6-1] 한국형 산학융합단지 모형 예시	176
[그림 6-2] 지식경제부의 산학융합지구 사업 개념도	17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학융합단지 모형 개발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