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업 내부노동시장과 숙련: 생산기능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Internal Labor Markets and a Semi-skilled Worker at Manufacture Industry
저자
김미란 류기락 오석영 노용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4.15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분석틀 8 
제2장 기업의 고용관행과 내부노동시장의 변화 15 
  제1절 서론 17 
  제2절 숙련수요 변화와 고용체제 개편 18 
  제3절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숙련친화성 26 
  제4절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구조변화에 대한 전망 35 
  제5절 요약 및 정책제언 48 
제3장 기업의 보상체계와 내부노동시장 55 
  제1절 들어가는 말 57 
  제2절 이론적 논의 61 
  제3절 기업보상체계의 최근 변화: WPS자료 분석 69 
  제4절 보상체계와 노동조합의 성격 변화 85 
  제5절 소결 97 
제4장 작업조직의 변화와 내부노동시장 99
  제1절 들어가는 말 103 
  제2절 이론적 논의 105 
  제3절 작업조직과 내부노동시장 현황: WPS 자료의 분석 119 
  제4절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작업조직의 변화, 그리고 숙련 요건의 변화 131 
  제5절 소결 148 
제5장 기업 내 교육훈련 참여와 숙련형성 153
  제1절 문제제기 및 이론적 논의 157 
  제2절 학습 형태에 따른 훈련참여 현황: 학력 간 비교 166 
  제3절 학습을 통한 숙련형성과 성과향상: 학력 간 비교 174 
  제4절 학습 형태와 숙련형성: 사례연구 183 
  제5절 요약 및 소결 196 
제6장 결론: 정책적 시사점 201 
SUMMARY 215 
참고문헌 219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생산기능직 근로자의 안정된 고용관계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 내부노동시장의 구성요소인 기업 고용관행과 보상체계, 그리고 작업장 조직과 근로자의 숙련형성 메카니즘에 대해 이론 및 실증분석과 함께 사례연구를 통해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구조와 기능적 유연화 변화 방향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생산기능인력이 숙련기능인력으로 성장하며, 장기적으로 직업경력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기업과 정부의 인력정책에 대해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ospects for the employment system and firm-internal labor markets(FILM) and investigates the three main aspects on the FILM, i.e. making the wage system more flexible, workplace innov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and skill formation of craft-workers.  In doing so, it aims to suggest that directives the firm and government should go in personnel management and manpower policies.
...
<표 2-1> 산업별 취업계수와 고용탄성치	19
<표 2-2> 연봉제 도입추세	23
<표 2-3> 성과배분제 도입추세	24
<표 2-4> 비정규직 임금 추이	28
<표 2-5>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 추이(2006~2009)	28
<표 2-6> 고용형태별 근속기간 추이	31
<표 2-7> 조선업계 생산직 인력구조의 변화	33
<표 2-8> 청년층 취업자의 학력별 상대임금 추이	47
<표 3-1> 임금체계 유형	71
<표 3-2> 사업체 특성별 임금체계 유형	72
<표 3-3> 생산직군의 임금체계 유형	74
<표 3-4> 호봉급의 직무⋅숙련반영 적합도	76
<표 3-5> 직능급의 운영: 직능자격제와 결합운영, 등급차이의 주요소, 숙련향상	77
<표 3-6> 직무급 운영 상황: 도입 목적, 임금경직성 완화, 적용범위	78
<표 3-7> 성과배분제 실시율: 다수직군 기준	80
<표 3-8> 임금체계 유연화와 노사관계 인식	81
<표 3-9> 임금 및 인사평가제도와 노동조합 유무	82
<표 3-10> 임금체계의 유연화에 대한 영향요인들: 프로빗 분석	84
<표 3-11> 노동조합의 성격변화에 대한 분류	86
<표 3-12> 노조유무와 소속 최상급단체 유형	87
<표 3-13> 대상집단별 노동조합의 성격변화	88
<표 3-14> 분석 자료의 기초통계	90
<표 3-15> 임금에서 노조프리미엄 계산에 사용한 회귀추정치	91
<표 3-16> 노조 임금프리미엄과 노조의 온건화: 프로빗 추정	93
<표 3-17> 노조 임금프리미엄과 노조 가입률 증가: 회귀분석 추정	95
<표 4-1> 내부노동시장 지표들에 관한 기초통계	122
<표 4-2> 작업장 혁신 지표들에 관한 기초통계	124
<표 4-3> 기타 변수들에 관한 기초통계	125
<표 4-4> 작업장 혁신과 생산직 승진관행: 로짓분석 	127
<표 4-5> 작업장 혁신과 고용안정: 로짓분석	128
<표 4-6> 작업장 혁신과 임금관행: 회귀분석	130
<표 4-7> 자동화와 비정규직 비율: 회귀분석	133
<표 4-8> 자동화와 작업장 혁신: 회귀분석	134
<표 4-9> 사례기업의 일반적 특성	136
<표 4-10> 신설공장과 기존공장의 특성 차이	141
<표 4-11> B 기업의 6시그마 활동 실적	147
<표 5-1>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의 특징	166
<표 5-2> 표본의 학력별 인구통계학적 분포	168
<표 5-3> 형식 학습 유형별 참여에 대한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0
<표 5-4> 형식 학습 참여 시간 대한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1
<표 5-5> 형식 학습에 대한 인식에 있어 차이 및 집단 간 차이	171
<표 5-6> 무형식 학습 유형별 참여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2
<표 5-7> 무형식 학습 효과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3
<표 5-8> 교육․훈련 참여 요인에 있어 학력별 차이	173
<표 5-9> 주요 변인간의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177
<표 5-10> 모형의 학력 집단별 모수 추정치	179
<표 5-11> 기저모형과 경로추정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들 간 학력 간 집단 차이 비교	182
<표 5-12> 사례기업의 일반적 특징	185
[그림 1-1]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구성요소와 분석 틀	11
[그림 2-1] 일자리 10분위별 고용증감 (2000~2004)	26
[그림 2-2] 고용보호법률 지수의 국가별 추이 (1999~2008)	30
[그림 2-3] 대졸-고졸 근로자 집단 간 로그 시간당 실질 임금격차분해 백분율: 상용 근로자	45
[그림 4-1] 작업조직 모형 개요	106
[그림 4-2] B 기업 작업조직의 구성 : 정유팀의 경우	146
[그림 5-1] 연구모형	175
[그림 5-2] 요인 적채치와 경로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구조모형 분석 결과	180
[그림 5-3] A 기업 2011년 3월 근무표	186
[그림 5-4] A 기업 공식 교육 시스템(생산기능직)	187
[그림 5-5] A 기업 다능공표(생산기능직)	189
[그림 5-6] B 기업 정유생산 부문 교육체계도	191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업 내부노동시장과 숙련: 생산기능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