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산업별 취업계수와 고용탄성치 19
<표 2-2> 연봉제 도입추세 23
<표 2-3> 성과배분제 도입추세 24
<표 2-4> 비정규직 임금 추이 28
<표 2-5>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 추이(2006~2009) 28
<표 2-6> 고용형태별 근속기간 추이 31
<표 2-7> 조선업계 생산직 인력구조의 변화 33
<표 2-8> 청년층 취업자의 학력별 상대임금 추이 47
<표 3-1> 임금체계 유형 71
<표 3-2> 사업체 특성별 임금체계 유형 72
<표 3-3> 생산직군의 임금체계 유형 74
<표 3-4> 호봉급의 직무⋅숙련반영 적합도 76
<표 3-5> 직능급의 운영: 직능자격제와 결합운영, 등급차이의 주요소, 숙련향상 77
<표 3-6> 직무급 운영 상황: 도입 목적, 임금경직성 완화, 적용범위 78
<표 3-7> 성과배분제 실시율: 다수직군 기준 80
<표 3-8> 임금체계 유연화와 노사관계 인식 81
<표 3-9> 임금 및 인사평가제도와 노동조합 유무 82
<표 3-10> 임금체계의 유연화에 대한 영향요인들: 프로빗 분석 84
<표 3-11> 노동조합의 성격변화에 대한 분류 86
<표 3-12> 노조유무와 소속 최상급단체 유형 87
<표 3-13> 대상집단별 노동조합의 성격변화 88
<표 3-14> 분석 자료의 기초통계 90
<표 3-15> 임금에서 노조프리미엄 계산에 사용한 회귀추정치 91
<표 3-16> 노조 임금프리미엄과 노조의 온건화: 프로빗 추정 93
<표 3-17> 노조 임금프리미엄과 노조 가입률 증가: 회귀분석 추정 95
<표 4-1> 내부노동시장 지표들에 관한 기초통계 122
<표 4-2> 작업장 혁신 지표들에 관한 기초통계 124
<표 4-3> 기타 변수들에 관한 기초통계 125
<표 4-4> 작업장 혁신과 생산직 승진관행: 로짓분석 127
<표 4-5> 작업장 혁신과 고용안정: 로짓분석 128
<표 4-6> 작업장 혁신과 임금관행: 회귀분석 130
<표 4-7> 자동화와 비정규직 비율: 회귀분석 133
<표 4-8> 자동화와 작업장 혁신: 회귀분석 134
<표 4-9> 사례기업의 일반적 특성 136
<표 4-10> 신설공장과 기존공장의 특성 차이 141
<표 4-11> B 기업의 6시그마 활동 실적 147
<표 5-1> 형식 학습과 무형식 학습의 특징 166
<표 5-2> 표본의 학력별 인구통계학적 분포 168
<표 5-3> 형식 학습 유형별 참여에 대한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0
<표 5-4> 형식 학습 참여 시간 대한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1
<표 5-5> 형식 학습에 대한 인식에 있어 차이 및 집단 간 차이 171
<표 5-6> 무형식 학습 유형별 참여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2
<표 5-7> 무형식 학습 효과 현황 및 집단 간 차이 173
<표 5-8> 교육․훈련 참여 요인에 있어 학력별 차이 173
<표 5-9> 주요 변인간의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177
<표 5-10> 모형의 학력 집단별 모수 추정치 179
<표 5-11> 기저모형과 경로추정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모형들 간 학력 간 집단 차이 비교 182
<표 5-12> 사례기업의 일반적 특징 185
[그림 1-1] 기업 내부노동시장의 구성요소와 분석 틀 11
[그림 2-1] 일자리 10분위별 고용증감 (2000~2004) 26
[그림 2-2] 고용보호법률 지수의 국가별 추이 (1999~2008) 30
[그림 2-3] 대졸-고졸 근로자 집단 간 로그 시간당 실질 임금격차분해 백분율: 상용 근로자 45
[그림 4-1] 작업조직 모형 개요 106
[그림 4-2] B 기업 작업조직의 구성 : 정유팀의 경우 146
[그림 5-1] 연구모형 175
[그림 5-2] 요인 적채치와 경로계수에 동일성 제약을 가한 구조모형 분석 결과 180
[그림 5-3] A 기업 2011년 3월 근무표 186
[그림 5-4] A 기업 공식 교육 시스템(생산기능직) 187
[그림 5-5] A 기업 다능공표(생산기능직) 189
[그림 5-6] B 기업 정유생산 부문 교육체계도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