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7
<표 1-2> 델파이 조사 설문지의 발송 및 수집 기간 7
<표 1-3> 델파이 조사 전체 구성표 9
<표 1-4> 숙련기술인의 경력이행경로 실태 및 인식 분석 설문조사개요 13
<표 1-5> 숙련기술인의 경력이행경로 실태와 인식 분석을 위한설문 구성 14
<표 1-6> 직업 및 삶의 태도 변인 정의 18
<표 2-1> 직업능력 수준 체계 설정 결과 33
<표 2-2> 숙련기술장려법 중 대한민국명장, 우수숙련기술자 관련법령 36
<표 2-3> 엔지니어,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스트, 엔지니어링 테크니션 간의 관계 41
<표 2-4> 숙련기술인의 조작적 정의를 위한 준거 42
<표 2-5> 국가자격의 숙련 수준별 개요 및 직무 예시 67
<표 2-6> 숙련 수준에 따른 국가자격증 69
<표 2-7> 정부 부처 관리하의 국가 전문자격 70
<표 2-8> 명장과 기술사 정의 및 구분 72
<표 2-9> 건설 분야 명장 직종 분류 및 직무 내용 73
<표 2-10> 건설 분야 명장 추가 지정이 필요한 분야 74
<표 2-11> 선행연구에서의 농업인력 육성 단계 설정 79
<표 2-12>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사업의 주요 변천 내용 87
<표 2-13> 직무 수준별 보유인력 현황 104
<표 2-14> 만화 분야 직무별 수준 109
<표 2-15>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별 수준 109
<표 2-16> 캐릭터 분야 직무별 수준 111
<표 2-17> 음악 분야 직무별 수준 112
<표 2-18> 게임 분야 직무별 수준 113
<표 2-19> 영화 분야 직무별 수준 114
<표 2-20> 정보통신산업 분류 체계 126
<표 2-21> 분야별 숙련의 개념 및 숙련기술인에 대한 정책 동향 138
<표 3-1>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48
<표 3-2>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1
<표 3-3>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합의 결과 153
<표 3-4> 숙련기술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대한 1차 델파이조사 결과 156
<표 3-5> 숙련기술인의 대우, 경력 몰입, 일-가족 균형, 역할지향성, 생활 만족 정도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6
<표 3-6>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8
<표 3-7> 기능인, 숙련기술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2차 델파이조사 결과 159
<표 3-8> 숙련기술인의 대우, 경력 몰입, 일-가족 균형, 역할지향성, 생활 만족 정도에 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0
<표 3-9>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2
<표 3-10> ʻ기능인ʼ, ʻ숙련기술인ʼ 단어의 이미지 163
<표 3-11>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합의 결과 164
<표 3-12>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8
<표 3-13>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3차델파이 조사 결과 171
<표 3-14>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합의결과 172
<표 3-15> 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한 추진 과제 181
<표 3-16> 최종 학력별 출신 고등학교 유형 분석 결과 183
<표 3-17> 업종별 최종 학력 분석 결과 184
<표 3-18> 업종별 출신 고교 유형 분석 결과 185
<표 3-19> 업종별 사회경력 분석 결과 186
<표 3-20> 직업경력 패턴의 배열 간 유사성 분석을 위한 코딩준거 187
<표 3-21> 직업경력 패턴의 군집 분석 결과 189
<표 3-22> 유형 2와 사회경력 분석 결과 191
<표 3-23> 유형 3과 사회경력 분석 결과 192
<표 3-24>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내용 193
<표 3-25> 최종 학력, 출신 고교 유형, 업종별 숙련기술인에 대한인식 분석 결과 195
<표 3-26> 숙련도에 따른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196
<표 3-27>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상관 분석 결과 197
<표 3-28> 직업경력 유형에 따른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199
<표 3-29> 최종 학력, 출신 고교 유형, 업종과 숙련기술인의 직업 및 삶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200
<표 3-30> 숙련도에 따른 경력 몰입도 분석 결과 203
<표 3-31> 숙련도에 따른 일-가족 균형 분석 결과 204
<표 3-32> 숙련도에 따른 직업역할지향성 분석 결과 205
<표 3-33> 숙련도에 따른 가족역할지향성 분석 결과 207
<표 3-34> 숙련도에 따른 삶의 질 분석 결과 208
<표 3-35> 숙련기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직업 및 삶에 대한태도 상관 분석 209
<표 3-36> 직업경력 유형에 따른 숙련기술인의 직업 및 삶에 대한태도 분석 결과 212
<표 3-37> 숙련기술인의 일반 사항과 직업 및 삶에 대한 태도분석 결과 종합 214
<표 4-1> 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한 추진 과제와 주요 내용 220
[그림 1-] 숙련기술인 육성 방안을 위한 연구 절차 19
[그림 2-1] 고숙련사회의 개념 변화 24
[그림 2-2] 고숙련사회 구성을 위한 7가지 원칙 27
[그림 2-3] 기술 수준 변화에 따른 주요 숙련 변화 29
[그림 2-4] KQF 각 직무 수준 정의 31
[그림 2-5] 수준별 직무 내용 32
[그림 2-6] 숙련 기준 분석 38
[그림 2-7] 공학자, 기술인, 기능인의 업무 범위와 학력과 직무 수행 내용에 따른 노동력의 피라미드 구조 40
[그림 2-8] 숙련기술인의 범위 43
[그림 2-9] 토목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46
[그림 2-10] 건설-시공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48
[그림 2-11] 건설-시공관리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0
[그림 2-12] 건축기계설비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2
[그림 2-13] 건설-건축설계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4
[그림 2-14] 종자 분야 인력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6
[그림 2-15] 출판 인쇄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8
[그림 2-16] 공예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0
[그림 2-17] 귀금속 및 보석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2
[그림 2-18] 정보통신서비스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4
[그림 2-19] 농업인력 육성 단계 80
[그림 2-20] 창조성의 확장이 용이한 창조산업 105
[그림 2-21] 고성과 작업조직의 숙련형성 모델 136
[그림 3-1]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부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4
[그림 3-2]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업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6
[그림 3-3]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학교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7
[그림 3-4]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정부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78
[그림 3-5]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기업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79
[그림 3-6]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학교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80
[그림 3-7] 직업경력 패턴 유형의 덴드로그램(dendrogram) 188
[그림 3-8] 직종 중심의 군집별 시간 분포 190
[그림 4-1] 숙련기술인 양성 및 활용 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 218
[그림 4-2] 기능직 직급체계 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