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숙련사회에서의 숙련기술인 육성 방안

Development Scheme for Skilled Technicians in a Highly Skilled Society
저자
박동열 조은상 윤형한 이용길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숙련기술인인력양성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5
제2장 산업 분야별 고숙련사회와 숙련기술인 21
 제1절 고숙련사회의 특징과 이슈  23
 제2절 숙련기술인 경력이행경로 모형  43
 제3절 산업 분야별 고숙련사회의 숙련기술인 현황  65
제3장 숙련기술인의 인식과 활용 실태 분석 143
 제1절 숙련기술인의 실태와 전망에 관한 델파이 조사 결과  145
 제2절 숙련기술인 경력이행경로 실태와 인식 결과  182
제4장 숙련기술인 육성 방향과 과제 215
 제1절 기본 방향과 추진 전략 217
 제2절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과제   219
SUMARY 229
참고문헌 235
부  록 249
 1. 델파이 1차 조사지  251
 2. 델파이 2차 조사지  271
 3. 델파이 3차 조사지  296
 4. 숙련기술인의 경력이행경로 실태와 인식 분석을 위한 설문지 325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고숙련사회의 특징과 이슈, 숙련기술인의 유형과 이들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각 분야별 관점에서 논의하고, 숙련기술인 양성 및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야별 숙련기술인의 경력경로·경력관리 등을 분석하여 숙련기술인 육성 및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the features of high skill society and the types of high-skilled workers in each industrial sector as well as to suggest a policy implication through analysing the current pattern to train and manage high-skilled workers and career path and management system in each industrial secto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is designed and processed with six steps. First, a definition and typology on high skill society, skill formation and skilled worker are identified via th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pattern of career paths in the manufacturing, agriculture, construction and culture industry is analyzed with the secondary data such as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ird, delphi method is applied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high skill society, the changing perception of skilled workers and the barrier to cultivating skilled human resource. Fourth, the survey with workers i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pattern to train and manage skilled workers and career path and management system in each industrial sector. Finally, the policy implications and tasks to foster and manage skilled human capital are suggested through the expert meeting.
...
<표 1-1>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7
<표 1-2> 델파이 조사 설문지의 발송 및 수집 기간	7
<표 1-3> 델파이 조사 전체 구성표	9
<표 1-4> 숙련기술인의 경력이행경로 실태 및 인식 분석 설문조사개요	13
<표 1-5> 숙련기술인의 경력이행경로 실태와 인식 분석을 위한설문 구성	14
<표 1-6> 직업 및 삶의 태도 변인 정의	18
<표 2-1> 직업능력 수준 체계 설정 결과	33
<표 2-2> 숙련기술장려법 중 대한민국명장, 우수숙련기술자 관련법령	36
<표 2-3> 엔지니어, 엔지니어링 테크놀로지스트, 엔지니어링 테크니션 간의 관계	41
<표 2-4> 숙련기술인의 조작적 정의를 위한 준거	42
<표 2-5> 국가자격의 숙련 수준별 개요 및 직무 예시	67
<표 2-6> 숙련 수준에 따른 국가자격증	69
<표 2-7> 정부 부처 관리하의 국가 전문자격	70
<표 2-8> 명장과 기술사 정의 및 구분	72
<표 2-9> 건설 분야 명장 직종 분류 및 직무 내용	73
<표 2-10> 건설 분야 명장 추가 지정이 필요한 분야	74
<표 2-11> 선행연구에서의 농업인력 육성 단계 설정 	79
<표 2-12> 후계농업경영인 육성 사업의 주요 변천 내용	87
<표 2-13> 직무 수준별 보유인력 현황	104
<표 2-14> 만화 분야 직무별 수준	109
<표 2-15> 애니메이션 분야 직무별 수준	109
<표 2-16> 캐릭터 분야 직무별 수준	111
<표 2-17> 음악 분야 직무별 수준	112
<표 2-18> 게임 분야 직무별 수준	113
<표 2-19> 영화 분야 직무별 수준	114
<표 2-20> 정보통신산업 분류 체계	126
<표 2-21> 분야별 숙련의 개념 및 숙련기술인에 대한 정책 동향	138
<표 3-1>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48
<표 3-2>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1
<표 3-3> 고숙련사회의 개념과 특징 합의 결과	153
<표 3-4> 숙련기술인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에 대한 1차 델파이조사 결과	156
<표 3-5> 숙련기술인의 대우, 경력 몰입, 일-가족 균형, 역할지향성, 생활 만족 정도에 대한 1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6
<표 3-6>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58
<표 3-7> 기능인, 숙련기술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2차 델파이조사 결과	159
<표 3-8> 숙련기술인의 대우, 경력 몰입, 일-가족 균형, 역할지향성, 생활 만족 정도에 관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0
<표 3-9>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2
<표 3-10> ʻ기능인ʼ, ʻ숙련기술인ʼ 단어의 이미지	163
<표 3-11>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합의 결과 	164
<표 3-12>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68
<표 3-13>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3차델파이 조사 결과	171
<표 3-14> 숙련기술인의 양성 및 활용 과제에 대한 인식 합의결과	172
<표 3-15> 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한 추진 과제	181
<표 3-16> 최종 학력별 출신 고등학교 유형 분석 결과	183
<표 3-17> 업종별 최종 학력 분석 결과	184
<표 3-18> 업종별 출신 고교 유형 분석 결과	185
<표 3-19> 업종별 사회경력 분석 결과	186
<표 3-20> 직업경력 패턴의 배열 간 유사성 분석을 위한 코딩준거 	187
<표 3-21> 직업경력 패턴의 군집 분석 결과	189
<표 3-22> 유형 2와 사회경력 분석 결과	191
<표 3-23> 유형 3과 사회경력 분석 결과	192
<표 3-24>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내용	193
<표 3-25> 최종 학력, 출신 고교 유형, 업종별 숙련기술인에 대한인식 분석 결과 	195
<표 3-26> 숙련도에 따른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196
<표 3-27>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상관 분석 결과	197
<표 3-28> 직업경력 유형에 따른 숙련기술인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199
<표 3-29> 최종 학력, 출신 고교 유형, 업종과 숙련기술인의 직업 및 삶에 대한 태도 분석 결과 	200
<표 3-30> 숙련도에 따른 경력 몰입도 분석 결과	203
<표 3-31> 숙련도에 따른 일-가족 균형 분석 결과	204
<표 3-32> 숙련도에 따른 직업역할지향성 분석 결과	205
<표 3-33> 숙련도에 따른 가족역할지향성 분석 결과	207
<표 3-34> 숙련도에 따른 삶의 질 분석 결과	208
<표 3-35> 숙련기술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직업 및 삶에 대한태도 상관 분석	209
<표 3-36> 직업경력 유형에 따른 숙련기술인의 직업 및 삶에 대한태도 분석 결과	212
<표 3-37> 숙련기술인의 일반 사항과 직업 및 삶에 대한 태도분석 결과 종합	214
<표 4-1> 숙련기술인 육성을 위한 추진 과제와 주요 내용	220
[그림 1-] 숙련기술인 육성 방안을 위한 연구 절차	19
[그림 2-1] 고숙련사회의 개념 변화	24
[그림 2-2] 고숙련사회 구성을 위한 7가지 원칙	27
[그림 2-3] 기술 수준 변화에 따른 주요 숙련 변화 	29
[그림 2-4] KQF 각 직무 수준 정의	31
[그림 2-5] 수준별 직무 내용	32
[그림 2-6] 숙련 기준 분석	38
[그림 2-7] 공학자, 기술인, 기능인의 업무 범위와 학력과 직무 수행 내용에 따른 노동력의 피라미드 구조	40
[그림 2-8] 숙련기술인의 범위 	43
[그림 2-9] 토목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46
[그림 2-10] 건설-시공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48
[그림 2-11] 건설-시공관리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0
[그림 2-12] 건축기계설비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2
[그림 2-13] 건설-건축설계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4
[그림 2-14] 종자 분야 인력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6
[그림 2-15] 출판 인쇄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58
[그림 2-16] 공예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0
[그림 2-17] 귀금속 및 보석 분야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2
[그림 2-18] 정보통신서비스에서의 경력이행경로 유형 분석	64
[그림 2-19] 농업인력 육성 단계	80
[그림 2-20] 창조성의 확장이 용이한 창조산업	105
[그림 2-21] 고성과 작업조직의 숙련형성 모델	136
[그림 3-1]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부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4
[그림 3-2]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업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6
[그림 3-3] 숙련기술인 이미지 개선을 위한 학교 과제의 중요성과효과성	177
[그림 3-4]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정부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78
[그림 3-5]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기업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79
[그림 3-6] 숙련기술인 양성과 활용을 위한  학교 추진 과제의중요성과 효과성	180
[그림 3-7] 직업경력 패턴 유형의 덴드로그램(dendrogram)	188
[그림 3-8] 직종 중심의 군집별 시간 분포	190
[그림 4-1] 숙련기술인 양성 및 활용 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	218
[그림 4-2] 기능직 직급체계	22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고숙련 사회에서의 숙련기술인 육성 방안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