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훈련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탐색 연구

Teaching method for Strengthening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veness-Study Research
저자
이수경 변숙영 권성연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훈련 교수-학습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8   
   제4절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3   
제2장 실업자직업훈련 정책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 15      
   제1절 실업자직업훈련의 연혁과 정책 변화   17   
   제2절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도입배경과 성과 25   
   제3절 시사점 48   
제3장 직업훈련 교수-학습 특성 및 연구 분석틀 53      
   제1절 직업훈련 교수-학습의 개념적 고찰 56   
   제2절 직업훈련 교수-학습의 최근 동향 62   
   제3절 직업훈련 교수-학습의 연구 변인 및 절차 64   
   제4절 연구 분석틀 72   
제4장 직업훈련 교수-학습 실태 분석 77      
   제1절 기계분야 79   
   제2절 사무관리분야 169   
   제3절 정보통신분야 207   
   제4절 이 미용/의료/조리분야 258   
제5장 연구 결과 및 개선 방안 32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요약 329   
   제2절 교수-학습 개선 방안 345   
Summary 357   
참고문헌 361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추진되었다.
  첫째, 직업훈련에서의 교수-학습의 의미와 그 특성 그리고 최근의 동향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직업훈련 교수-학습에 미치는 관련 요소, 변인, 절차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연구의 직업훈련 교수-학습 접근 방향을 수립하였고 연구 변인 및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재까지의 직업훈련정책의 위치파악과 방향 정립을 위하여 직업훈련의 연혁과 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직업능력개발계좌제에 대한 도입배경과 성과를 되돌아보았다. 또한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의 긍정적/부정적 측면들을 바탕으로 향후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고용노동부 기관 평가사업 자료를 분석하고 직업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운영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각 업무 단계별로 교수-학습의 요소, 단계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반적인 국내 직업훈련기관 운영현황 및 수준을 파악하고 연구 대상 선발 방향과 기준을 수립하였다.
  넷째, 직업훈련기관 대상 교수-학습 사례분석을 위하여 연구 대상 선정, 조사 방법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도구를 설계하였고, 직업훈련기관 대상을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내용은 크게 투입 요소별 관점과 교수-학습 단계별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다섯째, 직업훈련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훈련기관의 직업훈련 교수-학습 개선 방안으로 훈련기관 운영 측면과 수업 운영 측면에서의 전략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부 직업훈련정책 측면에서 현행 실업자훈련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unemployed.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done in this area, but there has been a notable lack of research on the teaching ·learning environment in that regard. Especially conspicuous in its absence is qualitative research examining in detail the mechanism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the actual field. 
  We therefore conducted a case study of 13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that had been praised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ir operating programs over a number of years. The institutes were categorized into 4 fields: mechanical (3 institutes), office management (2 institutes), information technology (3 institutes), and beauty treatment/medical treatment/cooking (5 institutes). The institut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standards and procedures devised by a panel of experts. 
  To devise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we undertook a literature review, an analysis of data from the institutes, and discussions with experts. In this proces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recent trends of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scertained and confirmed. Also, related factors, including processes that influence the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ere analyzed. Moreover a narrative of the history and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ies concern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ere presented. Throughout this process,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variables, tools and frameworks were delineated. We also evaluated the management status of domestic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in-depth interviews of persons concerned were conducted and certain responses of the traine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framework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The two points of analysis were the teaching-learning input factors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s to environmental factors, the industry, the institute, and government policy were analyzed. As to essential factors, programs, trainees, and trainers were analyzed and as to implementation factor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eaching-learning media were analyzed. Next, we examined this cont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performed a systematic analysis. The first process was "before clas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the second process "in class" (implementation), and the third was "after class" (evaluation).
  This research was correlated with certain policy changes executed starting this year.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be important in illuminating what specific factors these policy changes have influenc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is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particularly in terms of trainee recruitment, trainers, facilities, program information and the field's intrins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ed certain teaching-learning improvements tha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s themselves can carry out, and certain policy improvements the government should initiate.
  The suggestions arising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es should be specialized, and should make a concentrated investment in their programs. It is also important to recruit trainers who have practical qualifications and to support continuous training as well as improve labor conditions. Next, institutes should make use of needs analysis results and apply these 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o close gaps between trainees,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interaction between trainers and trainees, and to support supplementary or enrichment programs. In addition, management experience and knowhow should be accumulated systematically and directly linked to the institutes' capabilities. The role of government should be to strengthen career counseling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s to help trainees and others make more informed choic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policies to attract qualified institutes to the industry, and to prevent untrustworthy institutes from entering it. Moreover, the number of programs should be limited to a more reasonable level.
<표 1-1> 연구 대상 기관 현황	10
<표 2-1> 실업자직업훈련 종류별 훈련인원 현황	21
<표 2-2> 고용촉진훈련의 중도탈락률 및 취업률 추이	22
<표 2-3> 전직실업자훈련(실업자재취직훈련)의 중도탈락률 및 취업률	23
<표 2-4> 주요 유형별 실업자직업훈련 개요	27
<표 2-5> 직업능력개발계좌제의 도입 취지 및 방향	32
<표 2-6> 시범기간 중 훈련과정 신청 및 승인 현황	32
<표 2-7> 종전 실업자직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비교	36
<표 2-8> 훈련기관 유형별 훈련기간 추이	37
<표 2-9> 훈련생별 수강한 훈련과정 수 추이	39
<표 2-10> 직업능력개발계좌제 도입 전․후 비교 	41
<표 2-11>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시행 전후의 주요 훈련과정 승인요건 비교	42
<표 2-12> 훈련기관․과정 추이	42
<표 2-13> 훈련과정 비중	42
<표 2-14> 훈련기관 및 훈련과정 심사기준	44
<표 2-15> 심사기준 및 부적합 기준 변경	45
<표 2-16> 심사절차 변경	46
<표 2-17> 2단계 훈련상담제	47
<표 2-18> 실업자 관련 직업훈련 제도 비교	50
<표 3-1> 동 연구의 교수-학습 요소	67
<표 3-2> 교수-학습 단계별 주요 활동과 내용	75
<표 4-1> B기관 자동차정비 과정 교과내용	115
<표 4-2> D기관의 연도별 매출현황	170
<표 4-3> D기관의 분야별 교육 실시현황(과정 수)	171
<표 4-4> F기관 주요 실적	210
<표 4-5> G기관 관련기업 인력 추천 현황	226
<표 4-6> G기관 훈련과정 특성	229
<표 4-7> G기관 대표과정 훈련생 특성	230
<표 4-8> H기관 계좌제훈련생 특성 	246
<표 4-9> I기관 훈련생의 연령별 특성	262
<표 4-10> J기관 훈련교사 채용방식	271
<표 4-11> J기관 이론과 실습 비율	277
<표 4-12> J기관 교재 현황 및 특성	278
<표 4-13> J기관 실습장비 현황	279
<표 4-14> J기관 강의실과 실습실 현황	280
<표 4-15> J기관 훈련생 평가 방법	282
<표 4-16> K기관 인력현황	285
<표 4-17> K기관 최근 4년간 교직원 교육연수 현황	286
<표 4-18> K기관 교과편성	292
<표 4-19> K기관 교과목과 시수	293
<표 4-20> K기관 교육용 슬라이드 보유 목록	294
<표 4-21> L기관 멀티미디어 활용현황	307
<표 5-1> 훈련생 만족도조사 문항 제안	354
[그림 2-1] 고용촉진훈련의 훈련인원 추이	18
[그림 2-2] 실업자직업훈련의 훈련인원 추이	20
[그림 2-3] 4개 직종의 실업자직업훈련 참여자 비중	27
[그림 2-4] 종전 실업자직업훈련 운영체계	28
[그림 2-5] 기준단가체계와 훈련 공급	29
[그림 2-6] 전직실업자직업훈련의 중도탈락(조기취업포함)률 추이	30
[그림 2-7] 계좌발급 및 훈련 참여인원 현황	33
[그림 2-8] 종전 실업자직업훈련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지원체계 비교	34
[그림 2-9]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운영체계	35
[그림 2-10] 훈련과정 승인 및 운영추이	37
[그림 2-11] 평균 훈련기간	38
[그림 2-12] 훈련기간별 훈련인원 비중(2010년 기준)	39
[그림 2-13]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참여인원 추이	40
[그림 3-1] 동 연구의 교수-학습 요소 관계도	67
[그림 3-2] 동 연구의 교수-학습 단계(절차)도	72
[그림 3-3] 연구분석틀(교수-학습 요소 및 단계별)	73
[그림 4-1] F기관 연도별 매출액 및 과정수	21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훈련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수-학습 탐색 연구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