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기계산업의 자격연구

Qualification Research on Mechanical Industry
저자
이동임 김덕기 박천수 장주희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계분야자격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6    
  제2절 연구의 내용·방법 및 절차 7    
       1. 연구의 내용 7      
       2. 연구의 방법 10    
       3. 연구의 절차 14      
  제3절 연구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5    
       1. 연구의 기대효과 15    
       2. 연구의 활용방안 15    
  제4절 연구의 범위 16      
       1. ‘기계’ 산업과 직업의 범위 16    
       2. 질적 연구를 위한 ‘기계’ 산업과 직업 범위 19      
       3. 질적 연구를 위한 ‘기계’ 산업의 자격 범위 21    
제2장 기계산업·직업의 현황과 전망 25 
  제1절 기계산업의 현황과 기술전망 27    
       1. 개요 27    
       2. 기계산업의 현황 30      
       3. 기계산업의 기술전망 37    
  제2절 기계산업의 직업동향 56    
       1. 직업분류와 기계관련 직업 56      
       2. 기계산업의 직업 특성 58    
       3. 기계산업의 직업변동과 그 원인 62    
  제3절 기계산업의 고용전망 69      
       1. 일반 기계산업의 분류 69    
       2. 산업별 종사자 전망 70    
       3. 직업별 종사자 전망 72    
  제4절 기계산업의 구인동향 76      
       1. 구인광고 조사개요 76    
       2. 구인광고 분석 결과 80      
    제5절 소결 102    
제3장 외국의 숙련수요 인식방법과 기계산업의 자격 105  
  제1절 외국의 신생직업 전망과 숙련수요 인식방법 107      
       1. 미국의 신생직업 전망 107    
       2. 독일의 숙련수요 조기인식 방법 114    
  제2절 외국 기계산업의 직업과 자격 124      
       1. 독일 124    
       2. 미국 143      
       3. 일본 167    
  제3절 소결 187    
제4장 기계산업의 자격 분석 193 
  제1절 자격의 취득자 거시적(수요·공급) 분석 195    
       1. 기계분야 자격분류 195    
       2. 자격의 취득자 전망 199      
       3. 자격취득자의 수요와 공급 전망 209    
       4. 시사점 213    
  제2절 자격의 미시적 분석 215      
       1. 출제기준 검토 배경 215    
       2. 출제기준 검토 결과 216    
  제3절 소결 230    
제5장 기계산업의 새로운 숙련수요와 자격 235   
  제1절 새로운 숙련수요 분석 237      
       1. 분석방법 및 절차 237    
       2. 분석결과: 기계분야 숙련 전망과 신설 요구 자격 240    
  제2절 새로운 숙련수요에 따른 자격 신설 및 개선 수요조사 257      
       1. 조사의 목적 257    
       2. 조사의 배경 258      
       3. 조사의 결과 259      
  제3절 소결 300    
 제6장 정책제언 303    
  제1절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305    
  제2절 숙련수요 및 자격종목 모니터링 인프라 구축 309    
       1. 새로운 숙련수요 및 신설 검토 자격 도출을 위한 절차 수립 309    
       2. 직업변동 및 숙련수요 모니터링(한국고용정보원) 311      
       3. 선도기업 탐색을 위한 체계적인 현장조사(SHRDC) 312    
       4. 자격종목 신설 수요조사의 체계화(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및 SHRDC) 314      
       5. 구인광고 분석의 방법론 개선(한국고용정보원) 314    
       6.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이용한 숙련수요 분석 316      
       7. 산업체 주도의 자격수요와 출제기준 분석(한국산업인력공단 및 SHRDC) 317    
       8. 숙련수요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 318    
  제3절 기계산업의 자격종목 및 제도 개편방안 321    
       1. 세부산업별 신설 및 통폐합 자격종목(안) 321    
       2. 자격제도 개편 328    
SUMMARY 331    
참고문헌 334    
부 록 341    
 1. 설문조사지 343    
 2. 심층면담지 365    
 3. 출제기준 검토양식 380    
 4. 독일의 산업분류 385    
 5. 미국의 기계 산업과 직업 391    
 6. 직업별 종사자 및 자격취득자 증감률 비교 399    
 7. 기업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조사결과 402    
 8. 시사점이 큰 외국자격의 검정내용 403
 9. 기계분야 자격 연구 자문위원 406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환경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여 자격이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현재의 기계분야 자격종목을 진단하고 현장성이 떨어지는 부분 혹은 숙련불일치(skill mismatching)를 개선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하위 목적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기계분야 sector study(기술동향, 직업변동 등)와 질적인 숙련수요 인식을 위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변화하고 있는 새로운 숙련요건을 파악할 수 있는 절차 및 방법을 체계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숙련수요 분석결과는 자격제도뿐만 아니라 교육훈련제도에도 중요한 인프라가 될 것이다.
  둘째, 이러한 절차에 근거해서 기계분야의 새로운 숙련수요를 파악하여 현재 새롭게 출현하는 직무와 직업이 무엇인지, 나아가 가까운 미래에 출현하는 직업과 직무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 결과를 자격으로 연계함으로써 산업과 노동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자격제도를 시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새롭게 발견된 직무·직업을 근거로 신설이 검토되는 자격종목을 추출하는 한편, 기존의 자격검정 출제기준을 분석하여 통폐합이 검토되는 자격종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종합적인 기계분야 자격제도 개선을 위해서 거시적 연구(인력수급전망과 자격수급 분석 등)도 함께 수행되었다. 
  즉 이 연구의 주 목적은 방법론을 만드는 것이며, 이 방법을 기계산업에 적용한 결과 부가적으로 신설 및 통폐합이 검토되는 자격종목을 추출하는 것이다.
  A fast technological change has also caused the change in the work world, creating new occupations and developing a exiting job. As a result, the skill requirement that companies demand for labor force has also been changing quickly. Therefore, all the labor forces, whether they are new job seekers or existing employees, should obtain the skill requirement in order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the level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countries.  
  However, a serious skill mismatch has been coming about in Korean labor market because the Korean educational and qualification markets have lacked the infrastructure to detect the change in the work world.
  Thu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 idea that only when the new skill requirement can be precisely founded and forecasted, the qualification system which is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nd labor market can do proper role in Korean labor market. Therefore, this study has focused on finding the new skill requirement by reviewing and applying diverse methodologies. After then, this research has predicted the new future qualification in machine industry based on such methodologies. In addition, this study has extracted not only the new qualifications needed to create, but also the existing obsolete  qualifications either required to cancel or to unify among similar qualifications based on the new skill requirement.
  This study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The main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hod is the literature documentary review. It has introduced the advanced research methodologies finding new skill requirement and new trends of technology, occupation and qualification in USA, Japan, Germany which are the leading forces in machine industry. Second method is the analysis of job posting advertisement.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dvertisements in job post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tail skill requirement for workers currently demanded by many companies. Third method is the on-the-spot monitoring and interview. We had visited around ten work places and had conducted the on-the-spot monitoring and interview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 of technology and work. Fourth method is the in-depth survey, where those surveyed are employers and managers working in the leading companies in Korea, who are knowledgeable about changes of technology and skill requirement. The main contents of in-depth survey are changes of job, occupation, and working organization. Fifth method is a statistical analysis foreseeing demand and supply of labor forces and qualifications. Final method is the focus group interview evaluating the quality of qualification's contents. 
  The research on finding new skill requirement would require a vast joint work applying diverse research methods. The individual methods should be conducted by each professional organizations, for example, KEIS(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IET(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SHRDC(Sector HRD Council), HRD service of Korea.  
  This study has been in difficulties finding exact new skill requirement because of the reality lacking infrastructure locating new skill requirement. Therefore this research has suggested diverse policies needed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which can help grasping new future skill requirement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The study has a important new step to find new skill requirement in machine industry, and to suggest not only the new qualifications but also existing obsolete qualifications either unified or cancelled based on the new skill requirement.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in this study could be re-used in growth industries, such as green industry, IT industry, nano-industry, automobile industry, in order to find and solve the skill mismatch problem in new industries.  
<표 1-1> 사이트별 검색기간	11
<표 1-2> 사이트 조사 분석사항 목록	12
<표 1-3> 연구대상 기계분야 산업과 직업분류	18
<표 1-4> 기계산업 및 직업에 해당되는 범위	20
<표 1-5> 연구대상 국가기술자격 기계분야 종목	21
<표 2-1> 주요 지역에서의 한·중·일 점유율 변화 비교	31
<표 2-2> 주요 품목별 수출액, 점유율 및 순위 추이	32
<표 2-3> 주요 선진국의 기계산업 시장점유율	34
<표 2-4> 일본 기계산업의 추이	36
<표 2-5> 국내 공작기계 연간 수주액 추이	45
<표 2-6> 2010년 공작기계 수요자별 수주액	46
<표 2-7> 반도체장비 공정별 국내시장 규모	50
<표 2-8> 세계 반도체장비 시장전망	50
<표 2-9> 국내 로봇시장 전망	56
<표 2-10> 직능수준별 수행직무	59
<표 2-11> 기술요인에 따른 기계분야 직업변화 사례	68
<표 2-12> 일반 기계산업과 직업분류	70
<표 2-13> 일반, 전자, 정밀기계산업 종사자 수	71
<표 2-14> 일반 기계산업 관련 직업 종사자 수	73
<표 2-15> 사이트별 공작기계, 반도체장비, 로봇 등록 현황	80
<표 2-16> 워크넷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업무내용 현황	81
<표 2-17> 인크루트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업무내용 현황	84
<표 2-18> 알앤디잡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업무내용 현황	87
<표 2-19> 잡코리아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업무내용 현황	88
<표 2-20> 사람인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업무내용 현황	91
<표 2-21> 각 사이트별 업무내용 순위(괄호 안 수치는 빈도 수임)	95
<표 2-22> 기계가공기술 수요 현황	97
<표 2-23> 기계설계(CAD), 기계 CAM, CAD/CAM 기술 수요현황	99
<표 2-24> 공작기계, 반도체장비, 로봇 분야 핵심기술 수요 전체 비교	100
<표 3-1> 피부학자(dermatologist) N*E 직업 후보 여부 판단 기준 사례	112
<표 3-2> 독일 구인광고 사례 - 기계분야	123
<표 3-3> 독일 산업분류 구조	125
<표 3-4> 독일의 산업 대분류 	126
<표 3-5> 2010년 독일 기계분야 직업분류표	131
<표 3-6> 독일 양성훈련과정 관련 자격종목	137
<표 3-7> 독일 향상훈련과정 관련 자격종목	139
<표 3-8> 기계분야 독일 고등교육 학위 및 엔지니어 자격	140
<표 3-9> 공작기계, 반도체장비, 로봇 관련 자격종목(교육훈련직종)	142
<표 3-10> 미국의 기계산업	144
<표 3-11> 미국 기계제조업 종사자 수 추세	145
<표 3-12> 미국의 기계분야 직업	147
<표 3-13> 미국의 기계분야 자격종목	154
<표 3-14> 일본 표준산업분류상의 기계산업	168
<표 3-15> 일본 공작기계산업의 현황	169
<표 3-16> 일본 로봇산업의 현황	170
<표 3-17> 일본 반도체제조장치산업의 현황	171
<표 3-18> 후생노동성 직업분류 단계별 항목 수	173
<표 3-19> 후생노동성 직업분류 기계분야 직업	174
<표 3-20> 기능검정제도의 분류 및 종목	177
<표 3-21> 공작기계 분야 기능검정직종별 선택작업 및 등급구분	178
<표 3-22> 사내검정인정 자격 현황(기계관련 분야)	180
<표 3-23> 기술사 기술부문별 전문 과목	183
<표 3-24> 기계산업 분야별 자격 운영 현황	185
<표 3-25> 일본의 기계산업 분야별 자격종목 	186
<표 3-26> 독일·미국의 공작기계, 반도체장비, 로봇관련 자격	190
<표 4-1> 국가기술자격 기계직무 분야 종목(2012년부터 적용)	196
<표 4-2> 직업별 공작기계, 로봇, 반도체장비 관련 자격	198
<표 4-3> 기술사 및 기능장 자격취득자 전망	201
<표 4-4> 기사 자격 취득자 전망	201
<표 4-5> 산업기사 자격취득자 전망	205
<표 4-6> 기능사 자격취득 전망 	209
<표 4-7> 직업별 종사자 증감률과 자격취득자 증감률 비교	212
<표 4-8> 출제기준 분석대상 19개 종목	216
<표 4-9> 자격의 수급차이 분석	231
<표 5-1> 직능수준별 수행직무	238
<표 5-2> 공작기계, 반도체장비, 로봇의 새로운 숙련수요 및 자격	254
<표 5-3> 기업 규모	259
<표 5-4> 향후 주력 상품(제품) 수요 변화	260
<표 5-5> 지난 2년간(2009~2010년) 기술 변화	261
<표 5-6> 애로사항	261
<표 5-7> 인력채용에 역점을 두고 있는 직무분야	262
<표 5-8> 공작기계 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인력 수요	263
<표 5-9> 기계산업의 설계직무 관련 친환경 자격증에 대한 수요	264
<표 5-10> 공작기계시험원에 대한 인력 수요	265
<표 5-11> 정밀측정기사 자격증 신설의 필요 여부	265
<표 5-12> 공작기계 설치 및 정비원에 대한 인력 수요	266
<표 5-13> 원격공작기계정비 관련 자격증에 대한 수요	266
<표 5-14> 공작기계조작원에 대한 인력 수요	267
<표 5-15> 머시닝센터조작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 여부	268
<표 5-16> 원격머시닝센터조작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69
<표 5-17> 컴퓨터복합머신조작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69
<표 5-18> 5축 가공기 조작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70
<표 5-19> 레이저가공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70
<표 5-20> 공작기계조립원에 대한 인력 수요	271
<표 5-21> 공작기계조립원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 여부	272
<표 5-22> 반도체장비개발자에 대한 인력 수요	273
<표 5-23> 반도체장비산업의 설계 직무와 관련된 친환경 자격증에 대한 수요	273
<표 5-24> 반도체장비개발기사 자격 신설의 형태	274
<표 5-25> 반도체장비시험원에 대한 인력 수요	275
<표 5-26> 반도체장비시험원 관련 자격 수요	275
<표 5-27> 반도체장비 설치 및 정비원에 대한 인력 수요	276
<표 5-28> 반도체장비정비기능사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77
<표 5-29> 반도체장비조립원에 대한 인력 수요	278
<표 5-30> 반도체장비 조립 관련 자격 신설 수요	278
<표 5-31> 반도체장비 부품 가공원에 대한 인력 수요	279
<표 5-32> 반도체장비 부품 가공 관련 자격증에 대한 수요	280
<표 5-33> 레이저가공 관련 자격증의 수요	280
<표 5-34> 우리나라 반도체장비산업의 경쟁력 제고 요인	281
<표 5-35> 로봇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인력 수요	282
<표 5-36> 로봇설계 관련 자격 수요	283
<표 5-37> 로봇산업의 친환경 자격 수요	283
<표 5-38> 로봇시험원에 대한 인력 수요	284
<표 5-39> 로봇시험평가기사 자격 신설 수요 여부	285
<표 5-40> 정밀측정기사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85
<표 5-41> 로봇설치 및 정비원에 대한 인력 수요	286
<표 5-42> 로봇설치 및 정비원 관련 자격 신설 수요	287
<표 5-43> 로봇부품가공원에 대한 인력 수요	287
<표 5-44> 로봇부품가공원 관련 자격 신설 수요	288
<표 5-45> 로봇조립원에 대한 인력 수요	289
<표 5-46> 로봇조립원 관련 자격 신설 수요	289
<표 5-47> 로봇 품질보증 업무 전담인력 보유 여부	290
<표 5-48> 로봇 품질보증 전담인력 수	290
<표 5-49> 로봇 품질보증 병행 인력 수	291
<표 5-50> 로봇 품질보증 인력 보유 시, 로봇 품질보증 업무의 중요도	291
<표 5-51> 로봇 품질 보증 관련 자격증 신설의 필요성	292
<표 5-52> 외국의 자격종목 도입의 필요성	293
<표 5-53> 국가기술자격 개선 의견에 대한 동의 여부	297
<표 6-1> NCS개발 분류체계와 직무별 요구되는 숙련수요	317
<표 6-2> 숙련수요 분석 네트워크 참여기관별 역할	320
[그림 1-1] 자격을 통한 교육훈련과 일의 연계	5
[그림 1-2] 새로운 숙련수요 분석을 통한 자격종목 개선	9
[그림 1-3] 연구 절차 및 방법	14
[그림 2-1] 기계산업의 생산유발계수와 고용유발계수(2007년)	28
[그림 2-2] 독일 공작기계산업의 기업규모별 구성(2009년)	36
[그림 2-3] 융합 관점의 주요 기술분야 간 상호 의존관계	39
[그림 2-4]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의 개념	43
[그림 2-5] 2010년 공작기계 부문의 정부 R&D 과제 수행 주체	47
[그림 2-6] 일반 기계산업 종사자 추세 	72
[그림 2-7] 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시험원 추세	74
[그림 2-8] 기계분야 실행직업	75
[그림 2-9] 워크넷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채용 학력요건	83
[그림 2-10] 인크루트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채용 학력요건	85
[그림 2-11] 잡코리아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채용 학력요건	89
[그림 2-12] 사람인에 등록된 일반기계분야 채용 학력요건	92
[그림 4-1] 기술사 취득자	200
[그림 4-2] 기능장 취득자	200
[그림 4-3] 기사 취득자	202
[그림 4-4] 기사 취득자	203
[그림 4-5] 산업기사 취득자	204
[그림 4-6] 산업기사 취득자	204
[그림 4-7] 산업기사 취득자	205
[그림 4-8] 기능사 취득자	206
[그림 4-9] 기능사 취득자	207
[그림 4-10] 기능사 취득자	207
[그림 4-11] 로봇 분야 기계직무 기능사 취득자	208
[그림 5-1] 새로운 숙련수요 분석절차	237
[그림 5-2] 새로운 숙련수요 분석과 설문조사	257
[그림 6-1] 숙련수요 변화 및 신설 자격종목 파악 절차	310
[그림 6-2] 숙련수요 분석 네트워크	31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기계산업의 자격연구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