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일자리 활용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Retired Professionals in Jobs for Social Commitment and Contribution
저자
김수원 한애리 이소정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4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09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퇴직전문인력사회공헌 일자리고령자
요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4
제3절 연구의 방법	5
제4절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7
제2장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일자리 활용 관련 이론 및 제도 고찰_9
제1절 퇴직전문인력 및 사회공헌일자리의 정의와 범위	11
제2절 퇴직전문인력의 사회 참여와 주요 활동내용	24
제3절 퇴직전문인력의 경제활동 실태와 향후 전망	34
제4절 시사점과 함의	54
제3장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일자리 수요조사 결과 분석_57
제1절 수요조사의 개요	59
제2절 분야별 수요조사 결과	60
제3절 시사점과 함의	97
제4장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일자리 활용 국내사례 조사결과 분석_99
제1절 사례조사의 개요	101
제2절 분야별 사례조사 결과	102
제3절 시사점과 함의	119
제5장 선진외국의 퇴직전문인력 사회공헌일자리 활용사례 연구_123
제1절 사례조사의 개요	125
제2절 국가별 사례조사 결과	126
제3절 시사점과 함의	143
제6장 결론 및 정책 방안_147
제1절 결 론	149
제2절 정책 방안	153
SUMMARY_171
참고문헌_177
부  록_181
1. 퇴직전문인력 사회공헌활동 수요조사지	183
2. 국내⋅외 우수사례 조사지 	186
3. 고령자 워크넷 자료 요청서	187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경영, 교육 등의 분야에서 퇴직전문인력의 장기간 축적된 관련 전문지식 및 노하우를 공공기관, 비영리단체, 사회적기업 등의 자문 및 컨설팅, 멘토링, 강의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을 활성화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퇴직전문인력들이 새로운 사회활동에 성공적으로 참여해 나갈 수 있도록 원조하는 체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Despite of rapid aging society, the number of retired professionals has sharply increased because baby boomers have been forced to retire from various labor markets due to retirement system and corporate restructuring. Ironically though, while the massive retirement of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ir middle-old age with vast professional careers and experiences contributes to the increases in the number of available professionals, a great number of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under poor financial structure still suffer from chronic lack of professional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strategic plan to better utilize the available retired professionals by continuously allocating them at suitable workplaces such as public institutions and social enterprises so that they can share their acquired knowledge, experiences and expertise therei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specific and detailed strategic plan to make a full utilization of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know-hows of the retired professionals in the fields including scientific technologies, business administration, education, and the like, in order to help public institu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by assisting them with consultations, advices, mentoring, lectures, etc. Therefore, it can establish a mutually beneficial concrete system to enable the rapid professionals to activity participate with great success in new social activities. ...
<표 2-1> 중소기업 전문인력 활용 장려금 지원 대상 전문인력의 범위	13
<표 2-2> 정부부처별 전문인력 활용 지원사업의 전문인력 기준	16
<표 2-3> 자원봉사 등의 목적에 따른 비교	20
<표 2-4> 전국 자원봉사센터 등록 자원봉사자 현황	31
<표 2-5> 연도별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32
<표 2-6> 주요 국가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32
<표 2-7> 고령층의 자원봉사활동 희망 여부	33
<표 2-8> 고령층이 참여중인 자원봉사활동 분야	33
<표 2-9> 베이비부머와 고령자의 연령별 교육수준	35
<표 2-10> 베이비부머의 성 및 학력별 취업 현황	36
<표 2-11> 베이비부머와 고령자의 연령 및 학력별 직업	37
<표 2-12> 베이비부머와 고령자의 연령 및 학력별 종사직업	38
<표 2-13> 고령자 고용현황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	39
<표 2-14> 2009~2011년도 준⋅고령자에 대한 신규 구인 현황	42
<표 2-15> 2009∼2011년도 직종 중분류별 취업률 동향	45
<표 2-16> 2009∼2011년도 직종 소분류별 취업률 동향	47
<표 2-17> 세대별 경제활동상태 (2010년 현재)	50
<표 2-18> 직종 중분류별 퇴직가능 전문인력(관리자+전문가) 규모 (2010년 현재)	51
<표 2-19> 2010~2020년 중 직업 중분류별 퇴직전문인력 규모 추정	52
<표 2-20> 2010~2020년간의 산업별 퇴직전문인력 규모 추정	53
<표 3-1> 직종분야별 필요 인원 및 활동내용 (수요조사 결과)	62
<표 4-1> 국내 우수사례 조사대상기관 현황	101
<표 4-2> 클래식 멘토단 시범프로젝트 실적	110
<표 4-3> 행복설계아카데미 설립기관 현황	119
<표 4-4>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국내 우수사례	121
<표 5-1>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해외 우수사례	145
<표 6-1> 직종분야별 필요 인원 및 활동내용 (최종 선정안)	158
[그림 2-1] 프로보노와 그 외 자원봉사와의 관계	23
[그림 5-1] 최근 자원봉사자들의 직업분야 분포	134
[그림 6-1] 퇴직전문인력 활용을 위한 통합 추진체계	16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퇴직 전문인력의 사회공헌 일자리 활용 활성화 방안 2012.06.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