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지원체제 연구

Research Study on Career Educaton Support System centered around Employment Training
저자
정윤경 김나라 서유정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19)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7   
   제3절 용어의 정의 13   
제2장 직업체험 관련 선행연구 및 지원체제 분석 17      
   제1절 직업체험 진로교육 선행연구 분석 19   
   제2절 직업체험 지원체제 분석 39   
제3장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59      
   제1절 설문조사 개요 61   
   제2절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현황 67   
   제3절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의 문제점 및 요구사항 112   
   제4절 시사점 131   
제4장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운영사례 135      
   제1절 공공기관 사례 138   
   제2절 민간기관 사례 159   
   제3절 교육기관 사례 168   
   제4절 시사점 172   
제5장 해외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운영사례 175      
   제1절 아일랜드의 직업체험 177   
   제2절 일본의 직업체험 197   
   제3절 영국의 현장직업체험 212   
   제4절 시사점 228   
제6장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지원체제 제언 231      
   제1절 직업체험처 발굴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 개발   234   
   제2절 담당 인력의 전문성 제고 및 지원 인력의확보    · 활용 242   
   제3절 온라인·오프라인 네트워크 구축 및 실질 협력강화 246   
SUMMARY 251   
참고문헌 261   
부    록 267   
   1. 진로체험 운영 관계자 면담 질문지 269   
   2. 진로체험 참여 학생 면담 질문지 272   
   3. 아일랜드 직업체험 관련 양식 275   
   4.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참여) 설문조사지 278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제를 연구하고, 관련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학교의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우리나라의 직업체험 운영 사례 및 지원체제의 특징을 분석한다.
  셋째, 영국, 일본, 아일랜드 등 해외 3개국의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사례 및 지원 체제를 분석한다.
  넷째, 우리나라 학교의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지원체제 및 관련 정책과제를 제언한다.
  Recently, Korea government has been thrived to support the experience centered career education that is outstanding topic and focused on student’s skill and aptitude to select a career.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had developed the work experience program to supply it for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 early 2010. MEST has operated the work experience program in the city and district level offices of education since the late of 2010.
  Nevertheless, the student’s activities of work experience are not activated currently,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work experience in and outside school are not sufficient. To extend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work experience in and outside school, it’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to study the support system of career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port systems for active career education centered work experience and is to propose a policy and give a suggestion.  The detail study content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issues of work experience centered career education, pinpoints the problems at a secondary school in Korea. For this, the study shows an analysis of local precedent reports related with work experience and  school statistics of work experience status  under 16 cities and districts offices of education.
  Seconds, it examines case studies of work experiences. The site visiting was held to review the work experience program cases, operations recommended by the offices and the staffs, teachers and students participated in programs were interviewed. Third, an oversea references of  work experience centered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are analyzed. Lastly, the study proposes a policy issue and suggestion regarding to the work experience centered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system
...
<표 1-1> 연구의 세부 내용 및 방법	8
<표 1-2> 설문조사 대상 및 규모	10
<표 1-3> 전문가협의회 참석자 현황	12
<표 2-1> 직업 체험(Work experience)의 정의	21
<표 2-2> 정책적 제언에 관한 논의	36
<표 2-3> 진로 전문기관 및 특징	40
<표 2-4> 2011년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현황(2011.5기준)	42
<표 2-5> 2012년도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 현황(2011.10.1기준)	43
<표 2-6> 크레존넷의 구성 및 내용	46
<표 2-7> 시도별 진로교육 사이트	50
<표 2-8> 개발된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장소별 유형	52
<표 2-9> 개발된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내용별 유형	53
<표 2-10> 2010년 학교 내 직업체험 진로교육 현황	55
<표 2-11> 정부의 직업체험 관련 추진 정책	56
<표 3-1> 설문지의 구성 내용	62
<표 3-2> 응답자 인구학적 특성(기관)	64
<표 3-3> 응답자 인구학적 특성(교사)	65
<표 3-4> 응답자 인구학적 특성(학생)	66
<표 3-5>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기관 유형	67
<표 3-6>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담당 부서(조직)	68
<표 3-7>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부서 	68
<표 3-8> 기관의 교과부 또는 시도교육청 예산 지원에 따른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기간	69
<표 3-9> 기관의 타 기관 예산 지원에 따른 진로체험 프로그램운영 기간	69
<표 3-10>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실무 인력 	70
<표 3-11> 기관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예산 규모 및 참여 학생 수(2010년 기준)	71
<표 3-12> 학교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담당부서 	72
<표 3-13> 학교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교사 수 	72
<표 3-14> 학교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예산 출처 	73
<표 3-15> 학교의 교육청 예산 지원에 따른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여부	74
<표 3-16> 학교에서 운영중인 진로체험 프로그램 현황	74
<표 3-17> 진로체험 프로그램 내용별 현황 	76
<표 3-18> 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연수 참여 여부 	77
<표 3-19>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정보 획득 경로 	77
<표 3-20>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정보 획득 경로  (기관 1순위)	79
<표 3-21> 학교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정보 획득 경로  (교사 1순위)	79
<표 3-22> 크레존넷 이용 유무	80
<표 3-23> 기관 유형별 크레존넷 이용 유무	81
<표 3-24> 학교 유형별 크레존넷 이용 유무(교사)	81
<표 3-25> 교사의 크레존넷 이용 만족도	82
<표 3-26> 크레존넷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주관식) 	82
<표 3-27>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 필요성 	83
<표 3-28>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실무자 연수 참여 의사	84
<표 3-29> 기관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실무자 연수 참여 의사	84
<표 3-30> 희망하는 진로체험 프로그램 연수 내용(기관)	85
<표 3-31> 학교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실무자 연수 참여 의사	86
<표 3-32> 희망하는 진로체험 프로그램 연수 내용(교사)	86
<표 3-33>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실무자 협의회 정도	87
<표 3-34> 주관기관과 협력ㆍ참여기관 실무자 간 회의 여부	88
<표 3-35> 기관별 주관기관과 협력ㆍ참여기관 실무자 간 회의 여부 	88
<표 3-36> 학교유형별 주관기관과 협력ㆍ참여기관 실무자 간 회의 여부	89
<표 3-37> 진로체험 프로그램 기관 간 정기적 회의 필요성 	90
<표 3-38> 기관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기관 간 정기적 회의 필요성  	90
<표 3-39> 학교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기관 간 정기적 회의 필요성	91
<표 3-40>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경험(학생) 	91
<표 3-41> 학교유형 및 성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경험	92
<표 3-42>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자발적 참여 정도(학생)	93
<표 3-43> 학교유형 및 성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자발적 참여 정도 	93
<표 3-44> 관심 진로분야 유무(학생)	94
<표 3-45> 학교유형 및 성별 관심 진로분야 유무 	95
<표 3-46> 진로체험 프로그램과 진로 분야와의 관련성 	96
<표 3-47> 학교유형 및 성별 진로체험 프로그램과 진로 분야와의 관련성	96
<표 3-48> 기관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체험 직종 	98
<표 3-49> 기관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인원(1회)	99
<표 3-50>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학생 활동 성격	99
<표 3-51> 기관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시간(1회)	100
<표 3-52> 기관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예산 출처 	101
<표 3-53>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예산 출처 	101
<표 3-54>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교사 외 인력 참여 여부	102
<표 3-55> 진로체험 프로그램 교사 외 참여 인력 	103
<표 3-56> 진로체험 프로그램 활동 종류(학생) 	103
<표 3-57> 진로체험 프로그램 1회 참여 시간(학생) 	104
<표 3-58> 학교유형 및 성별 진로체험 프로그램 1회 참여 시간	105
<표 3-59>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결과 형태 	106
<표 3-60>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학생 만족도에 대한 인식	107
<표 3-61> 기관 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108
<표 3-62> 성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학생) 	108
<표 3-63> 학교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학생)	109
<표 3-64> 학교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자 만족도(교사)	109
<표 3-65>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교육적 의의	110
<표 3-66>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시 애로사항(기관)	113
<표 3-67>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시 애로사항(교사)	114
<표 3-68>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시 어려움(학생)	115
<표 3-69>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 지원 필요성	116
<표 3-70> 정부지원(금)에 따른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지속 의지	117
<표 3-71> 학생의 향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의사	118
<표 3-72> 성별 학생의 향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의사	119
<표 3-73> 학교유형별 학생의 향후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의사	119
<표 3-74>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내용 범위(교사)	120
<표 3-75> 학교유형별 진로체험 프로그램의 내용 범위(교사)	121
<표 3-76> 적절한 진로체험 프로그램 참여 시기	121
<표 3-77>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시 개선사항(기관)	122
<표 3-78> 기관의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선사항 및 건의사항(주관식)	124
<표 3-79>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개선사항(교사)	125
<표 3-80> 진로체험 프로그램 내용 개선사항(교사)	126
<표 3-81> 진로체험 활성화를 위한 국가, 시도 차원의 지원 요구사항(교사)	127
<표 3-82> 교사들이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바라는 점(주관식)	128
<표 3-83> 진로체험 프로그램 개선사항(학생)	129
<표 3-84> 교육청 및 학교 지원 요구사항(학생)	130
<표 4-1> 우주체험센터 체험과정	139
<표 4-2> 우주체험센터 특성화 캠프 현황	139
<표 4-3> 국립과천과학관 체험 프로그램 현황	143
<표 4-4> 잡월드 체험 프로그램 현황	145
<표 4-5> 하자센터 직업체험 프로그램 현황	148
<표 4-6> 하자센터 직업체험 프로그램 운영 예산	151
<표 4-7> 수서청소년수련관의 청소년 직업체험 관련 프로그램 소개	153
<표 4-8> 인천광역시 청소년직업센터 프로그램 현황	157
<표 4-9> 키자니아의 영역별 주요 체험시설	159
<표 4-10> 한솔건설 건설전문가 직업체험 내용	162
<표 4-11> 21세기 체험 농원의 영역별 체험활동	163
<표 4-12> NFTE-Korea의 프로그램 현황	165
<표 4-13> 동의과학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직업체험 내용	169
<표 4-14> 한국폴리텍대학의 체험프로그램 내용	171
<표 5-1> 학교급별 직업체험 활동 목표	198
<표 5-2> 직업체험의 실시 과정	199
<표 5-3> 직업체험 사전지도 프로그램(예시)	200
<표 5-4> 직업체험 운영과 관련된 학교 내 조직(복수 응답)	205
<표 5-5> 학교에서의 체험활동 실시 비율	208
<표 5-6 > 해머스미스와 풀험 센터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219
<표 5-7> 직업체험 관련 단체	222
<표 6-1> 정부부처별 관련 직업군	234
[그림 2-1] 전국 진로교육 지원시스템	 40
[그림 2-2] 교육기부 협약에 따른 진로체험 운영 절차	 44
[그림 4-1] 과천과학관 조직도	144
[그림 4-2] 수서청소년수련관 조직도	155
[그림 4-3] 동의과학대학 전공체험의 신청 절차	168
[그림 5-1] 직업체험 운영을 위한 학교 지원 체제	206
[그림 6-1] 국가 및 지역 수준의 직업체험 협의체 구성(안) 	247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체험 중심 진로교육 지원체제 연구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