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미래의 직업생활 연구
Research Study on 2030 Future Vocational Life
- 저자
- 장주희 한상근 이지연 서용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2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0.31
- 등록일
-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생활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5 제3절 연구 범위 및 한계 11 제2장 미래 직업생활을 위한 연구방법론 13 제1절 용어 정의 15 제2절 미래연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17 제3절 소결 68 제3장 미래 직업생활 연구를 위한 환경스캐닝 71 제1절 서론 73 제2절 글로벌 환경 변화 75 제3절 국내 환경 변화 88 제4절 소결 105 제4장 직업생활 변화 트렌드 109 제1절 산업·직업 변화 111 제2절 조직 및 근무형태 변화 120 제3절 라이프스타일 및 경력유형 변화 137 제4절 소결 153 제5장 2030 미래 직업생활 분석 157 제1절 직업생활 변화의 동인 159 제2절 미래 직업생활의 모습 166 제3절 미래의 직업생활 시나리오 184 제4절 소결 211 제6장 정책 제언 215 제1절 2030 직업생활의 비전 217 제2절 전략 및 추진과제 218 SUMMARY 237 참고문헌 241 부 록 257 1. 1차 델파이 조사 질문지 259 2. 2차 델파이 조사 질문지 267 3. 델파이 조사 집단 간 차이 검정 결과 277 4. 1차 델파이 조사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291 5. 2차 델파이 조사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 295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2030년에 예상되는 미래의 직업 트렌드, 조직 및 근무 형태, 경력유형과 라이프스타일 등이다. 사용된 주요 연구 방법은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 연구방법론 워크숍, 연구진 브레인스토밍, 환경스캐닝, 퓨처스 휠, 델파이 조사, 인과지도, 인과계층분석, 시나리오 분석, 전문가협의회 및 간담회, FGI 등이다.
Despite drastic change in the world of work, such as increasing numbers of part-timers, teleworkers, and nomad workers, it is not easy to predict what worklife in the future Korea will be like, and what preparation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our future pro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riving forces that may affect the future of worklife, foresee the changes in worklife in the future, and make suggestions for better preparation for future workers through new policies in the fields of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Various future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for this study: Environmental scanning, Futures wheel, Causal loop diagram, Causal layered analysis, Delphi, and Scenario planning. A literature review, workshops, brainstorming,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well. Factors driving worklife in 2030 may include the following: changes in structure of the population (aging and low birthrat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biotechnology, nanotechnology, etc.),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change, natural disasters, increasing labor mobility, and greater interest in quality of life. Future prospects: ● Green jobs, more people employed in medical and welfare industries, new occupations for senior citizens, stronger competition with global job seekers, fewer jobs, and greater unemployment; ● Flat organizations, less hierarchy, people hired on a project basis, increasing need for knowledge and skills for multiple projects in various areas, self-directed career development; ● Individual-oriented rather than organization oriented view about job, more female workers and changes in organization culture, more conflicts because of increasing need for collaboration with people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nd ● Increased flexibility at work doesn't necessarily mean more leisure. The need for work-life balance will increase, however, the vague boundary between work and leisure can bring more competition and performance orientation. The traditional distinction among schooling, work, and leisure will disappear. People in the future will experience learning-work-leisure simultaneously throughout their lives. Two driving forces for the framework of future scenarios were selected: economic growth (fast vs. slow) and basis of a society (efficiency vs. equity). Four future scenarios were developed based on a 2×2 matrix: Workaholic Society, Dynamic Welfare Society, Inactive Equal Society, and the Society for Few Fittest Survivors. This study proposes a vision of the 2030 worklife, and suggests five main issues along with detailed action items needed to reach the most preferred scenario in 2030, a Dynamic Welfare Society.
<표 1-1> 연구방법론 워크숍 내용 7 <표 1-2> 델파이 패널의 구성 9 <표 1-3> FGI 참석자의 구성 10 <표 2-1> 네 가지 유형의 미래 이미지 17 <표 2-2> 연구의 목적에 따른 미래연구의 유형 18 <표 2-3> 예측 시기에 따른 미래예측의 종류 20 <표 2-4> 외부 환경 STEEP 구성 요소와 핵심 질문 24 <표 2-5> 환경스캐닝을 위한 주요 자료와 수집 방법 27 <표 2-6> 이머징이슈와 트렌드를 의미하는 용어들 33 <표 2-7> 과학기술정보 텍스트 마이닝에서 정보의 유형 41 <표 2-8> CLA의 4개 계층에 대한 설명 53 <표 2-9> CLA 관점에서 본 베트남에서의 전통적인 학습 접근의 모순, 보이지 않는 장치들 54 <표 2-10> CLA 관점에서 본 베트남에서의 새로운 교수-학습접근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미래상 55 <표 2-11> 델파이 기법의 종류 57 <표 2-12> 시나리오 분석 절차 65 <표 2-13> 주요 미래연구 방법의 장단점 68 <표 3-1> IMF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 81 <표 3-2> 연도별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명/여성 1명당) 89 <표 3-3> 가장 대표적인 5대 삶의 질 96 <표 4-1>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 112 <표 4-2>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 113 <표 4-3> 종사상 지위별 경제활동 인구 115 <표 4-4> 연령별 경제활동 인구 116 <표 4-5> 여성 전문ㆍ기술ㆍ행정 관리직 종사자 비율 117 <표 4-6> 한국 직업변천사 시대별 특성 비교분석 118 <표 4-7> 유연근무제의 유형 131 <표 4-8> 국가별 총 고용인구 중 시간제 근로자의 비율 132 <표 4-9> 유형별 유연근무제도 도입 및 활용 135 <표 4-10> 전자상거래 규모, 인터넷 뱅킹서비스 등록 고객 수 140 <표 4-11> 세대별 근로관 조사결과 143 <표 4-12>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144 <표 4-13> 해외봉사활동 참가자 수 147 <표 5-1> 2030년 우리나라 직업생활에 영향을 줄 변화(델파이 1차) 160 <표 5-2> 2030년 우리나라 직업생활에 영향을 줄 변화(델파이 2차) 161 <표 5-3> 2030년의 직업 트렌드(델파이 1차) 167 <표 5-4> 2030년의 직업 트렌드(델파이 2차) 169 <표 5-5> 2030년의 조직 및 근무형태(델파이 1차) 171 <표 5-6> 2030년의 조직 및 근무형태(델파이 2차) 173 <표 5-7> 2030년의 라이프스타일과 경력유형(델파이 1차) 175 <표 5-8> 2030년의 라이프스타일과 경력유형(델파이 2차) 176 <표 5-9> 인구구조 변화와 경력개발의 관련 장치들 179 <표 5-10> CLA 관점에서 본 개인의 바람직한 경력개발 미래상 180 <표 5-11> CLA 관점에서 본 개인의 바람직한 경력개발 미래상 지원 정책방안(단기적 관점) 181 <표 5-12> 2030년 직업생활에서 당면하게 될 문제 182 <표 5-13> 시나리오 프레임워크 구성을 위한 변수 검토 185 <표 5-14> ‘효율성 강조 vs. 형평성 강조’와 관련된 델파이 조사 결과 210 <부록 표 1> 미래의 직업 트렌드(집단 간 차이 검정) 277 <부록 표 2> 미래의 조직 및 근무형태(집단 간 차이 검정) 278 <부록 표 3> 미래의 라이프스타일과 경력유형(집단 간 차이 검정) 280 <부록 표 4> 직업생활에 영향을 줄 변화(집단 간 차이 검정) 281 <부록 표 5> 미래 직업 트렌드의 일어날 가능성(집단 간 차이 검정) 282 <부록 표 6> 미래 직업 트렌드의 중요도(집단 간 차이 검정) 284 <부록 표 7> 미래의 조직 및 근무형태 일어날 가능성(집단 간 차이 검정) 285 <부록 표 8> 미래의 조직 및 근무형태 중요도(집단 간 차이 검정) 287 <부록 표 9> 미래의 라이프스타일과 경력유형 일어날 가능성(집단 간 차이 검정) 288 <부록 표 10> 미래의 라이프스타일과 경력유형 중요도(집단 간 차이 검정) 289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6 [그림 2-1] 미래연구의 유형 19 [그림 2-2] 미래연구의 프로세스 21 [그림 2-3] 외부 및 내부 환경변화와 주체와의 관계 25 [그림 2-4] 이머징이슈의 S커브 패턴 29 [그림 2-5] 정보화시대의 등장과 쇠퇴 31 [그림 2-6] 세대 효과의 세 가지 변수 38 [그림 2-7] Strauss와 Howe의 세대순환모델 39 [그림 2-8] 퓨처스 휠의 기본 형태 43 [그림 2-9] 한국교육 2030 퓨처스 휠 44 [그림 2-10] 퓨처스 휠 버전 2 45 [그림 2-11] 퓨처스 휠 버전 3 46 [그림 2-12] 양의 피드백 루프와 음의 피드백 루프 48 [그림 2-13] 피드백 유추와 전략 결정 51 [그림 2-14] 인과계층분석의 계층 52 [그림 2-15] 델파이 기법의 단계 58 [그림 2-16] 이원비교방법의 분석절차 60 [그림 2-17] 이원비교방법 활용의 예 61 [그림 2-18] 충격/확률 매트릭스 67 [그림 2-19] 본 연구에서 사용된 미래연구방법(미래연구 단계별) 69 [그림 3-1] 글로벌 인구이동 76 [그림 3-2] 주요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 77 [그림 3-3] 65세 이상 노령 인구 비율 90 [그림 3-4] 한국사회의 외국인 증감 현황 92 [그림 3-5] OECD 국가별 거주 외국인 수 증가율 비교 93 [그림 3-6] 한국의 잠재 성장률 98 [그림 3-7] 중산충 비중 변화 추이 100 [그림 3-8] 사회보험 미가입자 비율 101 [그림 3-9] 사회복지비용 지출 추이 102 [그림 4-1] 기능별 조직과 사업부제 조직 121 [그림 4-2]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P&G) 122 [그림 4-3] 양손잡이 조직 123 [그림 4-4] 미래 조직 트렌드 125 [그림 4-5] 네트워크 조직 126 [그림 4-6] 가상조직(거래지향 접근 방법) 127 [그림 4-7] 삼엽조직 128 [그림 4-8] 작업 장소 - 우리나라 133 [그림 4-9] 작업 장소 - EU 27개국 평균 134 [그림 4-10] 유럽 국가별 유연근무시간제 실시 현황 136 [그림 4-11]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엿보는 이론의 변화 138 [그림 4-12] 경제적 여유가 있어도 일할 의향 추이 143 [그림 4-13] 연령별 인구구성비 145 [그림 5-1] 2030 미래의 직업생활 퓨처스 휠 162 [그림 5-2] 미래의 직업생활 인과지도 164 [그림 5-3] 시나리오 프레임워크 구성을 위한 변수 선정 프로세스 187 [그림 5-4] 2030 미래의 직업생활 시나리오 프레임워크 188 [그림 5-5] 우리나라 국내총생산 증가율 189 [그림 5-6] 2030 직업생활 시나리오의 환경 분석 194 [그림 6-1] 2030년 직업생활을 위한 정책 과제 21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2030 미래의 직업생활 연구 | 2011.01.01~201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