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 활용실태 및 분석기법 연구
A Study on Applying Job Analysis and its Analytic Technique
- 저자
- 주인중 서유정 장주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2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0.31
- 등록일
- 2011.1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무분석
제1장 서 론 1 제1절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6 1. 연구내용 6 2. 연구방법 8 3. 연구의 제한 범위 14 제2장 직무분석 기법의 해외동향 및 사례분석 15 제1절 직무분석 유형 및 특징 17 1. 과업 중심 직무분석 기법 18 2.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 기법 23 3. 혼합적 직무분석 기법 31 4. 직무분석 기법의 적합성과 실용성 33 제2절 영국의 직무분석 사례 41 1. 영국의 직무분석 41 2. 영국의 직무분석 기법 활용 사례 49 제3절 미국의 직무분석 사례 62 1. 미국의 직무분석 62 2. 미국의 직무분석 기법 활용 사례 65 제4절 소결 86 제3장 정부부처 직무분석 관련 사업 91 제1절 직무분석 결과 활용목적 설정 93 제2절 직무분석 관련 법령 · 규칙 102 1. 정부부처 · 청 102 2. 위원회 108 3. 기타 109 제3절 직무분석 관련 정부사업 114 1. 정부부처 · 청 114 2. 위원회 133 제4절 소결 137 제4장 직무분석 지침서 활용실태 조사분석 139 제1절 조사분석 개요 141 1. 조사분석 절차 및 방법 141 2. 조사분석 내용 143 제2절 직무분석 활용실태 조사분석 145 1.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 145 2. 설문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77 3. 심층면담조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82 4. 소결 183 제3절 직무분석 지침서 분석 184 1. 직무분석 지침서의 구성요소 184 2. 직무분석 지침서 분석결과 193 제5장 결론 및 제언 201 제1절 결론 203 1. 직무분석의 내용 및 기법 203 2. 직무분석의 수요와 활용 207 3. 직무분석 지침서의 분석결과 시사점 209 제2절 제언 215 1. 직무분석 지침서의 개정 방향 216 2. 정책 제언 228 SUMMARY 231 참고문헌 235 부 록 253 1. 직무분석 관련 법령 · 규칙 255 2. 설문지 275 3. 설문조사 결과 301 4.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내용 309 5. 전문가 심층면담조사 결과 311 6. FJA(Functional Job Analysis) 역할 척도 333 7. PAQ(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구성 사례 349
본 연구는 최근의 직무분석 기법의 특성을 정리하고 직무분석 적용의 국외 사례를 분석하며, 직무분석 활용과 관련이 있는 수요자(교육훈련기관, 자격검정기관)의 활용 현황과 요구 등을 조사하여 그동안의 직무분석 지침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도록 직무분석 개정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특성화고등학교, 전문대학 등의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체계 및 프로그램 개발과 자격운영기관에서 자격기준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직무분석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과 자격기준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구안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ology of job analysis and their current use. By analyzing the demands and practical use of clients(i.e., Job Training Center and Certificate Authentication Institute), we aimed to offer ways to enhance the guidelines of job analys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Initially, we examined how job analysis was applied in real world setting and the trend of application to gain theoretical reviews regarding the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of application cases. Then, we searched for cases in which job analysis was applied in the forty four parts of government institutions including the 17 bureaus and 4 committees, using key words such as job description, workforce planning, worker training and performance appraisal. Afterwards, we investigated the demands of job analysis and application guidelines in order to draw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in the use of job analysis in educational system, program development, qualification system and standards of qualification examination. Finally, we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contents of generally used job analysis guidelines at Job Training Center and Certificate Authentication Institute. ...
<표 1-1> 전문가 협의회 참석자 11 <표 1-2> 심층면담조사 대상자 13 <표 2-1> 직무분석 기법의 유형3) 17 <표 2-2> 직무분석 기법의 활용목적별 적합성 정도 34 <표 2-3> 직무분석 기법의 고려사항별 실용성 정도 40 <표 2-4> 직무분석 기법의 특징 41 <표 2-5> FA의 진술 예시(요식업) 57 <표 2-6> FA 결과의 예시 58 <표 2-7>직무분석 기법 및 결과정보 활용별 영국 논문의 수(1991~2010) 59 <표 2-8> 직무분석 기법별 활용 사례 60 <표 2-9> 직무분석의 활용에 영향을 준 미국의 법 63 <표 2-10> 미국 인사처의 직무분석 방법 68 <표 2-11> 요소별 평가방법의 아홉 가지 평가 요소 69 <표 2-12> 오하이오주의 직무분석 절차 - Long Version 72 <표 2-13> 오하이오주의 직무분석 절차 - Short Version 73 <표 2-14> 캘리포니아주의 직무분석 절차 74 <표 2-15> 콜럼버스주 커뮤니티칼리지의 교육목표에 포함된 역량 78 <표 2-16> 직무분석 기법 및 결과정보 활용별 미국 논문의 수(1991~2010) 85 <표 3-1> 구조적 인사 관리론의 대상과 내용 95 <표 3-2> 학자별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목적 98 <표 3-3>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목적과 학자별 활용목적 비교 99 <표 3-4> 직무분석 결과의 활용목적 분석분야 주요 단어 101 <표 3-5> 정부부처 직무분석 관련 법령 102 <표 3-6> 직무분석의 활용목적에 따른 관련 정부부처별 법령(개수) 103 <표 3-7> 청 직무분석 관련 법령 107 <표 3-8> 직무분석의 활용목적에 따른 관련 청별 법령(개수) 107 <표 3-9> 위원회 직무분석 관련 법령 109 <표 3-10> 직무분석의 활용목적에 따른 관련 위원회별 법령(개수) 109 <표 3-11> 기타 기관 직무분석 관련 법령 110 <표 3-12> 직무분석의 활용목적에 따른 관련 기타 기관별 법령(개수) 110 <표 3-13> 직무분석 결과 정보의 활용목적에 따른 기관별 관련 법령 112 <표 3-14> 정부부처 중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운영 115 <표 3-15> 교육과학기술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15 <표 3-16> 고용노동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18 <표 3-17> 외교통상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0 <표 3-18> 국토해양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1 <표 3-19> 기획재정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1 <표 3-20> 농림수산식품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2 <표 3-21> 문화체육관광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3 <표 3-22> 보건복지가족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4 <표 3-23> 지식경제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5 <표 3-24> 환경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29 <표 3-25> 법무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0 <표 3-26> 여성가족부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0 <표 3-27> 청 직무분석 관련 법령 131 <표 3-28> 기상청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1 <표 3-29> 중소기업청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2 <표 3-30> 위원회 직무분석 관련 법령 133 <표 3-31> 금융위원회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4 <표 3-32> 방송통신위원회의 직무분석이 필요한 사업 135 <표 3-33> 직무분석 결과 정보의 활용목적에 따른 기관별 직무분석 필요 사업 136 <표 3-34> 직무분석 관련 법령 및 직무분석이 필요한 정부사업 137 <표 4-1> 설문조사 대상자 소속기관 142 <표 4-2> 면담조사 대상자 소속기관 143 <표 4-3> 설문조사 내용 144 <표 4-4> 직무분석 처음 실시 연도 146 <표 4-5> 직무분석 실시 주체(교육기관․자격검정기관․인적자원개발협의체) 147 <표 4-6> 직무분석 실시 주체(기업체) 147 <표 4-7> 직무분석 추진 목적(교육기관․자격검정기관․인적자원개발협의체) 148 <표 4-8> 직무분석 시 사용 양식(교육기관․자격검정기관) 149 <표 4-9> 실시 주체에 따른 직무분석 시 사용 양식(교육기관․자격검정기관) 150 <표 4-10> 직무분석 시 사용 양식(인적자원개발협의체) 150 <표 4-11> 직무분석 시 사용 기법(기업체) 151 <표 4-12> 직무분석 결과 활용 정도 152 <표 4-13> 직무분석 실시 목적에 따른 결과 활용 정도(교육기관․자격검정기관․인적자원개발협의체) 153 <표 4-14> 교육기관의 영역별 직무분석 결과 활용 정도 154 <표 4-15> 자격검정기관의 영역별 직무분석 결과 활용 정도 155 <표 4-16> 영역별 직무분석 결과 활용 정도(인적자원개발협의체․기업체) 156 <표 4-17> 교육과정․자격체계 도입 이후 직무분석 실시 여부 158 <표 4-18> 교육과정․자격체계 도입 이후 직무분석 실시 이유 159 <표 4-19> 교육과정․자격체계 사후 관리 방법 159 <표 4-20> 직무분석 실시 주체에 따른 교육과정․자격체계 사후 관리 방법 160 <표 4-21> 직무분석 필요성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161 <표 4-22> 인적자원관리 및 인적자원개발에서 직무분석의 중요도(기업체) 162 <표 4-23> 향후 직무분석 필요성 162 <표 4-24> 향후 직무분석 불필요 이유 163 <표 4-25> 향후 직무분석 주기적 추진 계획 164 <표 4-26> 직무분석을 근거로 한 교육과정․자격체계 개발, 사업추진 계획 165 <표 4-27> 향후 직무분석 추진 시 애로사항 166 <표 4-28> 향후 직무분석 필요 정도에 따른 추진 시 애로사항 167 <표 4-29> 직무분석 지침서 제공 시 활용 의향(교육기관) 168 <표 4-30> 직무분석 지침서 제공 시 활용 의향(자격검정기관) 170 <표 4-31> 직무분석 지침서 제공시 활용 의향(인적자원개발협의체․기업체) 172 <표 4-32> 직무분석의 관련 항목 184 <표 4-33> 직무분석의 구성요소 및 활용 시 필요항목 191 <표 4-34> 교육훈련과정의 필요항목별 직무분석 지침서의 구성요소및 적합성 194 <표 4-35> 자격검정의 필요항목별 직무분석 지침서의 구성요소 및 적합성 198 [그림 1-1] 연구추진 체계 9 [그림 2-1] FJA의 작업자 기능 척도 19 [그림 2-2] SCID 프로세스 29 [그림 2-3] 데이컴 차트 30 [그림 2-4] JEGS를 활용한 직무분석 과정 51 [그림 2-5] OA의 예시 55 [그림 2-6] FA의 구조(요식업) 57 [그림 4-1] 조사분석 프로세스 141 [그림 5-1] 직무분류 관점에서의 직무분석 지침서 개정항목 도출 217 [그림 5-2] 교육훈련과정 개발 관점에서의 직무분석 지침서 개정항목 도출 221 [그림 5-3] 자격기준 개발 관점에서의 직무분석 지침서 개정항목 도출 225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무분석 활용실태와 분석기법 연구 | 2011.01.01~201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