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베이비붐 세대 제2인생설계 구축 방안

Baby Boomer Generation's Second Life Planning
저자
손유미 이성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2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베이비붐세대제2인생설계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5 
  제3절 제2인생설계의 정의와 구성 요소 9 
제2장 베이비붐 세대의 제2인생설계를 위한 요구 13 
  제1절 베이비붐 세대의 제2인생설계 구성 요소별 요구 16 
  제2절 베이비붐 세대의 제2인생설계 준비와 참여 29 
  제3절 논의와 시사점 34 
제3장 정책 현황과 문제점 39 
  제1절 일자리 정책 41 
  제2절 노후소득 보장 정책 53 
  제3절 건강·사회참여·평생학습 정책 57 
  제4절 논의와 시사점 68 
제4장 제2인생설계 지원 사례 71 
  제1절 기업의 전직지원 사례: 포스코의 그린라이프 서비스 73 
  제2절 지자체 지원 사례 82 
  제3절 공공기관 사례 89 
  제4절 민간 연구소 사례 97 
  제5절 논의와 시사점 101 
제5장 해외 사례 105 
  제1절 미국의 베이비붐 세대와 제2인생설계 지원 현황 109 
  제2절 일본의 베이비붐 세대와 제2인생설계 지원 현황 139 
  제3절 프랑스의 베이비붐 세대와 제2인생설계 지원 현황 167 
  제4절 논의와 시사점 183 
제6장 정책 제언 191 
  제1절 제2인생설계 지원 정책 방향 193 
  제2절 제2인생설계 지원을 위한 정책 과제 196 
SUMMARY 213 
참고문헌 219 
부 록 229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제2인생설계를 지원하는 정책을 종합적으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관련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현재 제공되는 개별적 프로그램을 원스톱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통합적 지원 서비스 모델의 개발과 확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o prepare the basic policies of second-life design for baby boomers, who have higher economic pow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compared to existing old generations, will be operated as a milestone for establishing general social system for aged society. 
Nowadays, it is increased that the needs for second-life design for baby boomers. In Korea, income security system for seniors is weak, especially compared to developed nations. However, current state of support policies for second-life design is fragmentary and each individual makes their second life by oneself. Also, it is the problem that the individuals are responsible for all the failure of second-life design.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se critical points that is related to make plans and practice for supporting second-life design of baby boomers. 
...
<표 2-1>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일자리 희망 여부	17
<표 2-2> 베이비붐 세대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별 노후 일자리 희망 사유	18
<표 2-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근무조건	19
<표 2-4> 베이비붐 세대의 출생년도․성별 노후 희망 일자리 유형	20
<표 2-5>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관리 현황	23
<표 2-6> 베이비붐 세대의 제 특성별 현재 삶에서 여가의 중요도	24
<표 2-7> 노후준비 방법(18세 이상 인구) 	30
<표 2-8> 베이비붐 세대의 제2인생설계 프로그램 인지율과 경험률	32
<표 2-9> 베이비붐세대 직종별 노후설계서비스 참여 희망률	33
<표 3-1> 2020 국가고용전략: 중고령 인력 대책 	42
<표 3-2> 베이비붐 세대의 고용연장․재취업․창업지원 정책 현황과  문제점	45
<표 3-3> 노후소득 보장 체계의 유형화	54
<표 3-4> 퇴직연금 제도 도입률	55
<표 3-5> 노령연금의 종류	56
<표 3-6>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 성과	60
<표 3-7> 소외계층 평생교육 지원 사업 성과	61
<표 3-8> 성인기의 분류	63
<표 3-9> Senior Corps 프로그램의 개요	67
<표 4-1> 포스코 퇴직 1년 전 예비교육 프로그램	77
<표 4-2> 포스코 퇴직 6개월 전 예비교육 프로그램	78
<표 4-3> 포스코 그린라이프 서비스 본 과정(파워스타트) 내용	80
<표 4-4> 은퇴자 유형별 특징 및 교육 내용	85
<표 4-5> 은퇴자 교육 프로그램 유형(위탁운영)	86
<표 4-6> 국민연금공단 노후설계 서비스 내용	91
<표 4-7> 국민연금공단 노후설계 서비스 현황	92
<표 4-8>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후생애설계 서비스 개요	93
<표 4-9> 프로그램 추진실적	94
<표 4-10>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후생애설계 전문가 과정	96
<표 4-11> 퇴근후 LET’S 프로그램 구성	97
<표 4-12> 변화경영연구소 은퇴교육 프로그램(1)	99
<표 4-13> 변화경영연구소 은퇴교육 프로그램(2)	100
<표 5-1> OECD 국가 분류(고령자 경제활동 참가율 및 고령화 추이 기준)	108
<표 5-2> OECD 국가 분류(노후소득 보장 체계 유형 기준)	108
<표 5-3> 연령별 노동력 구조	114
<표 5-4> 미국의 고용상 연령차별금지제도 주요 내용	123
<표 5-5> 지원대상 고령자의 12가지 유형	162
<표 5-6> 지원내용 유형	163
<표 5-7> 프랑스의 연령층별 교육훈련 참여 정도	171
<표 5-8> 프랑스 「2006~2010 고령자일자리 정책 종합계획」 내용	172
<표 5-9> 50인 이상 기업의 고령자 고용계획의 내용 및 양적목표 사례	176
<표 5-10> ‘성공적인 노년-함께 사는 도시’ 인증사례	182
<표 6-1> 생애설계 유사 프로그램 도입 기업의 벤치마킹 결과	210
<부표 1> 해상 모험형 프로그램 사례	231
<부표 2> 독자적 도시발견형 프로그램 사례	231
<부표 3> 세대참여형 프로그램 사례	232
<부표 4> 국립공원형 프로그램 사례	232
<부표 5> 야외 모험형 프로그램 사례	233
<부표 6> 서비스 학습형 프로그램 사례	233
[그림 2-1]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지출구성	21
[그림 2-2]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 걱정거리	22
[그림 2-3] 베이비붐 세대와 그 이전 세대의 학력분포 비교	27
[그림 2-4] 정규교육에서의 교육 요구	28
[그림 2-5] 정규교육 외에서의 교육 요구 	28
[그림 2-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방법	30
[그림 2-7] 베이비붐 세대가 필요로 하는 노후설계 서비스	33
[그림 3-1] 노령지식인 사회참여 사업 추진체계	53
[그림 3-2] 현행 우리나라 노후소득 보장 제도의 구성	54
[그림 4-1] 포스코 그린라이프 서비스 프로그램 추진 경과	75
[그림 4-2] 포스코 그린라이프 서비스 프로그램 구성도	76
[그림 4-3] 전문직 은퇴자 대상 직업전환 교육과정	87
[그림 4-4] 일반직 및 생계형 은퇴자 대상 직업전환 교육과정	88
[그림 4-5]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후생애관리 서비스 	95
[그림 5-1] 미국의 연령에 따른 인구구조	111
[그림 5-2] 연령별․성별 고용 변화의 추세(1977~2007년)	113
[그림 5-3] 은퇴 전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대한 인식	126
[그림 5-4] 은퇴 경험 유무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정당한 소득원천에 대한 인식	127
[그림 5-5]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정당한 소득원천에 대한 인식	128
[그림 5-6] 은퇴 후 직업생활에 대한 인식	129
[그림 5-7] 고령자 세대에서 공적연금이 총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별 세대 구성	142
[그림 5-8] 피부양자 인원의 추이	143
[그림 5-9] 피간호자와 간호인의 관계	144
[그림 5-10] 간호인의 성별․연령 분표	145
[그림 5-11] 노동력 인구의 추이 	146
[그림 5-12] 연령층별 완전실업률․취업률	146
[그림 5-13] 고령자 그룹 활동의 참여 현황(복수응답)	147
[그림 5-14] 일본 고령사회 대책 구조	151
[그림 5-15]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고령자 관련 정책․지원(복수응답)	153
[그림 5-16] 2005년과 2050년 프랑스 인구의 연령별 피라미드	168
[그림 5-17] 55~64세 인구의 고용률(2005)	170
[그림 5-18] 영역별 고령자 고용계획을 반영한 산별 노사협정 수	180
[그림 6-1] 노후설계 서비스와 제2인생설계 서비스 구성 요소의 변화	194
[그림 6-2] 베이비붐 세대 제2인생설계 지원 정책: 일자리 정책	195
[그림 6-3] 기술과 일자리 연계 방안(예시)	204
[그림 6-4] 한국 민간기업의 전직지원 시장 규모	20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베이비붐 세대 제 2 인생설계 구축 방안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