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고용서비스 인력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
A Study on Strengthening Competency and Human Resources Condition on Private Employment Services
- 저자
- 고혜원 이수경 오영훈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2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0.31
- 등록일
-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민간 고용서비스
요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6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8 제2장 민간 고용서비스 현황과 고용구조 13 제1절 민간 고용서비스 현황 15 제2절 인력 관련 자격증 현황 22 제3절 인력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26 제4절 인력의 고용구조 및 직무 34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50 제3장 민간 고용서비스 인력 실태와 직무 53 제1절 인력 실태 조사 결과 55 제2절 민간위탁 고용서비스 사업의 직무 조사 결과11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13 제4장 해외의 고용서비스 인력과 역량 117 제1절 국제교육직업지도협회(IAEVG)의 EVGP 사례 119 제2절 미국의 CDF 사례 125 제3절 일본의 커리어컨설턴트 사례 138 제4절 독일의 직업상담사 사례 152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163 제5장 인력 역량 강화 방안 167 제1절 종합 논의169 제2절 역량 강화 관련 제언 175 제3절 교육 관련 제언 177 SUMMARY 181 참고문헌 183 부 록 187 1. 기관 및 종사자 설문지 189 2. 일본의 커리어컨설턴트 기능검정시험 사례 203 3. 독일의 연방고용청 전문대학의 노동시장경영학과와 직업상담학과의 이수체계 215
첫째, 민간 고용서비스 종사인력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고용서비스업의 고용구조와 상담 및 취업알선 인력을 중심으로 유ㆍ무료 직업소개업 등 서비스 기관 등에 대하여 인력 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 내용은 주로 각 업종별 전반적인 종사인력 구조, 종사인력의 개인 특성 및 자격, 임금, 직무 특성 및 관련 역량 수준 등이다. 둘째, 민간 고용서비스 종사자 교육훈련 실태의 분석이다. 입직 전 관련 자격 및 교육훈련 실태와 현행 고용노동부 및 지방자치단체, 협회의 직업소개 종사자 대상 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업체별 자체 종사자 교육 실태도 검토하였다. 셋째, 국제교육직업지도협회(IAEVG), 미국, 일본, 독일의 고용서비스 종사인력의 역량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주로 종사인력에 대한 자격 제도(국가 및 민간), 관련 역량 기준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넷째, 민간 고용서비스 종사인력의 역량 제고와 관련된 장단기 정책과제의 도출이다. 종사인력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량 도출 및 역량 강화 프로그램, 관련 자격제도 개선, 교육프로그램 제언 등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 staff members and to assess policy initiatives designed to reinforce their expertise and capabilities. To achieve this objective, first, the actual state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s personnel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structures, quantity and quality of job referrals, and the competence of counseling staff in employment service organizations, including free or paid employment agencies. Second, the qualifications of employment service staff and the status of their education system were analyzed. Third, the condition of employment service staff members in other countries was analyzed, including those at the IAEVG(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 and Vocational Guidance), and those working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Based on this analysis, measures to reinforce the capabilities of human resources personnel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pability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dopt guidelines for the capabilities of career service personnel nationwide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Because of the absence of such guidelines, policy initiatives have been inconsistent, and there is presently no educational system to develop career services expertise. Second, the current vocational counselor certification system must be complemented. There is a vocational counselor certification system in place to strengthen staff in certain specialties, but such licensing is minimally effective in this market. Above all else, the lack of practical skills among career services personnel is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staff of private employment services, with education programs provided according to career stages and areas. Also,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service staff should be expanded, with education programs offered in the local employment center, to be consistently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organization with regard to employment services policies and the execution of those policies. Finally, blended learning should be introduced where possible when advanced-level courses are undertaken.
<표 1-1> 집중그룹면담(FGI) 참여자 명단 9 <표 1-2> 전문가협의회 참여자 명단 10 <표 2-1> 「직업안정법」의 규제완화 내용 16 <표 2-2> 민간 고용서비스 기관의 구성 17 <표 2-3> 진로상담전문가 취득자 현황 24 <표 2-4> 직업소개 종사자 교육훈련 과목 및 교육내용 27 <표 2-5> 민간 고용서비스 전문교육과정(Ⅰ) 28 <표 2-6> 민간 고용서비스 전문교육과정(Ⅱ) 29 <표 2-7> 고용노동부-서울대 협력, 고용서비스 전문가 과정 30 <표 2-8> 직업상담사 현장실무자 양성과정 32 <표 2-9> 남녀별 종사자 수 38 <표 2-10> 학력별 종사자 수 39 <표 2-11> 전공별 종사자 수 40 <표 2-12> 근로 형태별 종사자 수 41 <표 2-13> 기업 규모별 종사자 수 42 <표 2-14> 사업체 형태별 월평균 임금, 연령, 근속 연수, 경력 연수 43 <표 3-1> 국내 공공기관의 민간위탁 사업 주요 현황 57 <표 3-2> 고용노동부의 2011년도 주요 민간위탁 사업 58 <표 3-3> 조사대상 업종(복수 응답) 62 <표 3-4> 조사대상 소재지(복수 응답) 64 <표 3-5> 조사대상의 법인 여부 65 <표 3-6> 같이 하는 다른 분야 사업(복수 응답) 67 <표 3-7> 최초 창업 연도 69 <표 3-8> 2010년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 70 <표 3-9> 2010년 매출액 대비 순이익 비중 71 <표 3-10> 고용서비스 담당 근로자 수 72 <표 3-11> 온라인+오프라인 회원 수: 기업 등 기관 72 <표 3-12> 온라인+오프라인 회원 수: 개인 73 <표 3-13> 서비스를 받은 대상: 남성(비율) 74 <표 3-14> 서비스를 받은 대상: 여성(비율) 74 <표 3-15> 서비스를 받은 대상: 연령대(1+2+3순위) 75 <표 3-16> 서비스를 받은 대상: 학력(1+2+3순위) 76 <표 3-17> 서비스를 받은 대상: 서비스 대상(1+2+3순위) 77 <표 3-18>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업무분야(복수 응답) 78 <표 3-19>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평균 연령 83 <표 3-20>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직업상담사 1급 83 <표 3-21>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직업상담사 2급 84 <표 3-22>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사회복지사 1급 84 <표 3-23>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사회복지사 2급 85 <표 3-24>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사회복지사 3급 85 <표 3-25>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청소년상담사 1급 86 <표 3-26>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청소년상담사 2급 86 <표 3-27>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청소년상담사 3급 87 <표 3-28>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커리어코치 87 <표 3-29>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학력: 고졸 이하 88 <표 3-30>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학력: 전문대졸 이하 88 <표 3-31>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학력: 대졸 이하 89 <표 3-32>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학력: 대학원 이상 89 <표 3-33>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종사자의 고용서비스 관련분야 평균 종사 경력 90 <표 3-34> 고용서비스 인력현황-평균 근속 기간 90 <표 3-35> 고용서비스 인력현황-종사자의 평균 연봉 91 <표 3-36> 고용서비스 인력에 대해 실시한 교육훈련명(복수 응답) 93 <표 3-37> 고용서비스 활동에 필요한 최소 학력 101 <표 3-38> 항목별 중요도 및 실제 수행능력 정도(기관 관리자 인식) 103 <표 3-39> 항목별 중요도 및 실제 수행능력 정도(종사자 인식) 105 <표 3-40> 영역별 중요도 및 실제 수행능력 정도(기관 관리자 인식) 107 <표 3-41> 영역별 중요도 및 실제 수행능력 정도(종사자 인식) 109 <표 3-42> 취업성공 패키지 사업 및 새일센터 사업의 직무 111 <표 3-43> 전직지원 사업의 직무 113 <표 4-1> EVGP의 핵심 역량 120 <표 4-2> EVGP의 전문 역량 120 <표 4-3> 미국의 상담자 고용 분포 125 <표 4-4> CDF의 12개 핵심 역량 127 <표 4-5> GCDF 표준교육과정의 구성(권고안) 129 <표 4-6> GCDF 교육과정의 영역별 구성 내용 129 <표 4-7> 한국 GCDF 역량 체계 및 부가 역량 132 <표 4-8> GCDF-Korea 커리큘럼 개요 133 <표 4-9> GCDF-Korea 인증시험 내용 135 <표 4-10> 후생노동성 인정 커리어컨설턴트 양성기관 140 <표 4-11> 1급 시험 개요 143 <표 4-12> 2급 시험 개요 143 <표 4-13> 커리어컨설턴트 양성 커리큘럼 예시 144 <표 4-14> 직업상담사 학사과정의 구성 155 <표 4-15> 노동시장경영학과 교육과정 156 <표 4-16> 직업상담학과 교육과정 158 <표 4-17> 학점 부여 기준 161 [그림 1-1] 연구 흐름 11 [그림 2-1] 직업상담사의 학력 분포 45 [그림 2-2] 직업상담사의 전공 학과 분포 46 [그림 2-3] 취업알선원의 학력 분포 47 [그림 2-4] 취업알선원의 전공 학과 분포 47 [그림 2-5] 커리어코치의 학력 분포 49 [그림 2-6] 커리어코치의 전공 학과 분포 4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민간 고용서비스 인력 실태 및 역량 강화 방안 | 2011.01.01~2011.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