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

Building Circulation of Industry-Academia Partnership Education System for Vocational College
저자
김기홍 홍선이 옥준필 오병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2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1.1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대학순환형 산학협력산학협력교육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3절 연구 방법   9   
제2장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이해 15      
   제1절 산학협력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17   
   제2절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접근 인식 32   
   제3절 종합 시사점 39   
제3장 산학협력교육 지원정책과 운영사례 분석 41      
   제1절 산학협력교육 관련법 및 지원정책 분석 43   
   제2절 산학협력교육 운영사례 분석 63   
   제3절 종합 시사점 128   
 제4장 주요국 산학협력교육 운영실태 분석 139      
   제1절 독일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운영실태 분석 141   
   제2절 스웨덴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운영실태 분석 170   
   제3절 종합 시사점 192   
제5장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운영에 대한 개선 및 요구조사 분석 199      
   제1절 산학협력교육 운영 현황과 문제점 201   
   제2절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에 대한 개선 및 요구점 245   
   제3절 산업체 산학협력교육 참여 사례 조사 267   
   제4절 종합 시사점 283   
제6장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 291      
   제1절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 293   
   제2절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및 운영지원 방안 297   
   제3절 추진 주체별 정책 방안 311   
   제4절 결론 및 제언 312   
SUMMARY 317      
참고문헌 325      
부    록 331      
   1. 전문대학에서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운영실태 및 의견조사 333   
   2. 산업체 산학협력교육 참여 실태 조사 343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과 정당성에 기초하여 전문대학 산학협력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정밀 진단하고,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을 위한 체제구축 및 운영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대학에서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이 어떠한 의미와 유형을 가질 수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에서 산학협력교육의 운영 현황과 정책적?법적 지원정책 및 학기제 현장실습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산학협력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주요국 고등직업교육기관에서 산학협력교육의 운영제도 실태와 관련법 및 지원 제도, 산학협력교육 운영사례를 통해, 우리 전문대학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과 강화 방안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에서 산학협력교육 운영실태 및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및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 분석과 관련 산업체에 대한 의견조사를 통하여 산학협력교육의 문제점, 요구점, 개선점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에서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및 운영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colleges have been continuously going through their existence and identity crisis as an educative role facing the change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the lack of new undergraduate resources by the rapid decrease in the school age population; the problem of the restructuring by quantitativ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institutes; the predictions of the decrease in demand for the intermediate level of technical manpower and the further manpower demand and supply by the radical change of knowledge-based industry and the world of work; the lacking in building education systems differentiated from universities; the lacking in coping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globalized.
  The colleges have introduced internships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high skilled manpower with specialties and on-site experiences suited to the rapid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but they are the only micro, single-use college-industry cooperation. 
  It needs to inspect on problems of college-industry coope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industrial field-oriented training and internship programs tied with employers' organization and association and to analyze their operating systems of the college-industry cooperation of a type of circulative term system, and to make the construction of a more efficient system and the supporting and reforming schemes form legal, institutional, and financial aspects.
  The research methods conducted review of literatures, a field interview survey, experts group meetings,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to draw objective, valid conclusions. 
...
<표 1-1> 설문조사 설계	10
<표 1-2> 전문대학에서 순환형 산업협력교육 관련 의견조사 내용	11
<표 1-3> 설문조사 대상 전문대학의 특성	11
<표 1-4> 전문가협의회 및 자문회의 개최	13
<표 2-1> 산학협력과 관련 개념 변화 추이	21
<표 2-2> 산학협력의 참여 주체와 역할 내용	24
<표 2-3> 산학협력의 목적에 따른 분류	26
<표 2-4> 산학협력의 형태와 내용	29
<표 2-5> 대학에서 산학협력 적용 원리	31
<표 2-6> 산학협력의 유형별 구분	33
<표 2-7> 순환형 산업협력교육과 현행 산학협력교육의 비교 논점	36
<표 3-1> 전문대학에서의 산학협력교육 유형별 지원 사업	50
<표 3-2> 1단계 산학협력 중심대학 지원사업 현황	52
<표 3-3> 2단계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지원기관	54
<표 3-4> 학교기업 연도별 투자 현황(2004~2010)	56
<표 3-5> 학교기업 연도별 정부지원 현황(2004~2010)	56
<표 3-6> 2010년도 학교기업 지원 현황	58
<표 3-7> 계약학과 제도 개요	60
<표 3-8> 2009년 전문대학 계약학과 운영 현황	61
<표 3-9> 현장실습 프로그램	68
<표 3-10> 현장실습 운영 현황	70
<표 3-11> 현장실습 운영 절차	70
<표 3-12> 현장실습 실시 사례 - 계절제 현장실습	71
<표 3-13> 현장실습 실시 사례 - 학기제 현장실습	72
<표 3-14> 현장실습 학기제 및 학점제 개선방향	74
<표 3-15>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원	77
<표 3-16> 현장실습 학점제	81
<표 3-17> 현장실습 학점제 현황	82
<표 3-18> 취업약정제 프로그램 취업률	83
<표 3-19>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인한 전체 취업률	83
<표 3-20> 캡스톤 디자인 운영	88
<표 3-21> 현장실습 및 인턴십	89
<표 3-22> 현장실습 및 인턴십 지도 계획	92
<표 3-23> 현장실습 과목	100
<표 3-24> 현장실습 학점제 개요	118
<표 3-25> 현장실습 학점제 운영절차	120
<표 3-26> 만족도 조사 및 자체평가	121
<표 3-27> 현장실습 교육, 지도 및 평가	122
<표 3-28> 산업체 인턴십 운영	123
<표 3-29> 현장실습 결과 평가표	127
<표 3-30> 산업협력교육 현황 및 개선	128
<표 3-31> 주요 전문대학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사례의 시사점(1)	130
<표 3-32> 주요 전문대학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 사례의 시사점(2)	132
<표 4-1> 이원화 과정의 구조	144
<표 4-2> 이원화 대학 학위과정과 일반대학 학위과정과의 차이	145
<표 4-3> 이원화 학위과정의 운영 현황(2010년 4월 기준)	154
<표 4-4> 스웨덴 및 유럽연합 성인취업률(25~64세) 비교	176
<표 4-5> 스웨덴 및 유럽연합 청년실업률(15~24세) 비교	177
<표 4-6> 스웨덴 및 유럽연합 국내총생산 대비 교육 및 훈련부문공공투자 비율 (1999~2006)	177
<표 4-7> 스웨덴 및 유럽연합 성인층 교육수준 비율 (2008년)	178
<표 4-8> 직업교육 및 훈련관련 주요 법령	179
<표 4-9> 스웨덴과 유럽연합 회원국 평균 실질경제성장률	181
<표 4-10> 고등직업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및 교육생 참여비율(2009)	183
<표 5-1>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수업연한의 개선	203
<표 5-2>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205
<표 5-3> 산학협력촉진법 강화	207
<표 5-4> 전문대학과 특성화고 및 일반대학의 교육영역 차별화	209
<표 5-5> 고등단계 직업교육정책(정책 일관성, 재정지원 확대) 개선	211
<표 5-6> 직업교육 여건 개선(실험․실습 시설 및 장비 투자 확대)	212
<표 5-7> 산학협력 질 평가체제구축	214
<표 5-8> 귀 대학의 지역사회에 교육 경쟁력 정도	217
<표 5-9>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현황	224
<표 5-10> 현장실습 학기제 운영 기간 유형	226
<표 5-11> 현장실습 학기제 운영 학점 유형	229
<표 5-12>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 현황	232
<표 5-13>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대 효과	235
<표 5-14> 대학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문제점 인식 정도	239
<표 5-15> 산업체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문제점 인식	242
<표 5-16> 정부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문제점 인식	244
<표 5-17> 대학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개선점 인식	247
<표 5-18> 산업체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개선점 인식	251
<표 5-19> 정부 차원에서 산학협력교육 관련 개선점 인식	253
<표 5-20> 대학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필요성	255
<표 5-21> 산업체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필요성	257
<표 5-22> 정부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필요성	259
<표 5-23> 대학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효과성	262
<표 5-24> 산업체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효과성	264
<표 5-25> 정부 차원에서 산학협력 교육체제 구축 방안의 효과성	266
<표 5-26> 산업체의 일반적 특성	268
<표 5-27> 전문대학에 대한 교육훈련 만족도	271
<표 5-28> 산업체의 전문대학과 산학협력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274
<표 5-29> 전문대학과 산학협력교육의 중요성과 방안에 대한 의견	277
<표 6-1> 순환형 산학협력교육과 연계된 관련법 개정 및 제정	302
[그림 1-1] 연구 내용과 방법 및 절차	8
[그림 2-1] 거시적 차원에서 순환형 산학협력교육의 운영방식	37
[그림 2-2] 미시적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운영방식 예	38
[그림 3-1] 2단계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사업 내용	53
[그림 3-2] 산학협력단 조직	65
[그림 3-3] KTTS	66
[그림 3-4] TM Jump 프로그램	79
[그림 3-5] 산학협력중심 육성대학 사업단 구성도	99
[그림 3-6] 산학협력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102
[그림 3-7] 개념도	108
[그림 3-8] 맞춤형 주문식 교육 개념	110
[그림 3-9] 프로그램 운영기간	112
[그림 3-10] 교육 추진 방향	115
[그림 3-11] 추진전략	119
[그림 3-12]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과 전공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122
[그림 3-13] 산학협력교육 프로그램과 취업과 연계	124
[그림 4-1] 이원화 교육의 기본 틀	144
[그림 4-2] 스웨덴 교육시스템	171
[그림 4-3] 고등직업교육 및 훈련 참가자의 전직현황 비율(2008년)	186
[그림 4-4] 2008년도 입학한 고등직업교육 및 훈련 졸업자의취직현황 비율(2010년)	187
[그림 4-5] 교육부문별 고등직업교육 및 훈련 졸업생 취업률(2010)	188
[그림 6-1] 순환형 산학협력 교육체제 연계 모형	298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전문대학 순환형 산학협력교육 체제 구축 방안 2011.01.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