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지역별 인구고령화 전망(2005 & 2050) 9
<표 2-1> EU의 빈곤인구 현황(2005~2010) 23
<표 2-2> EU의 아동 빈곤 현황(2005~2010) 24
<표 2-3> EU의 유연안정성 전략의 구조 32
<표 2-4> 경제위기시의 유연성과 안정성의 양상 35
<표 2-5> 유연안정성에 대한 8가지 일반원칙 37
<표 2-6> 고용 관련 주요 목표 및 통합 가이드라인 38
<표 2-7> 자격수준별 일자리 전망(EU25+) 40
<표 2-8> 직업교육훈련 이동 지원프로그램 활용 현황(2007~2010) 47
<표 2-9> EU의 고용률(2002~2011) 50
<표 2-10> EU의 실업률(2002~2011) 52
<표 2-11> EU 회원국의 장기실업자 발생 비율(2011년) 52
<표 2-12> EU의 장기실업률(2002~2011) 53
<표 2-13> 노동유연성 관련 법규에 변화가 있는 국가(2008~2012) 54
<표 2-14> EU의 NEET 발생률(2001~2010) 57
<표 2-15> 유럽 청년보증 프로그램 예시(스웨덴, 핀란드) 58
<표 2-16> 청년보증프로그램에 대한 비용 59
<표 2-17> EU 숙련수급 전망(2010~2020)의 주요 결과 64
<표 2-18> 2010~2020년 동안 수요가 가장 많은 5대 직업 66
<표 3-1> EU의 고용-교육-VET 선진화 전략 72
<표 3-2> 유럽 2020의 3대 전략, 5대 목표, 7대 어젠다 소개 88
<표 3-3> 유럽 2020 전략의 실행지침 89
<표 3-4> ET 2010의 5대 달성목표 98
<표 3-5> ET 2010 실행 모니터링을 위한 29개 지표 104
<표 3-6> ET 2020의 5대 달성목표 113
<표 3-7> 브뤼게 선언의 22 단기 추진과제 139
<표 3-8> 토리노 선언의 ETF 협력국가의 지역별 구성 144
<표 3-9> 자격과 능력의 비교 152
<표 3-10> EQF 주요 기술자와 단계 구성 155
<표 3-11> 유럽자격체계와 국가자격체계의 수준 비교 157
<표 3-12> EU 회원국의 국가자격체계 수립 노력 160
<표 3-13> EU 회원국의 자격체계 적용 수준 165
<표 3-14> 유럽자격체계와 유럽의 VET과 HE 부문 학점이전제 비교 169
<표 3-15> 2010~2012 EQAVET 네트워크 활동 내역 174
<표 3-16> EQARF 모델의 질관리 척도 및 지침들 175
<표 5-1> EU의 통합적 VET 선진화 전략들 240
<표 5-2> ET 2020과 브뤼게 선언의 전략목표와 실행전략 비교 243
<표 5-3> 『제2차 직업능력개발 기본계획』 관련 내용 250
[그림 1-1] 유럽연합(EU)의 확장 8
[그림 1-2] EU의 주요 도전과 VET 선진화 전략 13
[그림 1-3] EU의 VET 선진화 전략 실행을 위한 정책수단 15
[그림 2-1] 실질 GDP 성장률과 정부부채비율(2002~2011) 22
[그림 2-2] 실질 GDP 성장률과 정부부채비율(2002~2011) 23
[그림 2-3] 조기학습 종료자 비율(2011) 48
[그림 2-4] 25~64세의 평생학습참여율(2010) 49
[그림 2-5] 청년층 장기실업자의 발생 비율(1997, 2006, 2010) 56
[그림 2-6] 총인구 대비 50세 이상 인구 전망(2010~2060) 60
[그림 2-7] EU의 고령화 정도(2010년) 61
[그림 2-8] EU의 노동시장 만기연령(2009년) 62
[그림 2-9] EU의 직업대분류별 숙련수급 전망 결과(2010~2020) 65
[그림 2-10] EU의 자격수준별 노동수요 전망(2010~2020) 67
[그림 3-1] EU의 종합적인 VET 발전전략 73
[그림 3-2] Lisbon 전략 수립의 배경과 대응전략 75
[그림 3-3] 리스본 전략의 핵심 내용 76
[그림 3-4] 유럽 2020 전략 수립의 배경 79
[그림 3-5] 유럽 2020의 주요내용 83
[그림 3-6] ET 2010의 전략목표와 13개 실행목표 96
[그림 3-7] ET 2010의 조기학습종료자 달성목표치 99
[그림 3-8] ET 2010의 문해능력 수준 달성목표치 100
[그림 3-9] ET 2010의 기초학력 달성목표치 100
[그림 3-10] ET 2010의 과학기술 분야(MST) 관련 달성목표치 101
[그림 3-11] ET 2010의 열린 학습환경 관련 달성목표(LLL) 102
[그림 3-12] EU 국가의 ‘ET 2010’의 5가지 벤치마크 달성 현황 107
[그림 3-13] ET 2010 달성목표: 조기학습종료자 추이(2000~2009) 108
[그림 3-14] ET 2010의 성인 평생교육 참가율(LLL) 목표치 달성도 110
[그림 3-15] ET 2020의 전략목표와 주요 실행전략 111
[그림 3-16] ET 2020 5가지 달성목표 도달 현황과 전망(2000~2020) 114
[그림 3-17] ET 2020 벤치마크: 30~34세 고등교육 학위소지자 비율 115
[그림 3-18] 코펜하겐 선언의 핵심 내용과 주요 성과 123
[그림 3-19] 브뤼게 선언의 주요 내용과 11개 전략목표 131
[그림 3-20] 토리노 프로세스의 모델 145
[그림 3-21] 토리노 프로세스의 분석틀 147
[그림 3-22] 평생학습 구현을 위한 EU의 정책적 도구들 167
[그림 3-23] EQAVET의 거버넌스와 협력구조 173
[그림 4-1] 주요 국가별 청년층 고용률 및 실업률 변화 추이 180
[그림 4-2] 최근 청년 및 성인 실업률의 변화: 2008년 1사분기와 2012년 1사분기의 차이 181
[그림 4-3] OECD 국가의 청년실업률 및 성인실업률의 관계 182
[그림 4-4] EU 국가별 청년실업률 및 고용률 비교(2011년) 183
[그림 4-5] EU 국가의 청년실업률 및 고용률의 관계(2011년) 184
[그림 4-6] EU 국가의 학력수준별 고용률 및 실업률(2011년) 185
[그림 4-7] EU 국가별 NEET 비율의 변화: 2007년과 2011년의 차이 186
[그림 4-8] 학교교육 이수연령과 일-학습 병행비율에 따른 집단 구분 190
[그림 4-9] 청년층의 일-학습 병행 비율과 고용률의 관계 191
[그림 4-10] 독일 지멘스의 컴파스 프로그램 개괄 198
[그림 4-11] 프랑스 기업의 고령자 능력개발 지원 사례 203
[그림 4-12] 핀란드의 고령근로자 개혁 정책과 그 성과 205
[그림 4-13] 연령대별 NOSTE 훈련 참가현황(2003~2006) 209
[그림 4-14] NOSTE 프로그램의 지역 네트워크 구성 212
[그림 4-15] EU의 개괄적인 직업교육 경로 221
[그림 4-16] EU 회원국의 후기 중등교육 단계 직업교육 참여율(2009) 222
[그림 4-17] 직업교육 및 일반교육 경로 간의 수평적‧수직적 이동 가능성 224
[그림 4-18] 고등교육으로의 이행이 가능한 고교 유형의 학생 비율(2009) 231
[그림 5-1] 교육, 고용, 능력개발의 삼각형 245
[그림 5-2] 유럽의 VET 선진화 전략이 주는 시사점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