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연구

A Study on Integrat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VET Institutes
저자
장혜정 김영생 나현미 심지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1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29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연구 결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3
제4절 용어의 정의 및 연구의 한계점	14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국내․외 사례 분석_17
제1절 국내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평가제도 분석	19
제2절 통합적 품질 관리(TQM)의 개념	37
제3절 국내 질 관리 사례	46
제4절 해외 직업훈련 평가제도 및 질 관리 사례	66
제5절 모형 개발의 이론적 기초	100
제3장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의개발_109
제1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 절차	111
제2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최초모형 개발	115
제3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의 타당화	125
제4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최종모형 개발	164
제4장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운영방안_181
제1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운영방안	183
제2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운영의 효과성 검증 방안	201
제5장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관련정책 제언_213
제1절 정책 제언	215
제2절 통합적 질 관리 체제의 단계별 정책 추진방안	224
SUMMARY_229
참고문헌_231
부  록_239
<부록 1> 미국 COE 자체평가 위원회 업무 시트	241
<부록 2> 호주 RTO 등록 표준	242
<부록 3> 호주 AQF 자격 유형	243
<부록 4> 정부 조기경보시스템	244
<부록 5> 훈련 품질 만족도 설문지	245
<부록 6> 온라인 설문지	248
<부록 7> 훈련기관 대상 질 관리 역량 체크리스트(예시)	260
<부록 8> 훈련기관별 외부 전문가 자문 및 개선계획안(예시)	269
<부록 9>중앙부처 인력양성사업의 자체 질 관리 도구 활용(예시)	277
  본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연구는 직업능력개발 훈련 체제의 구성요소와 실시과정(process), 단계별 산출물(output)을 규명하고, 이러한 체제적 접근법에 의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과 운영방안 및 정책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훈련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이를 통한 우수 인력의 효과적인 양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직업훈련 정책과 제도 운영상에 있어 여러 유관기관 간의 효과적인 상호 협조 체제의 가능성을 확보하고, 질 관리 측면에서 제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growing concer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a core components of nation’s global competitivenes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s policy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is also increasing. However, indiscriminate entrance to national VET education market and moral laxity of  insufficient training institutes cause social problems. Additionally, present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VET are performed by different agents and methods, it interrupts closer cooperation systems and lowers quality of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ll the components of national VET system and develop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includes not only the evaluation system but also process, procedure, and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quality and quality management in the field of management and education and previous research studies and case studies in quality management to build theoretical background. Also, problems in current national VET system’s evalu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thorough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veloped proto-type for integrated qual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training institutes and conducted simulation to validate the quality management model. With situational limitation, some part of the model was included for the simulation in 4 training institut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model was finalized with some modifications. ...
<표 1-1> 현장답사 기업의 개요	10
<표 1-2>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내용 및 방법	12
<표 2-1> 현 훈련기관 대상 평가제도의 개념, 평가적 기능, 법적 근거	31
<표 2-2> 국내 직업능력개발 훈련평가제도의 문제점	32
<표 2-3> TQM의 핵심 요소 5가지(Arcaro, 1995)	43
<표 2-4> TQM의 공통요인 8가지(김승현, 2005)	44
<표 2-5> 주요 개념 비교	45
<표 2-6> 품질 관리 도구의 유형	47
<표 2-7> 국내 전문대학 평가인증기준 및 세부기준	64
<표 2-8> 인증방문팀의 현장방문 일정(예)	73
<표 2-9> COE 평가기준 및 관련 내용	74
<표 2-10> 4일 평가 일정의 예	79
<표 2-11> 성인 대상 지역사회 훈련기관의 평가 결과(2007년~2011년)	81
<표 2-12> 교육기관 평가에 활용되는 평가 방법	85
<표 2-13> IQ:RS의 교육훈련기관 평가 영역과 평가 지표	87
<표 2-14> RTO 교육성과 품질 지표	91
<표 2-15> 국가별 직업훈련 질 관리 노력의 특이점	96
<표 2-16> 해외사례분석에 따른 적용 가능 시사점	100
<표 3-1>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핵심 이해관계자별 문제점 및 이상적 기대역할	116
<표 3-2>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의 변화모형(최초모형)	119
<표 3-3>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을 위한 개념적 관계도(1차)	123
<표 3-4> 시뮬레이션 시행 절차	126
<표 3-5> 시뮬레이션 참여자(외부전문가 및 유관기관 관계자)	128
<표 3-6> 시뮬레이션 참여자(협회)	129
<표 3-7> 시뮬레이션 참여자(훈련기관) 특성	130
<표 3-8> 시뮬레이션 시행 사후평가 내용	135
<표 3-9> 훈련서비스 만족도 설문 응답자 인구학적 특성	138
<표 3-10> 훈련서비스 만족도 설문 분석 결과(평균(표준편차))	139
<표 3-11> 온라인 설문조사 항목 및 문항	141
<표 3-12> 온라인 설문 참여기관의 기관평가 등급별 및 사전인증 형태별 빈도 분석 결과	142
<표 3-13> 일원분산분석 결과(연간 운영비 중 정부지원금 비율)	144
<표 3-14> 사후검증 결과(연간 운영비 중 정부지원금 비율)	145
<표 3-15> 기관평가 등급별 빈도분석 결과(연간 운영비 중 정부지원금 비율)	145
<표 3-16> 일원분산분석 결과(훈련과정 개발 방식)	146
<표 3-17> 사후검증 결과(훈련과정 개발 방식)	147
<표 3-18> 기관평가 등급별 빈도분석 결과(훈련과정 개발 방식)	148
<표 3-19> 일원분산분석 결과(전임강사 임금단가)	149
<표 3-20> 사후검증 결과(전임강사 임금단가)	149
<표 3-21> 기관평가 등급별 빈도분석 결과(전임강사 임금단가)	151
<표 3-22> 일원분산분석 결과(훈련이수생 1인당 평균 상담 횟수)	152
<표 3-23> 사후검증 결과(훈련이수생 1인당 평균 상담 횟수)	152
<표 3-24> 기관평가 등급별 빈도분석 결과(훈련이수생 1인당 평균 상담 횟수)	153
<표 3-25>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을 위한 개념적 관계도(2차)	161
<표 3-26>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을 위한 개념적 관계도(3차)	175
<표 4-1> 훈련생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0
<표 4-2> 훈련기관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1
<표 4-3> 지방노동관서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2
<표 4-4>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3
<표 4-5> 한국고용정보원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4
<표 4-6>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5
<표 4-7> 직종별 협회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6
<표 4-8> 고용노동부의 수행활동 및 기대 수행활동	197
<표 4-9> 사전 질 관리 단계의 평가 지표	203
<표 4-10> 심사 및 평가단계의 평가 지표	205
<표 4-11> 모니터링 단계의 평가 지표	208
<표 4-12> 조기경보시스템 추진 절차(안)	210
<표 4-13> 질 관리 역량 강화 단계의 평가 지표	211
[그림 2-1] 현 훈련기관 대상 평가제도 체계	20
[그림 2-2] 나만의 품질캐릭터 그리기	49
[그림 2-3] 자율경영현황 게시판	51
[그림 2-4] 작업 현장 모니터링	52
[그림 2-5] 부적합품 관리 프로세스	53
[그림 2-6] 품질 반성회 실시 현장	53
[그림 2-7] 신 품질 사이클	59
[그림 2-8] 국내 전문대학 평가인증절차 및 방법	65
[그림 2-9] 국내 전문대학 평가인증의 주기 및 유효기간	66
[그림 2-10] COE의 평가인증 절차	71
[그림 2-11] 자기 평가 과정	83
[그림 2-12] 평가 및 보고 과정의 타임라인	84
[그림 2-13] 평가 이후 활동	86
[그림 2-14] 프로그램 논리의 개념적 구조 모형(Chen, 2004)	104
[그림 2-15] 프로그램 논리 개념 틀 적용 예 - 캔턴 지구 학교 학업평가체계 프로그램 논리(변화모형)	106
[그림 2-16] 프로그램 논리 개념 틀 적용 예 - 캔턴 지구 학교 학업평가체계 프로그램 논리(행위모형)	107
[그림 3-1]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 개발 절차	112
[그림 3-2] 통합적 질 관리모형개발을 위한 중요요소별 관계도	113
[그림 3-3]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개발의 이론적 틀	115
[그림 3-4]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의 행위모형(최초모형)	121
[그림 3-5] 질 관리 시뮬레이션 흐름도	132
[그림 3-6] 수요자(훈련생) 대상 변화모형	167
[그림 3-7] 수요자(훈련생) 대상 행위모형	168
[그림 3-8] 공급자(훈련기관) 대상 변화모형	169
[그림 3-9] 공급자(훈련기관) 대상 행위모형	170
[그림 3-10] 핵심 이해관계자 간 업무 관계도	172
[그림 4-1]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운영방안 개요	187
[그림 4-2] 통합적 질 관리 체제 모형의 핵심 이해관계자별 운영 프로세스	200
[그림 5-1]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통합적 질 관리 조직 구성(안)	224
[그림 5-2]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추진방안	216
[그림 5-3] 통합적 질 관리 체제의 단계별 제도화 방안	22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능력개발 훈련기관 대상 통합적 질 관리 체제 연구 2012.01.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