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미국 위스콘신주 중등학교의 응용 보통교과 20
<표 2-2>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통합 교육과정의 접근 27
<표 2-3> 교육 코칭 활용 수업의 활동 단계별 활동 내용 38
<표 2-4> 교원 역량 강화 중심의 교원 교육 55
<표 3-1>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연도별 학교 수 변동 추이 62
<표 3-2>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지역별 현황 63
<표 3-3>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설립별 학교 현황 64
<표 3-4> 특성화고 계열별 학교 현황 65
<표 3-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연도별 학생 수 변동 추이 67
<표 3-6>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학년별 학생 현황 68
<표 3-7> 특성화고 신입생 연도별 지원 추이 69
<표 3-8>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신입생 지원 현황 70
<표 3-9> 특성화고 졸업생 연도별 취업률 및 진학률 추이 71
<표 3-10>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연도별 교원 수 변동 추이 72
<표 3-11> 2011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종합고 교원 현황 74
<표 3-1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 77
<표 3-13> 교원 연수 기관의 현황 93
<표 3-14> 주요 대학 교원의 직무 수행 능력 강화 연수 사례 94
<표 4-1> 프로젝트 진행 과정 및 전공 기초교과․실습교과 이론지도 내용 141
<표 4-2> 미국 ITEEA의 EbD 프로그램 제목 158
<표 4-3> 수업 몰입 이유 166
<표 4-4>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167
<표 4-5> 학생들의 수입 몰입도가 가장 높았던 방법 168
<표 4-6>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 비율(교직원 대상) 171
<표 4-7>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 비율(학습자 대상) 172
<표 4-8> 잘란트(Saarland)에서 직업기본교육년의 직업 분야‘경제와 행정’에서 경제학과 시간표 177
<표 4-9> ‘기업과 기업 세계’에서의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 178
<표 4-10> 2005년 노동 시장 진입 인문교육과 직업교육 훈련이수자의 비율 183
<표 4-11> 이원화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특징 185
<표 4-12> 도제제도(Apprenticeship) 계약 186
<표 4-13> 도입 단계 과정의 핵심과목 187
<표 4-14> 경제 직업김나지움 과목 188
<표 4-15> 기술 직업김나지움 과목 188
<표 4-16> 직업 분야별 영어 자격시험 194
<표 4-17> 스콜라(Skola) 프로그램 204
<표 4-18> 보쿰 대학 교직 관련 모듈의 예 208
<표 4-19> 보쿰 대학의 학사와 석사 과정 209
<표 4-20> 고등학교 국가 수준 프로그램별 참여 학생 비율 220
<표 4-21> 기본교과 이수 과목 및 학점 227
<표 4-22> 프로그램 공통교과 및 세부 과정 교과 및 학점 228
<표 4-23> 자연 자원 활용 프로그램의 교과목 편성 및 이수 체제 231
<표 4-24> 레스토랑 경영과 식품 프로그램의 교과목 편성 및이수 체제 232
<표 4-25> 전기와 에너지 프로그램의 교과목 편성 및 이수 체제 233
<표 4-26> 경영 프로그램의 교과목 편성 및 이수 체제 234
<표 4-27> 호텔과 관광 프로그램의 교과목 편성 및 이수 체제 235
<표 4-28> 프로그램 졸업장 취득을 위한 조건 241
<표 4-29> 고등학교 졸업 이수율과 중도 탈락률 243
<표 4-30> 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과목 247
<표 5-1> 조사 대상 및 방법 264
<표 5-2> 조사 내용 265
<표 5-3> 응답자 특성 분포 267
<표 5-4> 보통교과 내용의 기본적 교양과 직업기초능력 함양 적합성 268
<표 5-5> 보통교과 내용 수준의 적절성 270
<표 5-6> 보통교과 교육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 271
<표 5-7> 전문교과 내용의 직업능력 습득 적합성 273
<표 5-8> 전문교과 내용 수준의 적절성 274
<표 5-9> 전문교과 교육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 276
<표 5-10> 보통교과와 전문교과의 유기적인 연관 교육 여부 277
<표 5-11> 팀 티칭 경험 여부 278
<표 5-12> 팀 티칭 경험이 없는 이유 280
<표 5-13> 응용과목 개발 운영 여부 281
<표 5-14> 전문교과 관련 보통교과 기초 지식․기능에 관한 내용강화 필요성 282
<표 5-15> 전문교과 관련 보통교과의 기초 지식과 기능에 관한내용 강화 방법 284
<표 5-16> 학문 영역과 직업 영역을 통합한 응용과목 신설에 대한인식 285
<표 5-17> 개별 응용과목 신설 필요성(전체 응답) 286
<표 5-18> 개별 응용과목 신설 필요성(계층별) 288
<표 5-19> 바람직한 응용과목 내용 구성 290
<표 5-20> 바람직한 응용과목 교육 담당자 292
<표 5-21> 과제 연구 과목 신설에 대한 인식 294
<표 5-22> 바람직한 과제 연구 과목 이수 시기 295
<표 5-23> 바람직한 과제 연구 과목 이수 방식 296
<표 5-24> 팀 티칭 활성화의 필요성 297
<표 5-25> 교사 교육 연수 실시의 필요성 299
<표 5-26> 보통교과 담당 교사 대상 별도 연수의 필요성 300
<표 5-27> 보통교과 교사들의 특성화고 전담 근무에 대한 인식 302
<표 5-28> 특성화고의 계열과 기준학과의 재구조화 의견에 대한 인식 303
<표 5-29> 학생들의 일반적인 교실 수업 또는 실습 시간 몰입․집중 정도 305
<표 5-30> 수업 몰입 이유 동의 여부(전체 응답) 307
<표 5-31> 수업 몰입 이유 동의 여부(계층별) 308
<표 5-32> 수업 몰입을 못하는 이유 동의 여부(전체 응답) 309
<표 5-33> 수업 몰입 못하는 이유 동의 여부(계층별) 310
<표 5-34>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312
<표 5-35> 학생들의 수업 몰입도 수준 314
<표 5-36> 학생들의 수업 몰입도가 가장 높았던 방법 315
<표 5-37> 수업 몰입을 위한 내적동기 강화 방법 316
<표 5-38> 수업 몰입을 위한 외적 동기 강화 방법 317
<표 5-39> 내적 동기 유발과 외적 동기 유발의 시간 비율 318
<표 5-40> 수업 진행 시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 비율 319
<표 5-41> 역량 강화의 필요성 320
<표 5-42> 전문교과 교원의 역량 수준 321
<표 5-43> 현직 교육 참여 여부 323
<표 5-44> 참여 현직 교육 도움 정도 324
<표 5-45> 현직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관련 문제점의 정도 325
<표 5-46> 현직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개선 방안 326
<표 6-1> 특성화고의 수업 혁신 관련 SWOT 분석 344
<표 6-2> 교육 코칭 활용 수업의 구체적인 활동 내용 348
<표 6-3> 융합교육과 프로젝트 교수․학습법의 특징 비교 353
<표 6-4> 융합교육 기반 프로젝트 과제의 실제 예시 356
<표 6-5> 융합교육과 관련된 수업 설계 모형 367
<표 6-6> STEAM의 단계별 TBL 적용 방법 368
[그림 2-1] 프로젝트 수업 전개 절차 32
[그림 2-2] STEAM 교육을 위한 ‘김진수의 통합 모형’ 35
[그림 2-3] ICT 활용 마인드맵의 작성과정 도식 41
[그림 2-4] 교원과 학생의 효율적인 수업 활동 45
[그림 2-5] 예비 교원의 학교 현장 실습에서의 역량 강화 48
[그림 2-6] 교원의 역할과 직무 수행 능력의 연계점 52
[그림 4-1] 인천여자공업고 로봇교과 수업 과정 CLP 118
[그림 4-2] 전남공업고 SSP 실천 내용 127
[그림 4-3] 특성화고의 취업 활성화 정책에 따른 능동적 디자인 직무 130
[그림 4-4] 직무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 기반 수업 개요도 131
[그림 4-5] 단계별 실무 프로젝트를 통한 자기 주도적 디자인전문성 확보 132
[그림 4-6] 춘천실업고 수업 혁신 실천 내용 134
[그림 4-7] 강호항공고 이론과 실습교과의 단원 연계 140
[그림 4-8] 수업 시간 몰입(Flow)/집중(Classroom engagement)정도에 관한 학습자 응답 결과 165
[그림 4-9] 수업에서 가장 만족을 느낄 때 169
[그림 4-10] 수업 몰입을 위한 내적동기 강화 방법 170
[그림 4-11]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 비율(교직원 대상) 171
[그림 4-12]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 비율(학습자 대상) 172
[그림 4-13] 독일 교육 제도의 기본구조 176
[그림 4-14] 오토 브레너 학교(bbsme) 181
[그림 4-15] 새로운 연방 주의 주제별 BLK 모델 199
[그림 4-16] 자기 주도적⋅협동적 학습과정 203
[그림 4-17] 자기 주도적 학습의 두 축 203
[그림 4-18] 도르트문트 대학 학사 과정 단계별 교원 양성 특징 210
[그림 4-19] 스웨덴의 국가 수준 프로그램(national programmes) 222
[그림 4-20] 국가 수준 프로그램 교육과정 구조 224
[그림 4-21] 기본교과 범위(역사, 사회, 과학) 225
[그림 4-22] 기본교과 범위(수학) 226
[그림 4-23] 교사 훈련 프로그램 일반교육 핵심과목의 내용 246
[그림 4-24] 교사 학위 제도 256
[그림 5-1] 보통교과 내용 수준의 적절성 270
[그림 5-2] 보통교과 교육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 272
[그림 5-3] 전문교과 내용 수준의 적절성 정도 274
[그림 5-4] 전문교과 교육이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 275
[그림 5-5] 팀 티칭 경험이 없는 이유 280
[그림 5-6] 개별 응용과목의 신설 필요성 정도 287
[그림 5-7] 바람직한 응용과목 내용 구성 290
[그림 5-8] 과제 연구 과목 신설의 필요성 294
[그림 5-9] 계열과 기준학과의 재구조화 의견에 대한 인식 304
[그림 5-10] 학생들의 일반적인 교실수업 또는 실습시간 몰입․집중 정도 306
[그림 5-11]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 313
[그림 5-12] 전문교과 교원의 현직 교육 참여 여부 비율 322
[그림 6-1] 특성화고등학교 교육과정 혁신 모형 331
[그림 6-2] 특성화고등학교 계열 재구조화 예시 334
[그림 6-3] 코칭과 티칭의 차이 347
[그림 6-4] ICT 활용 마인드맵을 이용한 STEAM 364
[그림 6-5] PBL Cycle 371
[그림 6-6] 융합교육과 PBL 교수․학습 방법 연계의 학습 373
[그림 6-7] 교과 내 수업형의 예 374
[그림 6-8] 교과 연계 수업형 375
[그림 6-9] 창․체 활용형 375
[그림 6-10] 직무 수행 능력 강화를 위한 방향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