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1> 대 개도국 개발재원의 국별 비교(2009년, 백만달러) 14
<표 2-2> CSR 2.0과 CSR 3.0의 비교 22
<표 2-3> 2011년 KOICA 민관협력사업 현황 26
<표 2-4> 2012년 KOICA 민관협력사업 현황 28
<표 3-1> DAC 회원국의 PPP 원조 및 비율 변화: 2004~2010년 48
<표 3-2> 독일 민관협력사업 자금 규모: 1999~2009년 53
<표 3-3> 독일 develoPPP 프로그램 구성 55
<표 3-4> 독일 develoPPP.alliance 지원대상 사업 선정기준 59
<표 3-5> GIZ 직업교육훈련 중점 지원 분야 61
<표 3-6> 독일 sequa 우간다 직훈 PPP 프로젝트: ICity, e-competence network 66
<표 3-7> 미국 USAID 개발혁신벤처(DIV) 모델 단계별 지원내용 69
<표 3-8> 미국 USAID 직업교육훈련 중점 지원 분야 73
<표 3-9> 쉐브론-USAID PPP 사례 1: 쉐브론-아체 재건복구 이니셔티브 80
<표 3-10> 쉐브론-USAID PPP 사례 2: 아체 기술전문대 프로그램 82
<표 3-11> JICA의 민간기업과의 협력유형 87
<표 3-12> 외무성-중소기업해외진출지원 제도 95
<표 3-13> 독일․미국․일본의 PPP 특징 103
<표 4-1> KOICA 직업교육훈련 지원실적: 2007년 이후 114
<표 4-2> 한국수출입은행 EDCF 직업교육훈련 지원 실적: 2007년 이후 117
<표 4-3> 삼익기술학교 사업의 세부목표 및 사업내용, 성과측정지표 121
<표 4-4> 독일, 미국, 한국의 직훈 PPP 비교 133
<표 6-1>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운영 현황(2011. 12): 분야별 승인실적 168
<표 7-1> 인프라 구축형 PPP 사업 시행시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점의 예 184
<표 8-1> 민관개발연대사업 평가기준표 예시: 삼익악기(주) 인도네시아 직업교육훈련 사업 201
<표 8-2> 국제개발 민관협력의 형태 및 용어 210
[그림 2-1] CSR 융합형 국제개발 민관협력 11
[그림 2-2] 포용적인 개발 파트너십 40
[그림 3-1] DAC 공여국 PPP 원조 규모 변화: 2004~2010년 48
[그림 3-2] 주요 DAC 공여국별 PPP 원조 규모: 2010년 49
[그림 3-3] 주요 DAC 공여국별 전체 ODA 대비 PPP 원조 비율: 2010년 50
[그림 3-4] 주요 DAC 공여국별 직업교육훈련 원조 규모: 2010년 51
[그림 3-5] 독일 민관협력사업 지역·분야별 배분: 1999~2009년 54
[그림 3-6] 독일 sequa 주주와 협력 통한 시너지효과 57
[그림 3-7] 독일 sequa, 고객, 협력기관 간 역할분담 58
[그림 3-8] 미국 USAID 개발혁신벤처 모델 69
[그림 3-9] 민간기관의 GDA 사업지원 프로세스 71
[그림 3-10] USAID GDA 사업의 부문별, 지역별 배분: 1999~2007년 72
[그림 3-11] USAID 교육 PPP 5대 모델 74
[그림 3-12] USAID 인력개발 PPP 5대 모델 76
[그림 3-13] 일본 ODA 담당기관 84
[그림 3-14] 일본 민관협력의 기본방침 86
[그림 3-15] 중소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관련 기관 협력체계 93
[그림 4-1] KOICA의 민관협력예산 규모: 2010~2012년 109
[그림 4-2] KOICA 글로벌 CSR 사업 지역별, 소득수준별 비중: 2010~2012년 110
[그림 4-3] KOICA의 글로벌CSR 사업 지역별 지원실적: 2010~2012년 111
[그림 4-4] 한국 및 DAC 평균 전체교육, 직업교육훈련 ODA 규모 113
[그림 4-5] 삼익기술학교 사업 참여기관별 역할분담 구조 120
[그림 4-6] 가나 자동차 기술교육센터 청소년 역량강화 사업 참여기관별 역할분담구조 126
[그림 7-1] Global CSR 사업: 직업교육훈련 부문 177
[그림 7-2] GlobalCSR 사업: 시장개척형 178
[그림 7-3] Global CSR 사업: 자선형 179
[그림 7-4] CSR 융합형 : 민간 컨설팅 기관의 역할 181
[그림 7-5] PPP 사업 기본 구조도 185
[그림 7-6] 인프라 구축형 : 직업교육 훈련부문 185
[그림 7-7] 직업교육훈련 PPP모형①: 통합형(진입형 + 사후관리형) 188
[그림 7-8] 직업교육훈련 PPP모형②: 사후관리형 189
[그림 7-9] 직업교육훈련 PPP모형③: 진입형 190
[그림 7-10] Global CSR에 기반한 다자간 PPP 사업 모형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