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신 아시아 구상 실현을 위한 對중앙아시아 직업교육훈련 공적개발원조(ODA) 활성화 방안(Ⅲ)

Facilitat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Central Asia to the Realization of New Asia Community(III)
저자
조정윤 오호영 곽재성 윤성학 정지선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3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2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7
제3절 연구 내용	8
제4절 연구 방법 및 추진절차	15
제5절 용어의 정의	21
제2장 한국의 PPP기반 ODA 사업 추진 현황_25
제1절 한국국제협력단(KOICA)	27
제2절 한국수출입은행(KEXIM)	35
제3장 중앙아시아 3개국 진출 한국기업 현황과 CSR_41
제1절 이행기 경제와 CSR	43
제2절 중앙아시아 CSR 현황과 특징	54
제3절 한국기업의 중앙아시아 CSR 현황과 특징	75
제4절 한국기업의 중앙아시아 CSR 활성화 전략	84
제4장 중앙아시아 진출 한국기업 CSR 및 직업교육훈련 실태조사_99
제1절 조사개요	101
제2절 조사결과	109
제3절 시사점	154
제5장 직업교육훈련 ODA의 PPP 접근 사례 분석_169
제1절 직업교육훈련 ODA의 PPP 접근 개요	171
제2절 PPP 접근 사례	187
제3절 시사점	198
제6장 PPP기반 중앙아시아 직업교육훈련 활성화 방안 및 정책제언_203
제1절 중앙아시아 3개국과 한국 간 PPP 사업 유형	206
제2절 중앙아시아 3개국에서 PPP 사업 활성화 방안	220
제3절 정책제언	228
SUMMARY_237
참고문헌_241
부 록_247
1. 설문조사지	249
2. 면담조사 결과	258
3. 정부지원 해외 인턴십 현황	281
  본 연구의 목적은 2차년도의 중앙아시아 3개국 기초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화 연구를 실시하여 PPP에 기반한 중앙아시아 직업교육훈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업의 CSR에 기반한 PPP 관점에서 대(對)중앙아시아 직업교육훈련분야의 ODA 추진 방향과 정책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third part of the three-phase research that aims to propose guidelines and policies for facilitat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in Asia.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two parts of Asia - South East Asia and Central Asia - for 3 years.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two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ected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and Mongolia - in order to suggest policies for facilitating ODA in VET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
<표 1-1> 3개년(2010~2012)의 연구내용	14
<표 1-2> 중앙아시아 3개국 면담조사 참가자	16
<표 1-3> KRIVET-KOICA 공동세미나	18
<표 2-1> 2010년 KOICA PPP 시범사업 현황	29
<표 2-2> 2011년 KOICA PPP 사업 현황	30
<표 2-3> 2012년 KOICA PPP 사업 현황	31
<표 2-4> 인프라 구축형 PPP 사업 시행 시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점의 예	37
<표 3-1> 2000년대 중앙아시아 경제성장률(%)	46
<표 3-2> Mirvis의 CSR 이행단계	53
<표 3-3> 기업 영업여건의 국가별 순위	64
<표 3-4> 주요 분야별 FDI 유입 비중 변화(%)	85
<표 3-5> 중앙아시아 CSR 현황 분류	90
<표 4-1> 국가별 조사 표본틀	103
<표 4-2> 조사내용	104
<표 4-3> 기본 응답현황	106
<표 4-4> 응답현황 - 국내 모기업 및 현지기업 수 비교	107
<표 4-5> 국내 모기업 및 현지기업 조사 비교	108
<표 4-6> 중앙아시아 진출 국가	109
<표 4-7> 사업 활동의 유형	110
<표 4-8> CSR 활동 국가	111
<표 4-9> 최근 5년 이내 CSR 활동 여부	111
<표 4-10> CSR 활동 추진 이유	112
<표 4-11> CSR 활동 방식(복수응답)	114
<표 4-12> CSR의 성과	115
<표 4-13> CSR 활동의 외부적 제약조건	117
<표 4-14> CSR 활동 추진 시 내부적 저해요인	118
<표 4-15> CSR 활동 추진 시 중요하거나 필요한 요인	119
<표 4-16> 중앙아시아 법인에서 CSR 활동을 하는 기업의 전담부서 및 인력	120
<표 4-17> 중앙아시아 CSR 활동과 관련한 전략 및 기준	121
<표 4-18> CSR 활동의 수혜대상 선정 시 중시하는 사항	123
<표 4-19> CSR 사업 시 협력대상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	125
<표 4-20> CSR 활동 형태	126
<표 4-21> CSR 활동 시 주 협력파트너	127
<표 4-22> CSR 활동 영역	128
<표 4-23> 최근 5년간 교육훈련 분야 CSR 활동 여부	130
<표 4-24> CSR 활동으로 실시하는 교육훈련 방식	131
<표 4-25> CSR으로 실시하는 교육훈련의 비용분담 방식	132
<표 4-26> 진출한 국가에서의 교육훈련 분야 CSR 활동 방식	133
<표 4-27> 진출한 국가에서의 교육훈련 분야 CSR 활동 문제점	135
<표 4-28> 진출한 국가에서의 교육훈련 분야 CSR 활동성과	136
<표 4-29> 직업훈련과 관련하여 수행한 CSR 활동	137
<표 4-30> ODA 인지 여부	138
<표 4-31> 공적자금을 활용한 CSR 활동 경험	139
<표 4-32>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CSR 활동 비추진 이유	140
<표 4-33> ODA 자금을 활용한 CSR 활동 추진 의사	142
<표 4-34> ODA 자금을 활용한 CSR 활동 추진 시 목적	143
<표 4-35> ODA 자금을 활용하여 CSR 활동 추진하고자 하는 분야	144
<표 4-36> 교육훈련에서 CSR 활동 제공 방식	146
<표 4-37> 글로벌인재 사업 인지 및 참여여부	149
<표 4-38> 글로벌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사회공헌 활동에 활용하지 않는 이유	150
<표 4-39>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글로벌인재 양성프로그램을 사회공헌 활동에 활용 계획 여부	151
<표 4-40> 글로벌인재 양성프로그램 활용 정도 계획	152
<표 4-41> 봉사단 및 인턴 활용 시 비용분담 또는 편의 제공 의향	153
<표 6-1> 한국-우즈베키스탄 최근 교역 동향	206
<표 6-2> 업종별 우즈베키스탄 투자 현황	207
<표 6-3> 한국의 대 몽골 투자* 현황: 업종별(1994~2009)	213
<표 6-4> 한국의 대 중앙아시아 3개국 진출 가능 주요산업	215
<표 6-5> 중앙아시아 3개국 PPP 가능 사업 형태	220
[그림 1-1] 연도별 연구 내용	9
[그림 1-2] 제1차년도(2010) 연구내용	10
[그림 1-3] 제2차년도(2011) 연구내용	11
[그림 1-4] 제3차년도(2012) 연구내용	12
[그림 1-5] 연구 방법	19
[그림 1-6] 연구 추진 절차	20
[그림 2-1] 삼익기술학교 사업 참여기관별 역할분담 구조	34
[그림 2-2] KEXIM 인프라 구축형 PPP 사업의 기본 구조도	38
[그림 3-1] 1991년을 100으로 한 유라시아 국가의 GDP의 양적 지수	47
[그림 6-1]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무역 동향	209
[그림 6-2] 연도별 한-몽골 교역 현황	21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신아시아 구상 실현을 위한 對중앙아시아 직업교육훈련 공적개발원조(ODA) 활성화 방안(Ⅲ)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