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마이스터고·특성화고 2012년 절대평가 도입에 따른 산업체 현장 직무능력평가 적용과 과제

Application and Challenges of Competency Evaluation in Industries with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2012 Absolute Evaluation System in Meister/Specialized High Schools
저자
김선태 허영준 김민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3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09.30
등록일
2013.02.05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5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_17
제1절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 평가	19
제2절 산업체 대상 정책수용도 이론 적용	24
제3장 (절대)성취평가제 도입 설문분석결과_35
제1절 학교 및 산업체 대상 인식조사	37
제2절 산업체 정책수용도 조사	59
제4장 결론 및 정책 제언_73
제1절 SWOT 분석 결과	75
제2절 주요 이슈별 해결 방안 제시	78
제3절 정책 제언	90
SUMMARY_101
참고문헌_105
부   록_103
1.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성취평가제 운영의 대한 인식 조사 설문지(교원 및 직업교육 관계자용)	105
2.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성취평가제 운영의 대한 인식 조사 설문지(산업체 관계자용)	117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본 (절대)성취평가제가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향후 제도 보완을 위해 필요한 내용, 장애요인, 국가직무능력표준과의 연계 발전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산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절대)성취평가제에 대한 인식 및 수용성, 본 (절대)성취평가제 운영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국가직무능력표준과의 연계 발전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ccessfully settle the competency evaluation, introducing based on 2012 absoluteevaluation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For teachers and industry people, this studydid arecognition survey that was expected to provideit as basic materials for futurepolicy study. Weadditionallyconductedthe compliance degree methods based on industrial people’s demographic factors. Other research methods such as analyzingrelated materials or reviewing literature, and holdingconferences of vocational education professionals are included. As a result, the output is presented as policy recommendations which came out with help of SWOT analysis methods. 


1. Characters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First of all, the competency evaluation needs to be developedas a way of closely connecting with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his connectivity between two concepts is mostly required to meet the needs of a job competency, such aspreparing curriculums in class or training courses in workplace
Second, even though it was initially designed to reflect the industrial trends, the previous evaluationshave been failed to fulfill its satisfaction level. Because these evaluations were not enough to meet the need of industrial workplaces in the aspects ofrecognition of the existing, utilization alternatives, and expected outcomes, etc.

2. Teacher/Industry People Recognition Survey 

First, when it comes to deal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2 absolute evaluation system, it has been shown in a positive mood by teachers as well as industry people. However, it generated conflicting result todeal with its application in the industry. 
Second, after its sectional analysis, the teacher’s recognition level is high in terms ofrecognition of the existing, utilization alternatives, and expected outcomes. Especially, the recognition level of teachers in the general curriculum is more than that of teachers in the specialized.
Third, the level of outcome in the industry is high in case that they are aged, experienced, graduated from vocational college, humanities course in high school, and in rural areas.
Fourth, the results of compliance degree reveal that it had significant results, which is not only the availability of the system but also the reliability on vocational education in general. Judging by this result, it needs to prepare, to back up policy alternatives, or to prepare methods to raise its reliability 

3. Policy Recommendations

Firstly, it should mitigate side effectscame from the temptation of overstatement in school grade. For this, it is need to develop the achievement evaluation and its related specific standards, to reinforce its power from the committee of management of school grade, to revitalize curriculum conference, to do teacher occupational training, and to strengthen consulting efforts.
Second, it need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s validity as well as its reliability. It is essential to secure credit from industry as networking, standarzation of conductive evaluation sheet or its methods
Third, as introducing theabsolute evaluation systems, it needs to eradicate its concern about administrative overloads in school jobs. As alternatives, it is recommended thatit take developing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 system, preparing the systemic solution to teacher’s overloads, organizing a follow-up management.
Fourth, the absolut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fficiently adopted in school. Both swift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and teacher training are recommended as alternatives.
Lastly, the absolute evaluate system can also apply to the industry. There are diverse options such as a curriculum development reflected NCS, Achieve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Level system based on industry needs, optimizing its evaluation methods accordance to the industry field, teacher’s industrial training, advertisement for this evaluation system’s effectiveness toward industry, Achievement evaluation portal site, and social atmosphere.
<표 1-1> 협의회 전문가 명단 및 참석 현황	7
<표 1-2> 학교 대상 설문조사 일반적 특성	9
<표 1-3> 학교 대상 설문 주요 문항내용 및 형태	11
<표 1-4> 산업체 대상 설문조사 일반적 특성	12
<표 1-5> 산업체 인식 조사도구의 구성	14
<표 2-1> 중요 변수의 조작화와 세부측정 항목 제시	34
<표 3-1>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개념 및 도입 배경ㆍ필요성에 대한 인식	38
<표 3-2>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운영에 대한 인식	39
<표 3-3>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40
<표 3-4>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운영상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41
<표 3-5>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제도 적용 후 효용성에 대한 인식	42
<표 3-6> 학교 대상 ‘성취기준ㆍ성취수준’ 개발 시 NCS와의 연계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46
<표 3-7>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결시생 인정점 부여 방안 변경’에 대한 인식	46
<표 3-8>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담당주체별 인식	47
<표 3-9>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계열별 인식	49
<표 3-10>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근무경력별 인식	50
<표 3-11>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보통교과/전문교과별 인식	51
<표 3-12>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거주 도시별 인식	52
<표 3-13> 산업체 대상 (절대)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산업체 수요 인재 육성 도움 여부 빈도조사	53
<표 3-14> 산업체 대상 적용성 및 우수인재 배출에 대한 인식 빈도조사	54
<표 3-15> 산업체 대상 성취평가제 보완 필요성 인식 빈도조사	54
<표 3-16> 산업체 대상 NCS와의 연계가능성 인식 빈도조사	56
<표 3-17> 각 변인에 대한 평균과 신뢰도	59
<표 3-18> 연령대별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인지적 차이	60
<표 3-19> 학력별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인지적 차이	62
<표 3-20> 전공계열별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인지적 차이	64
<표 3-21> 근무경력별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인지적 차이	66
<표 3-22> 도시 규모별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 인지적 차이	67
<표 3-23> (절대)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산업체 직무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9
<표 4-1> (절대)성취평가 예상 소요시간 비교(1과목 기준)	83
[그림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5
[그림 2-1] 기술수용모형	25
[그림 2-2] 합리적 행동 이론 모형	26
[그림 3-1]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 대한 인식	43
[그림 3-2]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적절한 개발기관 선호도	44
[그림 3-3] 학교 대상 (절대)성취평가제의 대입전형 자료로의 활용을 위한 개선점	45
[그림 3-4] 성취평가제의 긍정적 효과(산업체)	55
[그림 3-5] 성취평가제의 부정적 효과(산업체)	56
[그림 4-1] (절대)성취평가제에 대한 SWOT 분석 결과	77
[그림 4-2]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교육과정 개발 모형	80
[그림 4-3] 일-교육ㆍ훈련-자격의 연계	82
[그림 4-4] 마이스터고ㆍ특성화고 (절대)성취평가제의 효율적 적용을위한 정책 제언	9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마이스터고·특성화고 2012년 절대평가 도입에 따른 산업체현장 직무능력평가 적용과 과제 2012.04.01~2012.09.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