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전문대학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전공대학) 개편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form Agendas for Accredit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Granting Equal Academic Achievement as Vocational Colleges
저자
윤형한 신동준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5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1.30
등록일
2013.01.2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전문대학전공대학 학력인정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10
제3절 연구의 방법	10
제4절 연구의 제한점	17
제2장 전공대학 전환 배경과 관련 법⋅규정 및 제도_19
제1절 전공대학 전환 배경	21
제2절 전공대학 관련 법⋅규정 및 제도	3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51
제3장 전공대학 운영 현황과 실태_55
제1절 학사운영	57
제2절 학생 수업 및 평가	66
제3절 교원	73
제4절 재정 및 시설	80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93
제4장 전공대학 졸업자의 교육 인식_97
제1절 전공대학 입학	99
제2절 전공대학 교육	103
제3절 전공대학 졸업 후 진로 및 취업	126
제4절 조사결과 요약 및 시사점	139
제5장 전공대학 발전 방향_145
제1절 고등교육-직업교육-평생교육의 변화 추세	147
제2절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전공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방향	165
제6장 전공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_175
제1절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서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제	177
제2절 전공대학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과제	183
제3절 전공대학 학사운영 체계화를 위한 과제	188
제4절 전공대학 운영의 투명성 강화를 위한 과제	194
참고문헌_201
부록_207
<부록 1> 2013년도 전공대학 입학전형 시행 계획	209
<부록 2> 2012년도 전공대학-전문대학 교육과정 편제 내용	211
<부록 3> 심층 면담 질문지	215
<부록 4> 졸업자 설문 조사지	216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대학이 전문대학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로서 전공대학 위상 재정립 및 실질적 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전공대학의 건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전공대학 교육의 질 제고, 학교 운영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에 초점을 두고 추진되었다.
<표 1-1> 전공대학 운영 파악을 위한 자료의 항목	11
<표 1-2> 전공대학 졸업자 현황	13
<표 1-3> 조사 대상의 특성	14
<표 1-4> 대학교육 인식도 조사 내용	14
<표 1-5> 전공대학 관계자 면담 내용	15
<표 2-1> 고등기술학교(전공과)-전공대학-전문대학의 교육목적	26
<표 2-2> 평생교육법의 전공대학 명칭 사용 허용 조문	30
<표 2-3> 고등기술학교 전공과 현황	33
<표 2-4> 전공대학 교사(校舍) 기준	37
<표 2-5> 전공대학의 교지 기준	38
<표 2-6> 전공대학의 교원 산출 기준	39
<표 2-7> 전문대학 학력인정 전공대학 인가 현황	42
<표 2-8> 전공대학 졸업자 배출 규모(2008~2012)	53
<표 2-9> 전공대학 관련 법⋅규정 및 제도	54
<표 3-1> 전공대학의 교육목표	59
<표 3-2> 전공대학의 설치학과 및 입학정원	61
<표 3-3> 신입생 충원률과 경쟁률, 입학정원 및 모집인원	65
<표 3-4> 재학생 충원률	66
<표 3-5> 전공 및 교양과목 성적 분포 평균	71
<표 3-6> 졸업생의 성적 분포 평균	72
<표 3-7> 전체 교원 대비 전임교원 현황	73
<표 3-8>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76
<표 3-9> 전임교원 확보율	77
<표 3-10> 강좌 규모별 강좌 수	78
<표 3-11> 교원 강의담당 비율	80
<표 3-12> 연간 등록금 현황	81
<표 3-13> 교비회계 대차대조표	85
<표 3-14> 등록금 회계(운영손익계산서 기준)	86
<표 3-15> 교내 및 교외 장학금 및 학생 1인당 장학금	89
<표 3-16> 학자금 대출 이용학생 비율	90
<표 3-17> 전공대학 및 전문대학 교지 확보율	92
<표 3-18> 교사 확보율	92
<표 4-1> 대학 입학 당시 상황	100
<표 4-2> 이전(편입학 또는 재진학 전) 대학의 종류	100
<표 4-3> 편입 혹은 재진학을 하게 된 주된 이유	101
<표 4-4> 졸업한 대학을 선택한 주된 이유	102
<표 4-5> 졸업한 대학에 대한 정보를 얻은 방법	102
<표 4-6> 대학에 대한 정보가 대학 선택에 준 도움 정도	103
<표 4-7> 대학의 물리적 시설 및 교육 시설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05
<표 4-8> 대학의 대외적 명성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07
<표 4-9> 학생에 대한 관심 및 요구사항 반영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0
<표 4-10> 교육에 대한 태도와 학생의 신뢰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2
<표 4-11> 대학의 재정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4
<표 4-12> 대학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5
<표 4-13>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7
<표 4-14> 대학의 학습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9
<표 4-15> 대학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121
<표 4-16> 졸업한 대학의 사회적 평판	122
<표 4-17>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수준(1) : 재입학, 추천 등	123
<표 4-18>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수준(2) : 발전, 투자, 노력 등	125
<표 4-19> 대학 졸업 후 진로 현황	127
<표 4-20> 취업을 위한 정보를 얻은 방법	128
<표 4-21> 현 일자리에 입사한 경로	128
<표 4-22> 현 직장을 선택한 이유	129
<표 4-23> 현 직장에서 하는 일(직업분류: 대분류)	130
<표 4-24> 월평균 임금	131
<표 4-25> 직업과 전공과의 직무 연관성	131
<표 4-26> 직업생활에 대한 전공교과목의 도움 정도	132
<표 4-27> 직장에서의 요구하는 기술과 능력 수준과 본인의 수준 비교	133
<표 4-28> 직장에서의 요구하는 교육수준과 본인의 수준 비교	134
<표 4-29> 대학 졸업 후 진학한 대학의 종류	135
<표 4-30> 대학에 다시 진학한 주된 이유	135
<표 4-31> 졸업한 대학의 전공과 진학한 대학의 전공의 유사성	136
<표 4-32> 현재 학력이나 능력에 맞는 일자리에 대한 일할 의사	137
<표 4-33> 일을 하지 않으려는 주된 이유	137
<표 4-34> 대학 재학 중 진로 및 취업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 여부	138
<표 4-35> 대학 재학 중 참여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의 만족도	139
<표 5-1> 2012년 대학정보공시 대상 고등교육기관	151
<표 5-2> 2012년도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성과 포뮬러 구성 지표	154
<표 5-3>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평가 지표(전문대학)	155
<표 5-4> 학자금대출 제한대학 평가 지표(전문대학)	157
<표 5-5> 우리나라 직업교육체제 진단	162
<표 6-1> 전공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	199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16
[그림 2-1] 전공대학의 전문대학과 동등성 확보 과정	27
[그림 2-2] 전공대학 인가 절차	41
[그림 3-1] 전공대학 학사운영 실태 분석의 틀	58
[그림 3-2] 신입생의 충원률 및 경쟁률, 재학생 충원률	64
[그림 3-3] 전공과목 성적분포	68
[그림 3-4] 교양과목 성적분포	69
[그림 3-5] 졸업생의 성적분포	70
[그림 3-6] 전임교원 비율	74
[그림 3-7]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편제정원 기준)	75
[그림 3-8] 전임교원 확보율	77
[그림 3-9]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	79
[그림 3-10] 전체 수익 대비 등록금 수입	82
[그림 3-11] 전체 지출비용 대비 운영 비용 지출	83
[그림 3-12] 학생 1인당 장학금	87
[그림 3-13] 교외 및 교내 장학금	88
[그림 3-14] 학자금 대출 비율	89
[그림 3-15] 교지 확보율	91
[그림 3-16] 교사시설 확보율	91
[그림 4-1] 대학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16
[그림 4-2]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18
[그림 4-3] 대학의 학습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20
[그림 4-4]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점수(1) : 재입학, 추천 등	124
[그림 4-5]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점수(2) : 발전, 투자, 노력 등	126
[그림 5-1] 전문대학 및 대학의 학생 충원율 전망	149
[그림 5-2] 고등직업교육기관 평가인증기준	153
[그림 5-3] 본 연구에서 전공대학의 성격에 대한 규정	164
[그림 5-4] 전공대학-전문대학 신입생-재학생의 연령 분포	168
[그림 5-5] 전공대학의 발전 방향과 개선 과제	17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전문대학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전공대학) 개편 방안 연구 2012.08.16~2012.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