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1> 전공대학 운영 파악을 위한 자료의 항목 11
<표 1-2> 전공대학 졸업자 현황 13
<표 1-3> 조사 대상의 특성 14
<표 1-4> 대학교육 인식도 조사 내용 14
<표 1-5> 전공대학 관계자 면담 내용 15
<표 2-1> 고등기술학교(전공과)-전공대학-전문대학의 교육목적 26
<표 2-2> 평생교육법의 전공대학 명칭 사용 허용 조문 30
<표 2-3> 고등기술학교 전공과 현황 33
<표 2-4> 전공대학 교사(校舍) 기준 37
<표 2-5> 전공대학의 교지 기준 38
<표 2-6> 전공대학의 교원 산출 기준 39
<표 2-7> 전문대학 학력인정 전공대학 인가 현황 42
<표 2-8> 전공대학 졸업자 배출 규모(2008~2012) 53
<표 2-9> 전공대학 관련 법⋅규정 및 제도 54
<표 3-1> 전공대학의 교육목표 59
<표 3-2> 전공대학의 설치학과 및 입학정원 61
<표 3-3> 신입생 충원률과 경쟁률, 입학정원 및 모집인원 65
<표 3-4> 재학생 충원률 66
<표 3-5> 전공 및 교양과목 성적 분포 평균 71
<표 3-6> 졸업생의 성적 분포 평균 72
<표 3-7> 전체 교원 대비 전임교원 현황 73
<표 3-8>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 76
<표 3-9> 전임교원 확보율 77
<표 3-10> 강좌 규모별 강좌 수 78
<표 3-11> 교원 강의담당 비율 80
<표 3-12> 연간 등록금 현황 81
<표 3-13> 교비회계 대차대조표 85
<표 3-14> 등록금 회계(운영손익계산서 기준) 86
<표 3-15> 교내 및 교외 장학금 및 학생 1인당 장학금 89
<표 3-16> 학자금 대출 이용학생 비율 90
<표 3-17> 전공대학 및 전문대학 교지 확보율 92
<표 3-18> 교사 확보율 92
<표 4-1> 대학 입학 당시 상황 100
<표 4-2> 이전(편입학 또는 재진학 전) 대학의 종류 100
<표 4-3> 편입 혹은 재진학을 하게 된 주된 이유 101
<표 4-4> 졸업한 대학을 선택한 주된 이유 102
<표 4-5> 졸업한 대학에 대한 정보를 얻은 방법 102
<표 4-6> 대학에 대한 정보가 대학 선택에 준 도움 정도 103
<표 4-7> 대학의 물리적 시설 및 교육 시설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05
<표 4-8> 대학의 대외적 명성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07
<표 4-9> 학생에 대한 관심 및 요구사항 반영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0
<표 4-10> 교육에 대한 태도와 학생의 신뢰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2
<표 4-11> 대학의 재정에 대한 기대와 경험 수준 114
<표 4-12> 대학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5
<표 4-13>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7
<표 4-14> 대학의 학습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119
<표 4-15> 대학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121
<표 4-16> 졸업한 대학의 사회적 평판 122
<표 4-17>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수준(1) : 재입학, 추천 등 123
<표 4-18>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수준(2) : 발전, 투자, 노력 등 125
<표 4-19> 대학 졸업 후 진로 현황 127
<표 4-20> 취업을 위한 정보를 얻은 방법 128
<표 4-21> 현 일자리에 입사한 경로 128
<표 4-22> 현 직장을 선택한 이유 129
<표 4-23> 현 직장에서 하는 일(직업분류: 대분류) 130
<표 4-24> 월평균 임금 131
<표 4-25> 직업과 전공과의 직무 연관성 131
<표 4-26> 직업생활에 대한 전공교과목의 도움 정도 132
<표 4-27> 직장에서의 요구하는 기술과 능력 수준과 본인의 수준 비교 133
<표 4-28> 직장에서의 요구하는 교육수준과 본인의 수준 비교 134
<표 4-29> 대학 졸업 후 진학한 대학의 종류 135
<표 4-30> 대학에 다시 진학한 주된 이유 135
<표 4-31> 졸업한 대학의 전공과 진학한 대학의 전공의 유사성 136
<표 4-32> 현재 학력이나 능력에 맞는 일자리에 대한 일할 의사 137
<표 4-33> 일을 하지 않으려는 주된 이유 137
<표 4-34> 대학 재학 중 진로 및 취업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 여부 138
<표 4-35> 대학 재학 중 참여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의 만족도 139
<표 5-1> 2012년 대학정보공시 대상 고등교육기관 151
<표 5-2> 2012년도 전문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 성과 포뮬러 구성 지표 154
<표 5-3>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 평가 지표(전문대학) 155
<표 5-4> 학자금대출 제한대학 평가 지표(전문대학) 157
<표 5-5> 우리나라 직업교육체제 진단 162
<표 6-1> 전공대학 발전을 위한 개선 과제 199
[그림 1-1] 연구 추진 절차 16
[그림 2-1] 전공대학의 전문대학과 동등성 확보 과정 27
[그림 2-2] 전공대학 인가 절차 41
[그림 3-1] 전공대학 학사운영 실태 분석의 틀 58
[그림 3-2] 신입생의 충원률 및 경쟁률, 재학생 충원률 64
[그림 3-3] 전공과목 성적분포 68
[그림 3-4] 교양과목 성적분포 69
[그림 3-5] 졸업생의 성적분포 70
[그림 3-6] 전임교원 비율 74
[그림 3-7]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편제정원 기준) 75
[그림 3-8] 전임교원 확보율 77
[그림 3-9]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 79
[그림 3-10] 전체 수익 대비 등록금 수입 82
[그림 3-11] 전체 지출비용 대비 운영 비용 지출 83
[그림 3-12] 학생 1인당 장학금 87
[그림 3-13] 교외 및 교내 장학금 88
[그림 3-14] 학자금 대출 비율 89
[그림 3-15] 교지 확보율 91
[그림 3-16] 교사시설 확보율 91
[그림 4-1] 대학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16
[그림 4-2] 교수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18
[그림 4-3] 대학의 학습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120
[그림 4-4]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점수(1) : 재입학, 추천 등 124
[그림 4-5] 졸업한 대학에 대한 인식 점수(2) : 발전, 투자, 노력 등 126
[그림 5-1] 전문대학 및 대학의 학생 충원율 전망 149
[그림 5-2] 고등직업교육기관 평가인증기준 153
[그림 5-3] 본 연구에서 전공대학의 성격에 대한 규정 164
[그림 5-4] 전공대학-전문대학 신입생-재학생의 연령 분포 168
[그림 5-5] 전공대학의 발전 방향과 개선 과제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