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1)

A Study on Korea
저자
한상근 박천수 정윤경 장혜정 김나라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2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2.31
등록일
2012.03.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지표
요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과 연구범위 5 
 제3절 용어의 정의 11 
제2장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방법 15 
 제1절 선행연구 검토 17
 제2절 직업지표의 구성 29 
 제3절 직업지표 조사 방법 33 
 제4절 조사 결과 타당성 검토 42 
 제5절 FGI 실시방법 45 
제3장 한국의 직업지표 47 
 제1절 기초 직업지표 49
 제2절 영역별 직업지표 53 
 제3절 주요 영역 간 교차비교 65 
 제4절 10년 후의 직업 전망 75 
 제5절 소결 102 
제4장 직종별 특성 분석 107
 제1절 건설 관련직 110 
 제2절 기계, 재료 관련직 116 
 제3절 화학, 섬유 및 의복 관련 관련직 130 
 제4절 전기 전자, 정보통신 관련직 142
 제5절 식품가공,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단순 생산 관련직 156 
 제6절 소결 168 
제5장 주요 쟁점 분석 171
 제1절 기업별 직무특성과 직업 173 
 제2절 학력과 직업 183 
 제3절 직업별 핵심역량 200 
 제4절 여성 유망직업 211
 제5절 고령자 유망직업 221 
 제6절 신생직업 230 
제6장 정책 제언 249 
SUMMARY 279 
참고문헌 283 
부 록 289 
<부록 1> 한국의 직업지표 개발을 위한 웹 조사 화면 291
<부록 2> 직업별 핵심역량 중요도 299
  본 연구의 목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직업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직업지표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직업지표의 틀을 구성한다.
  둘째, 직업지표의 틀에 따라 엔지니어· 건설· 생산 분야의 주요 직업을 대상으로 현직자 조사를 실시하여 직업지표를 구한다.
  셋째, 직업지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과 고령자의 취업, 기능· 기술계 직업의 위상, 신생직업 등 직업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토의하고 정책 제언을 이끌어 낸다.
  넷째, 국민들에게 직업의 양적· 질적 속성을 풀어 소개하는 직업정보서 『2011 한국의 이공계 직업지표』를 편찬한다. 본 보고서와는 별도로 『2011 한국의 이공계 직업지표』를 연구자료로 편찬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occupational information to support career choi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onditions and prospects of Korean major occupations. In other wor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disseminate useful occupational information that could be a guide when choosing a job.
  An Occupational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overs labor market information, such as employment, wages, and the ratio of full-time positions, as well as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occupations(e.g., employment stability, career growth prospects, professionalism, etc.). Detaile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truct the frame for an occupational index, after extracting factors which can objectively explain Korean occupational properties.
  Second, according to the frame, conduct a survey of major occupations i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production occupations to obtain an occupational index.
  Third, discuss key issues regarding occupations, such as careers for women and the elderly, and newly created occupations, then derive a policy agenda.
  Fourth, publish a 『2011Korean occupational index』 which account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operties of occupations.
...
<표 1-1>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의 연도별 연구내용	9
<표 1-2> 한국고용직업분류상의 조사 대상 직업군	10
<표 2-1> 직업별(세분류) 종사자 수 상위 10위	20
<표 2-2> 유망직업의 구성요소와 측정방법	24
<표 2-3> ILO의 괜찮은 일자리 지표	26
<표 2-4> ‘괜찮은 일자리’의 6가지 차원	27
<표 2-5> 기초 직업지표의 범주와 세부 항목	29
<표 2-6> 기초 직업지표의 항목별 가중치	31
<표 2-7> 2011년도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대상 직업	34
<표 2-8> 직업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지의 세부항목과 설명	37
<표 2-9> 2011년도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40
<표 2-10> 2011 직업지표와 OES(2009) 조사 결과의 기준 타당성 지수	44
<표 3-1> 현재의 기초 직업지표(중분류)	50
<표 3-2> 현재의 세(세세)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 상ㆍ하위 20개 직업	52
<표 3-3> 보상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54
<표 3-4> 일자리 전망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56
<표 3-5> 고용안정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57
<표 3-6>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59
<표 3-7> 근무여건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61
<표 3-8>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62
<표 3-9> 고용평등 영역의 상ㆍ하위 20개 직업(현재)	64
<표 3-10> 보상과 일자리 전망 교차비교 직업군	67
<표 3-11>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	69
<표 3-12>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	72
<표 3-13> 일자리 전망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	74
<표 3-14> 10년 후의 기초 직업지표(중분류)	76
<표 3-15> 세(세세)분류 직업별 기초 직업지표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78
<표 3-16> 보상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79
<표 3-17> 일자리 전망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81
<표 3-18> 고용안정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84
<표 3-19> 발전가능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86
<표 3-20> 근무여건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88
<표 3-21> 직업전문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89
<표 3-22> 고용평등 영역의 상・하위 20개 직업(10년 후)	91
<표 3-23> 10년 후 보상과 일자리 전망 교차비교 직업군	94
<표 3-24> 10년 후 보상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	96
<표 3-25> 10년 후 보상과 근무여건 교차비교 직업군	98
<표 3-26> 10년 후 일자리 전망과 고용안정 교차비교 직업군	101
<표 4-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건설 관련직)	114
<표 4-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건설 관련직)	115
<표 4-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기계 관련직)	121
<표 4-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기계 관련직)	123
<표 4-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재료 관련직)	127
<표 4-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재료 관련직)	129
<표 4-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화학 관련직)	133
<표 4-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화학 관련직)	134
<표 4-9>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섬유 및 의복 관련직)	139
<표 4-10>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섬유 및 의복 관련직)	141
<표 4-11>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전기・전자 관련직)	146
<표 4-12>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전기・전자 관련직)	148
<표 4-13>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정보통신 관련직)	153
<표 4-14>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정보통신 관련직)	155
<표 4-15>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식품가공 관련직)	159
<표 4-16>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식품가공 관련직)	161
<표 4-17> 직업지표 상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환경・인쇄・목재・구・공예 및 단순 생산 관련직)	165
<표 4-18> 직업지표 하위 직업에 관한 주요 논의사항(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단순 생산 관련직)	167
<표 5-1> 노동시장의 특성 비교	176
<표 5-2> 직무동일성 항목 상・하위 20개 직업(n=8,340)	178
<표 5-3> 직업요구 교육수준과 재직자 최종학력 수준 비교 	185
<표 5-4> 고졸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기초 지표가 평균 이상인 직업들	186
<표 5-5>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취업경쟁 교차비교 직업군	191
<표 5-6>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사회적 평판 교차비교 직업군	193
<표 5-7>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직무동일성 교차비교 직업군	195
<표 5-8>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 항목 상위 20개 직업의 평균소득 및 평균학력	197
<표 5-9> 중분류 직업별 핵심역량 평균 비교	206
<표 5-10> 중분류 직업별 핵심역량 평균 비교	207
<표 5-11> 핵심역량과 기초지표와의 상관관계	210
<표 5-12> 여성 재취업 가능성 영역의 상위 45개 직업(현재)	215
<표 5-13> 양성평등, 일자리 창출, 임금(현재)	216
<표 5-14> 여성 유망직업 발굴 기준과 분석 종합	217
<표 5-15> 여성 유망직업 발굴	220
<표 5-16> 고령 인구 현황(2010)	221
<표 5-17>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 및 고용률(65세 이상)	223
<표 5-18> 고령자 일자리 전망(2010)	224
<표 5-19> 고령자 재취업 가능성 상위 23개 직업(현재)	225
<표 5-20> 고령자 친화성, 일자리 창출, 임금(현재)	226
<표 5-21> 고령자 유망직업 발굴 기준과 분석	227
<표 5-22> 고령자 유망직업 발굴	229
<표 5-23> 과학기술의 첨단화와 관련된 신생 업종 및 직업	235
<표 5-24> 기술의 융복합과 관련된 신생 업종 및 직업	239
<표 5-25> 직업의 세분화․전문화와 관련된 신생 업종 및 직업	242
<표 5-26> 글로벌화와 관련된 신생 직업	244
<표 5-27> 경제의 녹색화와 관련된 신생 업종 및 직업	246
<표 6-1> 주요 기업 고졸 이하 학력자 채용 계획	256
<표 6-2> 발굴된 여성 유망직업의 여성 종사자 비율	262
<표 6-3> 발굴 고령자 직업의 고령자 우선고용직종 포함 여부	264
[그림 1-1]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연구방법	7
[그림 2-1] 2011년 한국의 직업지표 구성	33
[그림 3-1] 현재 보상과 일자리 전망의 교차비교	66
[그림 3-2] 현재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69
[그림 3-3] 현재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72
[그림 3-4] 현재 일자리 전망과 고용안정의 교차	74
[그림 3-5] 10년 후의 보상과 일자리 전망의 교차비교	93
[그림 3-6] 10년 후의 보상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95
[그림 3-7] 10년 후의 보상과 근무여건의 교차비교	98
[그림 3-8] 10년 후의 일자리 전망과 고용안정의 교차비교	100
[그림 4-1] 제조업별 생산유발계수 및 고용유발계수	117
[그림 5-1] 전문직업성 유형별 분포	179
[그림 5-2] 직무동일성과 직업전문성	180
[그림 5-3] 직무동일성과 직업이동가능성 	181
[그림 5-4] 직무동일성과 취업경쟁	182
[그림 5-5]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취업경쟁 교차	190
[그림 5-6]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사회적 평판 교차비교	192
[그림 5-7] 고졸 이하 학력자 입직가능성과 직무동일성 교차비교	194
[그림 6-1] 직업지표의 주요 쟁점별 정책 제언	252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한국의 직업지표 연구(2011) 2011.01.01~201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