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Ⅰ)
A Study on Manpower Supply and Demand Prospect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Higher Education HR Policy (I)
- 저자
- 이상돈 이의규 이남철 이상준 홍광표 김창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3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1
- 등록일
-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고등교육 인재정책인력수급전망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7 제2장 고등교육 인재정책 현황과 미래 11 제1절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13 제2절 미래 우리나라 사회의 변화와 고등교육 28 제3절 고등교육 분야 인력수급 전망에 주는 시사점 41 제3장 교육시장을 반영한 거시계량 전망모형 개발 43 제1절 국내외 거시계량 전망모형 비교검토 및 시사점 45 제2절 거시계량모형의 개발 81 제3절 KRIVET 모형에 의한 예측 112 제4절 축소 조정된 KRIVET 모형(AD-AS 모형)에 의한 예측 118 제5절 결합방식을 이용한 예측 126 제4장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용 인력수급 전망모형 개발 133 제1절 국내외 인력수급 전망연구 동향 135 제2절 인재정책 수립용 인력수급 전망모형 개발 145 제3절 중장기 인력전망결과 154 제5장 정책적 시사점 175 제1절 전망결과의 시사점 177 제2절 고등교육 인재정책 과제 182 SUMMARY 191 참고문헌 203 부 록 213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과 문제의식을 절감하고, 2011년부터 2013년에 걸친 3개년도의 연구로서, 고등교육 인재정책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국민경제의 잠재성장력을 극대화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It’s necessary to construct a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system so that policies on higher education talent to lead sustained growth may formulate. The construction is needed from the great contribution aspect to the mid and long-term national development by establishing policies on higher education talent based on the more reliable forecasts of manpower demand and maximizing potential growth power of the national economy. The manpower training needs to be pushed forward with its policies, reflecting the further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based on the real current state of manpower under med and long-term plans. The classification system on training and utilizing human resources should be constructed by secto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seek policies that can lead maximizing potential growth power of the national economy and its sustained growth for the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by constructing the med and long-term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system to make policies on higher education talent. As for the annual purpose of this study the analysis progress of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with higher education talent policies was conducted over the 1st year. Its purpose was to construct the long-term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system for establishment of higher education talent policies that reflected the change of environments both inside and outside plus variability of the industry structure and labor market, based on developing a macroeconomic econometrics model tha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Korean education market were reflected. Over the 2nd year it will be conducted to reform and build up the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related statistics infrastructures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mis and long-term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model plus building up the new statistics infrastructure to enlarge its generality of results utilization of the forecasts model over the 1st year. Its purpose was to conduct the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by majors with the subject of the higher education sector. The purpose over the 3rd and last year of the study is to set up a linkage system for the sectional mid and long-term manpower demand and supply forecasts and improvement of compatibility between sections by sectional forecasting a couple of selected core sections which will lead growth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and building the sectional forecasts linkage system between the comprehensive higher education and core sections. ...
<표 1-1> 연차별 연구 목적 및 주요 계획 6 <표 2-1> 고등교육 규모 13 <표 2-2> 박사학위 취득자 수 14 <표 2-3> 우리나라의 SCI 논문 발표 수 14 <표 2-4> 우리나라 주요 대학의 학부생 비율 15 <표 2-5> 대학 수 및 학과 증가 추세 16 <표 2-6> 교수 1인당 학생 수 현황(’08) 16 <표 2-7> GDP 대비 고등교육 투자비 비교(’08) 17 <표 2-8> GDP 대비 고등교육 투자비의 상대적 비중(’08) 17 <표 2-9> 학생 1인당 고등교육 투자비 비교(’08) 18 <표 2-10> 주요국의 등록금 수준 현황(’08) 18 <표 2-11> 5년 주기(2004~2008년) SCI 논문 1편당 피인용횟수(’08) 19 <표 2-12>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22 <표 2-13> 주요국의 고등교육 이수율(’08) 22 <표 2-14> 국가별 졸업자들의 학력과 업무 수준의 관계 25 <표 2-15> 4년제 대학의 계열별 전공 일치도 26 <표 2-16> 국가별 전공자들의 지식 및 기술의 활용 27 <표 2-17> 우리나라 주요 경제지표 추이 33 <표 2-18> 출신 국가 이외의 국가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생 수추이(’00~’09) 34 <표 2-19>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 36 <표 2-20> 우리나라의 GDP 전망 36 <표 2-21> 직능 수준별 취업자 전망(’08~’18) 36 <표 2-22>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의 성장요인 39 <표 3-1> 3세대 모형과 4세대 모형 비교 60 <표 3-2> 시뮬레이션 모형 114 <표 3-3> 외생변수의 ARIMA 차수(p, d, q) 117 <표 3-4> KRIVET 모형에 의한 명목 GDP 예측 118 <표 3-5> AIC 기준에 의한 외생변수의 ARIMA(p, d, q) 최적차수선정 결과 125 <표 3-6> AD-AS 모형에 의한 명목 GDP 예측 125 <표 3-7> 결합 예측결과 131 <표 4-1> 인력수요 전망방식 151 <표 4-2> 인력공급 전망방식 153 <표 4-3> 산업연관표 28개 부문별 취업자 수 전망 157 <표 4-4> 산업연관표 28개 부문별 취업자 비중 전망 158 <표 4-5>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59 <표 4-6>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161 <표 4-7>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63 <표 4-8> 직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165 <표 4-9> 학력 수준별 취업자 전망 167 <표 4-10> 학력 수준별 취업자 비중 전망 167 <표 4-11> 학력 수준별 졸업생 전망 171 <표 4-12>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결과: 대분류 기준 172 <표 4-13>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결과: 대분류 기준 173 <표 4-14>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별 전망결과: 대분류 기준 173 [그림 2-1] 대학교육의 경쟁사회 요구에 부합하는 정도 23 [그림 2-2] 수준급 엔지니어 공급 정도 24 [그림 2-3]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 수 변동 추이와 전망 29 [그림 2-4] 학교급별 학생 수 예측치(2006~2030년) 30 [그림 2-5]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교 졸업자 수 대비 입학정원추이 31 [그림 2-6] 인구 구조 변동 전망 32 [그림 2-7] OECD 회원국 내 국가 간 학생 이동(2005) 34 [그림 2-8] 미래 인재수요 38 [그림 3-1] 이론적 정합성과 자료 부합성 간의 상충관계 55 [그림 3-2] 거시계량모형의 기본체계 119 [그림 3-3] 국민경제의 균형 119 [그림 3-4] 계량모형을 이용한 예측절차 124 [그림 4-1] 직능원 고등교육 부문 인력수급 전망 구축 체계도 149 [그림 4-2] 전공별 졸업생 전망절차 168 [그림 4-3] 학력 수준별 졸업생 수 비중 변화 17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Ⅰ) | 2011.01.01~201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