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Ⅰ)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총괄보고서)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Targeted Students Career Path (I) : Focusing on Basic Research
- 저자
- 이지연 한상근 정윤경 김나라 박영균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31)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1
- 등록일
-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특수교육대상진로정보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론 8 제3절 연구 범위 및 한계 19 제2장 특수교육대상 학생과 진로정보 21 제1절 용어 정의 및 선행연구 24 제2절 특수교육 및 학생의 진로선택 현황 39 제3절 장애유형별 발달적 특징 48 제4절 특수교육대상 학생과 진로정보 58 제5절 진로정보개발에 주는 함의 91 제3장 진로정보 요구 조사 및 FGI 결과 99 제1절 진로정보 요구 조사 도구 개발 102 제2절 진로정보 요구 설문조사 및 FGI 결과 111 제3절 진로정보개발에 주는 함의 152 제4장 특수교육대상 진로정보 해외 사례 157 제1절 미국 159 제2절 영국 186 제3절 호주 199 제4절 일본 206 제5장 진로정보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215 제1절 장애인 직업세계 진출 현황 및 특징 217 제2절 장애유형별 진출 직업 및 특징 234 제3절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진출 가능 직업 발굴 246 제4절 진로정보 개발에 주는 함의 253 제6장 결론 및 제언 259 제1절 1차년도 연구결론 261 제2절 향후 정책 제언 275 SUMMARY 285 참고문헌 287 부 록 297 1. 진로정보에 대한 간략한 의견 수렴지 299 2. 학생 대상 면담 조사지 301 3. 교사 대상 설문 조사 도구 307 4. 학부모 대상 설문 조사 도구 313 5. 장애유형별 장애정도 기준 표 319
본 연구는 2차년에 걸쳐 수행되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로, 비장애학생에 비하여 진로정보의 양·질적 수준이 열악하고 접근성이 낮은 중등단계 특수교육대상 학생 대상의 진로정보 현황, 필요성, 내용·구조·전달방식 등을 총체적으로 진단하여, 이들의 요구와 필요에 특화된 신뢰롭고 정확한 진로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개발·보급·확산시키기 위한 정책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Despite drastic change to increase national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strengthening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there is no specialized career information based on their needs. In theory, career information plays the important role to people who determine their own lives by providing educational right and independent life specially to disabled stud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urvey and confirm that what types and factors of career information was important for those who are in disabilities as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nd what is the advanced abroad cases and their implications in developing career information for disabled students in school setting. For the purposes,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for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such as survey and FGI(focuse group interviews), workshops with specialist and teacher from various disability-related field, overseas practices and brainstorming. Total 1,657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ere surveyed through instrument and face to face interview. As the result, 7 types and 36 factors of career information were confirmed as a important needed career inform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macro and micro career information development model”, and the strong national support policy for 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career information continuously for career development and quality of life with self-reliance.
<표 1-1> 1차년도 연구의 소주제별 세부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9 <표 1-2> 연구 협력진 워크숍 및 세미나 주제 11 <표 1-3> 연구 협력진 상세 정보 12 <표 1-4> 조사대상 및 방법 15 <표 1-5> 학생 대상의 설문조사를 위한 모집단 15 <표 1-6> 본 연구의 모집단-중등단계 장애영역별 학교, 교사 및 학생 수 16 <표 1-7> 학생․학부모․교사 대상의 유목적 표집 안 17 <표 1-8> 사업체 및 장애대학생 대상의 FGI 방법 17 <표 2-1> 장애의 분류 차이 25 <표 2-2> 연도별 특수교육대상 학생 배치 현황 28 <표 2-3> 장애유형별 조작적 정의 및 장애정도 기준안 29 <표 2-4> 특수교육대상 학생 진로정보 관련 선행연구 정리 32 <표 2-5> 장애유형별 진로결정 영향 인물 33 <표 2-6> 교사․학부모가 겪는 특수교육대상 학생 진로지도 시 어려움 34 <표 2-7> 장애인 고용 관련 선행연구를 통한 진로정보 시사점 정리 37 <표 2-8> 2011년 특수교육 주요현황(시․도별 현황) 40 <표 2-9> 2011 특수교육대상 현황 41 <표 2-10> 2011년 고등학교 졸업생 취업 현황 46 <표 2-11> 2011년 전공과 졸업생 취업 현황 47 <표 2-12>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장애유형별 특성 57 <표 2-13> 주요 진로개발 이론에서 추출된 진로정보 내용 64 <표 2-14> 커리어넷 직업정보의 구성과 개발 방법 67 <표 2-15> 커리어넷 학교ㆍ학과정보의 구성 내용과 개발 방법 68 <표 2-16> 커리어넷 심리검사의 구성내용과 개발 방법 70 <표 2-17> 커리어넷 진로프로그램의 구성내용과 개발 방법 72 <표 2-18> 커리어넷 진로상담의 구성내용과 개발 과정 73 <표 2-19> 미래의 직업세계 「직업편」의 구성내용 및 개발 방법 76 <표 2-20> 미래의 직업세계 「학과편」의 구성내용 및 개발 방법 78 <표 2-21> 직업전망지표 :제조건설업종․서비스업종 주요 전망지표의 구성 내용 및 개발방법 80 <표 2-22> 청소년워크넷의 구성 내용 및 개발 방법 83 <표 2-23> 국립특수교육원의 진로직업교육 사업 85 <표 2-24> 대상별 JOBable 활용 방법 87 <표 2-25>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 90 <표 2-26> 비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의 개발 방법 및 특수교육학생 사용가능 여부 93 <표 2-27>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안 97 <표 3-1> 학생, 교사, 학부모 대상의 요구조사 구조 105 <표 3-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112 <표 3-3> 전반적 진로정보 필요성에 대한 학생․교사․학부모 필요 정도 115 <표 3-4> 학생․교사․학부모 필요 진로정보에 대한 요구 116 <표 3-5> 학생․교사․학부모 진로정보 주요 출처 117 <표 3-6> 학생․교사․학부모 진로정보 제공 선호 방식 119 <표 3-7> 정보 인식 현황 및 필요성(학생) 121 <표 3-8> 정보 인식 현황 및 필요성(교사․학부모) 125 <표 3-9> 정보 인식수준 및 필요수준에 따른 진로정보 130 <표 3-10> 우선순위에 따른 진로정보 요구도 131 <표 3-11>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관련 정보 인식 현황 및 필요도 종합 132 <표 3-12> 사후검정 (DUNCAN) 136 <표 3-13> 사후검정 (DUNCAN) 140 <표 3-14> 장애 대학생 FGI 참석자 141 <표 3-15> 현장 관계자 대상 FGI 참석자 148 <표 4-1> 장애 상황에 대한 진로개발 관점 161 <표 4-2> Youth Transition Toolkit 장애학생을 위한 취업 단계 169 <표 4-3> 웹사이트를 통한 장애청소년 진로정보 웹사이트 분류 172 <표 4-4> 전환(transition) 서비스의 5가지 결과(목표) 186 <표 4-5> 장애인 취업 재교육 정보 사이트(영국) 196 <표 4-6> 일본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관련 법령 208 <표 4-7> 진로정보 내용 209 <표 5-1> 연도별 2/4분기 구인․구직 및 취업자 수 현황 218 <표 5-2> 주요 특성별 구인․구직 및 취업자 수 현황 220 <표 5-3> 장애정도별 장애인 구직자 및 취업자 수 221 <표 5-4> 장애유형별 장애인 경제활동 현황 222 <표 5-5> 산업별 및 규모별 기업 현황 223 <표 5-6> 장애인 취업자의 월평균 임금 현황 224 <표 5-7> 의무고용사업체 장애인 고용 현황(’10.12월 말) 226 <표 5-8> 정부부문 의무고용 장애인 고용 현황(’10.12월 말) 227 <표 5-9> 정부부문 의무고용 이행의 성별 현황 227 <표 5-10> 정부부문 의무고용 이행의 장애유형별 현황 228 <표 5-11> 기업규모별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10. 12월 말) 229 <표 5-12> 직종별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230 <표 5-13> 실직자의 구직 활동시 취업경로 231 <표 5-14> 구직 애로사항 232 <표 5-15> 종사상 지위별 불만족 사항 233 <표 5-16> 장애인들이 취업하지 않는 주된 이유 235 <표 5-17> 장애인 취업자의 진출 직업 분야(대분류) 236 <표 5-18> 시각장애 졸업생의 희망직업과 취업한 직업 237 <표 5-19> 시각장애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 목록 238 <표 5-20> 청각장애 졸업생의 희망직업과 취업한 직업 240 <표 5-21> 청각장애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목록 241 <표 5-22> 정신지체 졸업생의 희망직업과 취업한 직업 242 <표 5-23> 정신지체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목록 243 <표 5-24> 지체장애 졸업생의 희망직종과 취업직종 245 <표 5-25> 지체장애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목록 246 <표 5-26> 중증 장애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 248 <표 5-27> 중증 장애인이 취업을 희망하는 직업 250 <표 5-28> 장애인을 위한 훈련과정이 개발된 직업 252 <표 6-1> 특수교육대상 2차년도 연구 이후, 2013-2017 진로정보 5개년 282 [그림 1-1] 1, 2차년도 전체 연구 흐름 8 [그림 2-1] 장애영역별 특수교육대상 학생 현황 26 [그림 2-2]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교육의 형태 27 [그림 2-3]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유관기관 관련 부서 및 제공 정보 35 [그림 2-4] 2011년 고등학교 특수교육 졸업생 진학 현황 45 [그림 2-5] 진로정보 이용자에 따른 진로정보 역할 60 [그림 2-6]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정보 62 [그림 2-7] 커리어넷의 내용 구성 65 [그림 2-8] 미래의 직업세계 내용 구성 75 [그림 2-9] 직업전망지표의 내용 구성표 79 [그림 2-10] 청소년 워크넷의 구성 내용 및 개발 과정 82 [그림 2-11] ‘나’와 ‘환경’ 정보의 적절한 조합을 통한 진로정보 의의 96 [그림 3-1] 진로정보 요구조사를 위한 도구 개발 과정 103 [그림 3-2] 응답자에 따른 장애유형 113 [그림 3-3] 응답자에 따른 장애정도 114 [그림 3-4] 학생․교사․학부모 진로정보 주요 출처 117 [그림 3-5] 이해관계자별 진로정보 제공 선호 방식 119 [그림 3-6] 진로정보 인식․필요 수준에 따른 교사의 진로정보 요구 129 [그림 3-7] 진로정보 인식․필요 수준에 따른 학부모의 진로정보 요구 129 [그림 3-8] 장애종류에 따른 교사 진로정보 인식‧필요 경향 134 [그림 3-9] 장애유형에 따른 교사‧학부모 집단 간 진로정보 인식 분산분석 결과 134 [그림 3-10]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른 학부모 집단 간 진로정보 분산분석 결과 138 [그림 4-1] 장애학생을 위한 법적 변호 학습 예시 163 [그림 4-2] Going to College: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 이해 165 [그림 4-3] Going to Collge: ‘대학 비교하기’ 양식 예시 166 [그림 4-4] 장애학생의 대학 학업 및 진로 성공 비법 168 [그림 4-5] 장애학생 진로교사 역량 강화 지원 정보 예시 170 [그림 4-6] OSERS 조직 구조 및 부서 역할 176 [그림 4-7] OSERS 제공 특수교육관련 지원 구조 177 [그림 4-8] ODEP 산하 장애인 고용 지원 센터 주요활동 및 제공정보 179 [그림 4-9] 삶 찾기-유급직장으로의 여정(예시) 190 [그림 4-10] 지금 일자리를 소중히 운영 체계 194 [그림 4-11] 진로정보 지원 체계 207 [그림 5-1] 장애인 고용률 추이 225 [그림 5-2] 산업별 민간부문 의무고용 현황 229 [그림 6-1] 특수교육대상 진로정보 「생성․보급․확산」을 위한 거시적 전달 모형 276 [그림 6-2] 특수교육대상 진로정보 「생성․보급․확산」의 세부 내용 279 [그림 6-3] 진로정보 7개 유형의 순환 모델 28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Ⅰ)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 2011.01.01~201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