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Strengthening Career Education Practice Capability for Unit School
- 저자
- 김승보 박태준 서유정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3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1
- 등록일
-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단위학교진로교육학부모 학교참여창의적 체험활동
요 약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4 제3절 연구 방법 5 제4절 기대 효과 7 제2장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의 현황과 실효성 제고 방안 9 제1절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왜 “창의적 체험활동” 인가? 11 제2절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정책 추진 현황 18 제3절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현황과 문제점 29 제4절 정책적 실천 방안 36 제3장 초 중등 학생의 직업세계 이해교육 강화 방안 59 제1절 왜 직업세계 이해교육인가? 61 제2절 초 중등 학교의 직업세계 이해교육 현황 및 문제점 68 제3절 직업세계 이해교육과 관련한 정책 현황 76 제4절 직업세계 이해도 증진을 위한 개선 및 정책 방안 84 제4장 교육기부 활성화 및 이를 통한 학교교육 강화 방안 107 제1절 배 경 109 제2절 교육기부의 개념 및 유형 110 제3절 교육기부 사례분석 114 제4절 교육기부 활성화 관련 고려사항 119 제5절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 124 제6절 교육기부 활성화의 기대효과 136 제5장 교육경쟁력 제고를 위한 학부모 학교 참여 활성화 방안 141 제1절 학부모 학교참여의 필요성 및 의의 143 제2절 학부모 학교참여 정책 추진현황 147 제3절 학부모의 학교참여 현황과 문제점 154 제4절 정책적 실천 방안 168 제6장 요약 및 제언 193 제1절 요약 195 제2절 제언 200 SUMMARY 147 참고문헌 151
* 단위학교의 진로교육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많은 경우 이념적 정치적 입장 및 접근에 의해 논의과정이 왜곡되어 학교현장의 실질적 문제에 대한 해결로까지 가지 못함. * 진로교육은 학생들이 직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스스로의 소질 및 적성, 흥미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직업정보의 탐색 활동 및 장래에 대한 적극적 사고를 지원해야 하지만 현재의 진로교육은 그러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에 따라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지만 도입 초기인 만큼 창의적 체험활동을 어떻게 활용하며 이를 통한 진로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충분치 않음. * 또한, 단발성 진로교육이 아닌 직업세계의 이해를 통해 보다 심도 있고 구체적인 진로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성이 있음. * 진로교육을 위한 체험학습 및 방문학습에 필요한 기자재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와 지원에 대해 학교 예산 및 학교 자체적 노력만으론 부족한 부분을 학부모 및 지역사회의 지원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의 필요함.
The school career educ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which brings about diversification of vocational environment is predicted to take further important roles. The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MEST) introduced career activities into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xpanding ‘career and job’ textbook adoption by a elective course, and assigning career & academic counselors in secondary school. This study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of career education in individual school level and sought the effective problem-solving approach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areer education. It was focused on analysis of case studies on individual schools and of main issues according to educational & environmental change based on reflecting manifold opinions of meetings with experts, teachers, parents, administrators, etc. Related to drawing the practical policy of career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address the follows, first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reative hands-on activities were reviewed and policy directions for promoting effectiveness of creative-hands on activities were suggested. Secondly, the various ways of expanding voc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were provided in the variety of perspectives. Third, the concept, necessity and policy implications of “donation for education” were presented. Lastly, the present conditions and tasks for development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
<표 2-1>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비 규모 추이 11 <표 2-2> 예체능 및 취미․교양 사교육 참여율 추이 12 <표 2-3> 견학, 체험활동 등 청소년 참여형태(복수응답) 13 <표 2-4>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 16 <표 2-5> 전국 박물관․미술관․과학관 현황 (2009. 12월 기준) 21 <표 2-6> 교과교실제 연도별 확대 계획 22 <표 2-7> 창의적 체험활동의 업무 분담 및 배분 형태 31 <표 3-1> 진로교육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내용 65 <표 3-2> 청소년의 주요 고민 대상 66 <표 3-3> 장래 희망직업을 이루기 어렵다고 느낀 이유(복수응답 가능) 66 <표 3-4> 고교진학시 계열 선택 이유 67 <표 3-5> 직업 변경 의향 세대 간 비교 67 <표 3-6> 한국과 영국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 현황 70 <표 3-7> 중ㆍ고교용 사회 교과서에 언급된 직업의 횟수와 종류 72 <표 3-8>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추진하는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83 <표 4-1> 교육기부 방법 및 내용 114 <표 5-1> 학부모 자원봉사 활동 유형 145 <표 5-2> 학부모 학교 정책 모니터단 운영 현황 149 <표 5-3> ’11년도 시․도별 학부모 교육정책 오프라인 모니터단 인원(총 500명) 149 <표 5-4> 2011년도 사업별 예산 지원 계획 151 <표 5-5> 학부모회 현황 156 <표 5-6> 2011년 학교급별 학부모총회 개최 현황 156 <표 5-7> 학교별 학부모 모임 주요 개최시간대(’10) 157 <표 5-8> 2010년도 각급별 학교운영위원회 개최 현황 157 <표 5-9> 녹색어머니회 조직 현황 158 <표 5-10> 인터넷 홈페이지의 학부모메뉴의 접근성 162 <표 5-11> 인터넷 홈페이지의 학부모메뉴의 활성화 정도 162 <표 5-12> 주요국가별 학부모회 예산 조성 방법 173 [그림 2-1] 창․체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교사 인식도 29 [그림 2-2] 창․체 영역별 편성 현황 29 [그림 2-3] 창의적 체험활동(봉사활동)을 위한 교사 업무 흐름도 33 [그림 3-1] 청소년의 주요 직업선택 요인 64 [그림 3-2] 학교급별 4첨 척도에 따른 직업 인식 수준 68 [그림 3-3] 중1/고3 학생의 장래 희망직업 69 [그림 3-4] 영국 청소년의 주당 평균 근로시간 71 [그림 3-5] 한국 청소년의 일일 평균 근로시간 71 [그림 3-6] 초․중․고등학생의 직업정보 취득 방법 72 [그림 3-7] 중ㆍ고등학교의 사회교과서에 언급되는 직업의 종류와 빈도 수 73 [그림 3-8] 중1/고3 자녀에 대한 학부모의 희망 직업 75 [그림 3-9] 교사의 직업 귀천에 대한 인식 76 [그림 3-10] 나의 꿈을 이루기 위한 블록 쌓기 92 [그림 5-1] 향후 학교교육 개선을 위한 참여의사 조사 158 [그림 5-2] 가정-학교 간 원활한 소통을 위한 설문 조사 159 [그림 5-3] 학부모-교사 면담여부 164 [그림 5-4] 학부모 상담주간 참여 164 [그림 5-5] 가정-학교 간 대화가 잘 안되는 이유(학부모) 165 [그림 5-6]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 166 [그림 5-7] 지역별 녹색어머니회 단체상해보험 가입 현황 16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단위학교의 진로교육 실천역량 강화 방안 | 2011.07.01~2011.12.29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