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고용창출 우수 기업과 일반 기업의 직업능력개발 비교 연구

Comparatative Study on Company with Top Job Creation and Company with Vocational Skills Development
저자
김영생 정재호 김경년 양혁승 박양규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38)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2.31
등록일
2012.03.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기업직업능력개발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11
  제1절 연구동향 및 선행연구 13 
  제2절 기여도 및 기대효과 22 
  제3절 고용창출 모형의 도출 23 
제3장 고용현황과 산업별 특성 65 
  제1절 우리나라의 고용 추이 67 
  제2절 산업별 고용과 근로조건 82 
제4장 기업의 고용창출 설문 및 인터뷰 조사 결과 97 
  제1절 개요 99 
  제2절 설문 조사결과 100 
  제3절 고용창출 우수기업의 모델제시 125 
제5장 고용창출과 성과분석 135 
  제1절 성과분석결과 137 
제6장 결론과 정책 제언 143 
  제1절 기업고용지표(Corporate Employment Index) 145 
  제2절 노동시장의 유형별 접근방법의 차별화 156 
SUMMARY 159 
참고문헌 161
  고용창출 우수기업 및 일반기업의 고용보험 및 HRD-net DB를 분석하였다. 고용창출 우수 기업 및 일반 기업의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사업 활용 실적 분석을 통해 재직근로자에 대한 능력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각 기업 유형에 따른 활용인원, 지원금액 등의 현황을 통해 능력개발 기회 및 실적을 비교분석하였다.
  인적자원개발 투자, 관리, 성과에 대한 CEO와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인식 수준과, 이러한 요인들이 실제 고용창출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집단 면담, 설문조사, 인터뷰 등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관련 요인에 대한 고용창출 우수 기업 및 일반 기업의 인식 수준을 비교분석, 고용창출 우수 기업 및 일반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투자, 관리, 성과 요인이 고용창출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대기업, 중견기업, 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용창출 우수 기업 및 일반 기업의 기업 규모별 인적자원개발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기업 규모, 산업 분야, 지역, 시장특성별 인적자원개발이 고용창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고, 고용창출 우수 기업 및 일반 기업의 기업 규모, 산업 분야 등에 따른 고용창출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good corporate employment, and compare HRD practices in terms of HRD between the best job creation practice and the other companies. 
  Firstly, we analyze the relation of trends in the labor market and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Secondly,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decisions in corporate and 
implications for best employment practices was assessed to understand common point of good corporate employment. 
  Best job creation companies have some common factors, such as administrator(executive)' active(aggressive) awareness about job creation and expansion-oriented strategy, anticipative and active (aggressive) expansion of investments, and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stable business foundation and management systems in the early business stage. Securing enough skilled workforce is the most important foundation of sustainablee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best and the other indicate that the best job creation companies produces better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invest in HRD more than the other. HRD is the substantial foundation of job creation because HRD creates job skills and is essential to sustainable competitiveness. As the best job creation companies create jobs and maintain skilled workforce in recession period, they could take advantage of coming economic boom. 
  Regarding on the results of this report, we offer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1. suitable policy development for employment(job creation) to segmented characters of the labor markets. 2. figuring out synergy (reinforcement) of symbiotic development in corporate and decent job creation. 3. construction of suitable corporate employment index.
<표 1-1> 국정과제 관련성	8
<표 2-1>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4
<표 2-2> 경영 및 고용관행 요인	46
<표 3-1> 취업자와 고용률 추이	68
<표 3-2> 취업자의 성별 비중 및 성별 고용률	69
<표 3-3> 3차 산업(서비스 산업)의 구분	74
<표 3-4>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76
<표 3-5> 사업체 규모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77
<표 3-6> 산업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78
<표 3-7> 산업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비중	78
<표 3-8> 사업체의 산업별 종사자 규모(2009)	79
<표 3-9> 사업체의 산업별 종사자 규모별 비중(2009)	80
<표 3-10> 서비스산업 사업체 수의 산업별 규모별 비중(2009)	80
<표 3-11> 서비스산업 사업체 종사자 수의 산업별 규모별 비중(2009)	81
<표 3-12> 산업별 근로자 특성(2011.8)	83
<표 3-13> 3차 산업 세부산업별 근로자 특성(2011.8)	84
<표 3-14> 산업별 근로조건(2011.8)	85
<표 3-15> 산업별 근로조건(2011.8)	86
<표 3-16> 산업별 임금 분포	88
<표 3-17> 고용의 질 구성요소와 해당자 비중	91
<표 3-18> 취업자의 연령 및 학력별 비중	94
<표 3-19>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비중	94
<표 3-20> 취업자의 직종별 비중	95
<표 3-21>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	95
<표 4-1> 고용창출 우수기업과 일반기업 및 전문가 조사결과	126
<표 4-2> 고용 관련성에 따른 AHP 분석결과	128
<표 4-3> 고용창출 우수기업 모형의 우수, 비우수 기업 및 전문가비교	131
<표 4-4> 고용창출 우수기업의 모델	132
<표 5-1> 2006년~2010년 고용증가 인원	137
<표 5-2> 2006년~2010년 훈련비증가액	138
<표 5-3> 2006년~2010년 1인당 훈련비용지원 금액 증감	139
<표 5-4> 2006년~2010년 신용평가변화	139
<표 5-5> 2006년~2010년 임금증가액	140
<표 5-6> 고용창출로부터 시작되는 선순환 구조 요약	141
[그림 2-1] 기업고용관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구성요소의 관련성	17
[그림 2-2] 포터의 산업경쟁력 요인 분석	28
[그림 2-3] 포터의 일반 가치사슬 모형	33
[그림 2-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모형	43
[그림 3-1] 우리나라의 고용률 추이	68
[그림 3-2] 취업자의 연령별 비중 추이	70
[그림 3-3] 취업자의 학력별 비중 추이	71
[그림 3-4]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별 비중 추이	72
[그림 3-5] 취업자의 직종별 비중 추이	73
[그림 3-6]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 추이	73
[그림 3-7] 서비스업 취업자의 산업별 비중 추이	75
[그림 3-8] 산업별 상대적 임금 분포(2011.8)	88
[그림 3-9] 산업별 임금 10분위 일자리 분포	89
[그림 4-1] 기업의 성장단계	101
[그림 4-2] 기업의 주요 해당산업	101
[그림 4-3] 1인 매출액	102
[그림 4-4] 기업 주요 제품의 특징	103
[그림 4-5] 1인당 매출액별 기업 생산 제품의 특징	104
[그림 4-6] 독점적 기업의 원청 계약 방식	104
[그림 4-7] 회사규모별 주요 원가 인상요인	105
[그림 4-8] 사무직 채용시 문제점	106
[그림 4-9] 규모별 채용시 문제점	106
[그림 4-10] 규모별 생산직 채용시 문제점	107
[그림 4-13] 회사규모별 연구개발직 채용시 문제점	109
[그림 4-14] 고용순증율 수준에 따른 이직인력 보충 퇴직인력 보충	110
[그림 4-15] 고용순증율 수준에 따른 경영시 주요 고려 요인	111
[그림 4-16] 고용창출 우수기업이 인식하는 분야별 고용창출 역량	122
[그림 4-17] 회사규모별 정부정책	123
[그림 4-18] 1인당 매출액별 공정거래규제 고용지원사업 직업능력	124
[그림 4-19] 회사규모별 고용지원사업 직업능력개발 중소기업지원	124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고용창출 우수 기업과 일반 기업의 직업능력개발 비교 연구 2011.07.01~2011.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