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운영실태와 심사제도 개편

Reorganization of Screening System and Operation Condition for Suitable Training Courses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저자
김수원 나현미 심지현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40)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1.30
등록일
2012.01.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5 
 제3절 연구의 방법 7
제2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관련 제도 고찰 11
 제1절 적합훈련과정 심사의 목적 및 의의 13 
 제2절 적합훈련과정 심사의 추진 경과 14
 제3절 적합훈련과정 심사 추진 조직 및 체계 17
 제4절 적합훈련과정 심사업무의 주요 내용 18
 제5절 시사점과 함의 30
제3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운영 및 참여 실태 분석 33
 제1절 중앙정부의 적합훈련과정 승인 현황 35
 제2절 지방관서의 훈련상담 및 훈련계좌 발급 현황 40
 제3절 훈련기관의 적합훈련과정 실시 현황 44
 제4절 훈련생의 적합훈련과정 참여 현황 53
 제5절 운영 및 참여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과 평가 66
 제6절 시사점과 문제점 89
제4장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운영실태 분석 93
 제1절 신규 신청과정 심사 운영 현황 95
 제2절 조건부 승인과정 심사 운영 현황 107
 제3절 변경 신청과정 심사 운영 현황 108
 제4절 심사위원의 심사 참여 현황 110
 제5절 심사에 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과 평가 113
 제6절 시사점과 문제점 135
제5장 선진외국의 적합훈련과정 심사 운영 사례 연구 139
 제1절 독일의 사례 141
 제2절 미국(노스캐롤라이나주)의 사례 167
 제3절 시사점과 함의 191
제6장 결론 및 정책 방안 195
 제1절 심사제도 개편의 기본 방향 197
 제2절 산업인력 수요 반영방안 201
 제3절 심사의 효율성 제고방안 203
 제4절 심사의 공정성 강화방안 205
 제5절 심사를 통한 훈련 질관리 방안 207
 제6절 기타 제도 개선방안 210
Summary 213
참고문헌 219
부 록 223
 1. 적합훈련과정 운영 및 심사 면담지 225
 2. 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운영 및 심사 실태 조사지 249
 3. HRD-Net 계좌제 실적 등 요청자료 내용 272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훈련과정 심사의 목적과 의의, 적합훈련과정 심사 운영 현황, 적합훈련과정 심사 추진 조직 및 체계, 적합훈련과정 심사업무의 주요 내용(심사기준, 심사방법, 심사위원의 역할 등) 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관련 제도와 적합훈련과정 심사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중앙정부의 적합훈련과정 승인 현황, 지방관서의 훈련계좌 발급 현황, 훈련기관의 적합훈련과정 실시 현황(교·강사 수, 훈련생 수, 훈련시간, 훈련비용 등), 훈련생의 적합훈련과정 참여 현황(모집률, 출석률, 수료율(중도탈락률), 취업률, 자격취득률, 훈련만족도 등) 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운영 및 참여 실태를 직종별, 지역별, 기관 유형별 등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고, 심사의 적절성 차원에서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신규 신청과정 심사 운영 현황(단계별 심사결과 분석), 조건부 승인과정 심사 운영 현황, 변경 신청과정 심사 운영 현황 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미국, 독일 등 선진외국의 적합훈련과정 운영 및 심사 사례를 기존의 문헌 또는 인터넷, 그리고 해외 현지에 있는 한국인을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심사체계, 심사방법 등의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심사과정 운영방안, 심사결과 편차의 해소, 단계별 심사기준 개선 등을 통한 심사의 공정성 강화방안, 심사 신청 시 제한의 범위 및 요건 개발, 과정 운영 및 심사에서 훈련기관의 책무성 강화, 훈련 참여에서 훈련생 책무성 강화 등을 통한 직업훈련의 질 관리 개선방안 등 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심사 개편방안을 마련하였다.
  The Eligible Training Program List (ETPL) established within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has served as a tool to control the quality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this regard,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lement a fair ETPL review process that is based on rational review methods and standards designed by related specialists. However, although 2011 marked the fourth y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problems have emerged with regards to the management and reviewed procedure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s ETPL. In this regard, the nee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the ETPL in the actual field and its objectivity has been continuously raised.
  This study thoroughly analyzes the actual state of the management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implemented in the training and employment fields and the problems that have emerged as a result of the ETPL review system. This examination is intended to facilitate the reorganization of the existing review methods and standard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ETPL in a manner that would make it possible for the ETPL review system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at the early stages and serve as a tool which controls the quality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related to references and materials such as HRD-Net, existing studies, and statistical data were collected and used to analyze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TPL review procedures, the current state of approval, implement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ETPL, as well as cases related to similar review processes and management in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face-to-face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tate of the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in the ETPL, as well as the problems related to the reviewing procedures and the improvement thereof. Based on these results and subsequent discussions between a specialists’ council and the research team, measures to improve the ETPL review system were identified.
  The main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s well as the relevant policy sugg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nner in which the training institutions and training participants operating under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system and related markets reacting to the training marke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mplement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in order to stabilize the system during the early stages. This can be done by maximizing positive objectives and minimizing the unreasonable elements of the System. There is an urgent need to consolidate the vocational training infrastructure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heighten the training efficiency under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Second, given its capacity as an important element which was judged the success and performance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there is a need to heighten the feasibility of the ETPL review system in terms of its realization and efficiency.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in keeping with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diversifying the training programs so as to reflect the demands of human resources from the industrial sector, participants’ demands vis-a-vis training programs, and enhance connectivity with local industries. Training programs which can ensure the smooth flow of the human resources required by industrial society from within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market should be encouraged and cultivated.
  Third, the importance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 System has increased every year such that it has now expanded into job training for the unemployed, training for at risk groups and employment training. Smoot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local governments, KRIVET (including the reviewers), and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ensure that the work duties are properly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nevertheless maintains consistency, fairness, and rationality.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the roles and specialization of the related department withi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sponsible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uperior to train programs that reflect the demands of the labor market be enhanced.
  Fourth, the reliability of the ETPL review system should be enhanced by strengthening the rationality of the reviewing standards and the fairness of the reviewing procedures. To this end, it is essential to abandon the currently obscure application requirements and guidelines for the ETPL review in favor of clearer and more detailed ones.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raining of reviewers in order to height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ETPL review system and their degree of specialization in this particular field.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training institutions, there is a need to induce them to write out the application in a more detailed manner on HRD-Net when they apply for the ETPL review. 
  Fifth, the level of the ETPL can be improved by setting up clear review standards from the application stage onwards, and high-level training programs can be encouraged to apply for the ETPL by providing application related to information to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high quality training programs by strengthening review methods and procedures. As far as the approved training programs are concerned, there is a need to heighten the efficiency with which these are managed by strengthening monitoring.
  Sixth, the ETPL review system, which has attracted the investment of large-scale expenses and human resources, should be more than a reviewing procedure; it should also be function as the foundation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In other words, the results of these reviews should be used to improve training consultations and the issuance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s, the supply-demand of human resources, the employment rate, and the infrastructure of individual training institutio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 feedback needed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training by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Seventh,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training institutions which directly manage the training programs sense of responsibility so as to bring them into line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prevent any unnecessary wasting of fund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a training plan that prioritizes the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training programs, and to establish a system which can manage client-oriented training programs in an organized manner. Furthermore,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ticipants in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also be emphasized by imposing the condition that they must leave the ranks of the unemploye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through which the trainees take the training courses. In this regard, users can be encouraged to use all of the funds placed in thei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accounts for such ends by strengthening trainee screening through training consulting and increas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the trainees.
<표 1-1> 조사대상 표본 수	8
<표 1-2> 설문지의 내용	8
<표 2-1> 적합훈련과정 심사 추진결과	16
<표 2-2> 적합훈련과정 심사 추진 조직 및 체계	18
<표 2-3> 적합훈련과정 신규과정의 심사절차	19
<표 2-4> 내용적합성 심사항목 및 심사기준	25
<표 3-1> 적합훈련과정 신청·승인·개설 추이	35
<표 3-2> 지역별 승인과정 및 개설과정 현황(2011년 6월 말 현재)	36
<표 3-3> 승인된 과정을 개설하지 않은 이유(2010년도)	37
<표 3-4> 직종별 승인과정 및 개설과정 현황(중분류 기준)	38
<표 3-5> 직종별 과다 편중 직종(소분류 기준)	39
<표 3-6> 기관 유형별 계좌제 참여 훈련기관 추이	40
<표 3-7> 기관 유형별 계좌 신청ㆍ발급 및 훈련 참여 현황	41
<표 3-8> 지역별 발급자 수와 개설과정과의 비교(2011년 6월 말 현재)	41
<표 3-9> 직종별 계좌 신청ㆍ발급 및 훈련 참여 현황(중분류 기준)	43
<표 3-10> KECO 중분류별 적합훈련과정 운영 현황	45
<표 3-11> 지역별 적합훈련과정 실시 현황	48
<표 3-12> 기관 유형별 적합훈련과정 실시 현황	51
<표 3-13> 2010년도 총 훈련실적액과 직업능력개발계좌제 훈련실적액	53
<표 3-14> KECO 중분류별 훈련과정의 기본 운영 정보	55
<표 3-15> 지역별 적합훈련과정의 훈련생 참여 현황	58
<표 3-16> 시설별 훈련과정의 기본 운영 정보	60
<표 3-17> 적합훈련과정 관련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63
<표 3-18> 훈련직종별 훈련과정 참여자의 일반적 특징(2010년도)	65
<표 3-19> 구직자 대상 훈련상담 시의 애로사항(지방관서용)	67
<표 3-20> 고용노동관서(또는 고용센터)의 훈련상담 내용에 대한견해(훈련생용)	68
<표 3-21> 계좌제 훈련과정 운영상의 애로사항(훈련기관용)	69
<표 3-22> 훈련기관 유형별/소재지별 계좌제 훈련과정 운영상의애로사항(훈련기관용)	70
<표 3-23> 계좌제 훈련에 대한 향후 참여 및 실시 계획(훈련기관용)	72
<표 3-24> 계좌제 훈련과정에 대한 정보습득 경로(훈련생용)	74
<표 3-25> 계좌제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주된 이유(훈련생용)	76
<표 3-26> 계좌제 훈련과정 수강상의 애로사항(훈련생용)	78
<표 3-27> 계좌제 훈련과정의 시설 및 장비가 훈련내용에 연관되는 정도(훈련생용)	79
<표 3-28> 계좌제 훈련과정의 교․강사 강의가 훈련과정의 내용에부합한 정도(훈련생용)	81
<표 3-29> 계좌제 훈련과정의 내용이 최근의 산업현장 수요를 반영한 정도(훈련생용)	82
<표 3-30> 계좌제 훈련과정의 훈련시간이 훈련내용에 비해 적절한정도(훈련생용)	83
<표 3-31> 계좌제 훈련과정의 훈련방법이 훈련내용을 습득하는 데효과적인 정도(훈련생용)	85
<표 3-32> 계좌제 훈련과정의 이론 대 실기의 비율 배분이 적절한정도(훈련생용)	86
<표 3-33> 계좌제 훈련과정의 훈련비용이 훈련 수준 및 내용과 비교하여 적정한 정도(훈련생용)	88
<표 4-1> 적합훈련과정 심사의 개요	96
<표 4-2> KECO(중분류) 분류별 접수결과	97
<표 4-3> 지원필요성 심사 결과	99
<표 4-4> 내용적합성 심사 결과	100
<표 4-5> 현장실사 결과	102
<표 4-6> 이의신청 현황 및 심사 결과	103
<표 4-7> 최종 심사 결과	104
<표 4-8> KECO(중분류) 분류별 심사 결과	105
<표 4-9> 조건부 심사 결과	108
<표 4-10> 변경심사 결과	110
<표 4-11> 심사 참여 횟수, 회당 심사한 과정 수	111
<표 4-12> 심사직종이 자신의 경력 및 현 종사업무와 관련이 있는정도	111
<표 4-13> 신규 과정 심사 소요시간과 적당한 소요시간	112
<표 4-14> 적합훈련과정 심사 신청과정에서의 애로사항(훈련기관용)	114
<표 4-15> 심사위원 연수의 유익성 정도(심사위원용)	115
<표 4-16> 심사기준(가이드라인) 구성의 합리성(심사위원용)	116
<표 4-17> 심사항목별 심사기준(가이드라인) 개선의견(심사위원용)	117
<표 4-18> 적합훈련과정 심사기준의 합리성 정도(훈련기관용)	118
<표 4-19> 합리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항목(훈련기관용)	119
<표 4-20> 심사과정에서의 공정성(심사위원용)	120
<표 4-21> 적합훈련과정 심사과정에서의 문제점(심사위원용)	122
<표 4-22> 적합훈련과정 현장실사상의 애로사항(지방관서용)	123
<표 4-23> 조건부 및 변경 심사의 지연에 대한 이유(심사위원용)	124
<표 4-24> 계좌제 승인 훈련과정의 평균적 수준(심사위원용)	125
<표 4-25> 승인 훈련과정의 수준, 비용, 취업 시 도움 정도(지방관서용)	126
<표 4-26> 적합훈련과정 심사과정 전반의 문제점(지방관서용)	128
<표 4-27> 적합훈련과정 심사과정 전반의 문제점(훈련기관용)	129
<표 4-28> 계좌제 훈련과정의 품질 향상을 위한 심사제도 개선방안(심사위원용)	131
<표 4-29> 계좌제 훈련과정의 품질 향상을 위한 심사제도 개선방안(지방관서용)	132
<표 4-30> 계좌제 훈련과정의 품질 향상을 위한 심사제도 개선방안(훈련기관용)	133
<표 4-31> 훈련기관 지도점검 시 지적사항(지방관서용)	135
<표 5-1> 2007년 실업자 직업훈련지원자 현황 분석	147
<표 5-2> 2011년 8월 노동시장 활성화 정책방안에 관련된 참여자현황	148
<표 5-3> 2008~2011년 독일 노동시장 활성화 방안 관련 국가 지원 현황	149
<표 5-4>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174
<표 5-5>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일반 성인 전체(2008년 기준)	178
<표 5-6>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성인, 특별 구분(2008년 기준)	179
<표 5-7>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성인, 기타(2008년 기준)	180
<표 5-8>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해고근로자(2008년 기준)	180
<표 5-9>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해고근로자, 특별구분(2008년 기준)	181
<표5-10>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해고근로자, 기타(2008년 기준)	181
<표5-11>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청소년(14~21세) (2008년 기준)	182
<표 5-12>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기타(2008년 기준)	183
<표 5-13>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참여도(2008년 기준)	184
<표 5-14> 인력개발법에 의거한 직업훈련 결과: 프로그램에 따른비용(2008년 기준)	185
<표 5-15> 인력투자법에 따른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직업훈련 투자비용(2008년 기준)	185
[그림 5-1] 고용 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와 노동시장 조절의 통괄적 관리정책 모형	142
[그림 5-2] 노동시장 구직 활성화 지원 정책과 관련 연평균 직업훈련 참여자 추이(2005~2010년)	145
[그림 5-3] 직업훈련계좌제 평균 훈련 소요기간(2007년 기준)	146
[그림 5-4] 직업훈련인증시스템 규정들의 영향	157
[그림 5-5] 구 동독지역과 구 서독지역의 훈련승인 종류와 양적 분산지수	159
[그림 5-6] 구 동독지역과 구 서독지역의 훈련기관들의 질관리 모델	161
[그림 5-7] 미 전역과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실업률 비교(2009년 기준)	187
[그림 6-1] 적합훈련과정 심사의 역할과 피드백 프로세스	200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직업능력개발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운영실태와 심사제도 개편 2011.05.16~2011.11.1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