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가의 인력양성 현황과 정책과제
Social Entrepreneurs Current Conditions on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Policy Issues
- 저자
- 이의규 정원호 김종걸 김재구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4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0
- 등록일
- 2012.06.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사회적 기업가인력양성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방법 및 기대효과 5 제2장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 현황 7 제1절 사회적 기업의 정의 9 제2절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정 13 제3절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역할 15 제4절 소결 30 제3장 외국의 사회적 기업 현황과 발전 33 제1절 영국의 사회적 기업 35 제2절 미국의 사회적 기업 41 제3절 일본의 사회적 기업 47 제4절 이탈리아의 사회적 기업 54 제5절 소결 63 제4장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가 양성 현황 69 제1절 사회적 기업가와 기업가정신 71 제2절 사회적 기업가의 양성 현황 73 제3절 사회적 기업가의 양성 사례 87 제4절 사회적 기업가 양성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96 제5절 소결 109 제5장 요약 및 정책 제언 113 제1절 요 약 115 제2절 정책 제언 118 SUMMARY 123 참고문헌 125 부 록 133 1. 2012년도 사회적 기업 육성계획 135 2. 남양주시 사회적 기업가대학(2011) 138
본 연구의 방법은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의 성장 및 발전과정을 사회적 기업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의 인력양성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사회적 기업이 발전한 주요국의 사회적 기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사회적 기업 및 사회적 기업가 양성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 전문가 협의 및 FGI 등을 실시하여 사회적 기업가 인력양성의 문제점과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외국에서 사회적 기업이 먼저 발전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사회적 기업이 나아갈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쟁력 있는 사회적 기업가를 제대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할 교육훈련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데, 이러한 사회적 기업가 인력양성에 대한 표준모델을 개발하는데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적 기업 특성에 맞는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과정 및 사회적 기업가에 대한 관련 부처의 지원 대책 및 정책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istory of social enterprises is very short in South Korea. However,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s have by and large been successful. The key to the future success or failure of social enterprises is competitiveness. Competitive social enterprises are predicated on the presence of social entrepreneurs and the positive leadership role they 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entrepreneurs training and related policy implications. Some of the methods employed include a review of the available literature on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research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upport for social entrepreneurship training programs and the post-administration thereof has been limited. Therefore, social enterprises should operate positive performance analysis and with the result, measures for improvement must be presented. The study identified the success or failure of social entrepreneurs and social enterprises 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herefore, the following social enterprise policies are needed to enable further improvement: Firs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with regards to the training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modified. In this social entrepreneurs and personnel training projects, the financial support should be more focused on the ecosystem and business rather than labor costs. Also, surveillance and evaluation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moral hazard. Second, a standard model for social entrepreneur training projects should be provided. The standard model should have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 and contents depending on the industry, typ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 The introduction of a standard model for the training of social enterprises will help to increas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ird, social enterprises' satisfaction with workforce training should be analyzed. The causes of dissatisfaction, demand for courses, request regarding programs should be reflected in the training; hence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pecialized by the region As mentioned earlier, such policies can help to improve the training of social enterprises. In addition, such policies will help to give social enterprises a competitive advantage in terms of their activities.
<표 2-1> 사회적 기업의 기준 11 <표 2-2> 우리나라 사회적 기업 육성정책 14 <표 2-3> 지역별 인증 현황 및 권역별 지원기관 17 <표 2-4> 2011년도 사회적 기업 관련 예산 현황 20 <표 2-5> 2011년 전체 예산 및 사업별 예산규모 및 집행현황 21 <표 2-6> 사회적 기업의 지원제도 24 <표 2-7> 주요국 사회적 기업의 고용 현황 비교 27 <표 3-1> 영국의 사회적 기업가 학교(SSE) 교육내용 40 <표 3-2> 영국 대학의 사회적 기업가 교육 일람 41 <표 3-3> 미국 주요 대학의 사회적 기업가 교육 일람 46 <표 3-4> 일본의 사회적 기업 유형 48 <표 3-5> 일본대학의 사회적 기업가 교육 일람 54 <표 3-6> A 타입 협동조합과 B 타입 협동조합의 비교 57 <표 4-1> 2011년 사회적 기업가 양성 관련 예산 74 <표 4-2> 2011년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교육현황 75 <표 4-3> 2011년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위탁운영기관 현황 76 <표 4-4> 창업입문 과정 교육 운영기관 77 <표 4-5> 권역별 실무자 역량강화 과정 78 <표 4-6> 2011년도 예산 집행현황 81 <표 4-7> 2011년 청년 등 사회적 기업가 육성 사업 위탁운영기관 현황 82 <표 4-8> 소셜벤처 사업비 지원현황 86 <표 4-9>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사업 일반과정 및 전문과정 개요 90 <표 4-10>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사업 심사기준 91 <표 4-11>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일반과정 운영기관 93 <표 4-12>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전문과정 운영기관 94 <표 4-13> 사회적 기업 인증요건 98 <표 4-14> 국내의 대학, 대학원 NGO학 교과과정 108 [그림 2-1] 사회적기업육성법 상 사회적 기업의 유형 12 [그림 2-2] 사회적 기업의 일반 현황-지역별 분포 16 [그림 2-3] 유형별, 조직형태별 사회적 기업 분포 18 [그림 2-4] 사회적 기업수 증가 25 [그림 2-5] 사회적 기업 종사자 수 증가 26 [그림 2-6] 사회적 기업의 역할 29 [그림 3-1] 영국의 사회적 기업 지원체계 36 [그림 3-2] 일본형 사회적 기업 개념도 49 [그림 4-1] 청년층의 사회적 기업가 육성 추진체계 79 [그림 4-2] 업무체계도 80 [그림 4-3] 사회적 기업 아카데미 사업 개요 87 [그림 4-4] 사회적 기업 아카데미 교육기관 공모 및 선정, 운영지원 87 [그림 4-5] 사회적 기업 아카데미사업 내용 및 추진체계 89 [그림 4-6]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사업 운영기관 분포도 92 [그림 4-7]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사업 운영기관 특성분석도 95 [그림 4-8] 사회적 기업가 아카데미 사업 컨소시움기관 특성도 95 [그림 4-9] 교육과정에 대한 불만족 원인 101 [그림 4-10] 향후 재수강을 원하는 교육부문 102 [그림 4-11] 향후 전문과정 수강 시 희망사항 103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사회적 기업가의 인력양성 현황과 정책과제 | 2011.07.01~2011.12.30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