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과학기술분야 16대 중점과제 모니터링(2011) : 선진 평생직업교육체제 구축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16th Top Priority Project Monitoring (2011) - Constructing Advanced Lifelong Employment Educational System
저자
김선태 정태화 장명희 정윤경 박동열 박동
분류정보
기본연구(2011-4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1.10.31
등록일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마이스터고선취업 후진학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3 
  제2절 연구 방법 개관 5 
제2장 마이스터고 정착: ‘마이스터고의 추진 성과와 발전과제’7 
  제1절 정책 추진 배경 9 
  제2절 정책 추진 현황 12 
  제3절 정책 추진 성과 및 우수사례 25 
  제4절 정책 추진관련 문제점 및 발전과제 32 
제3장 특성화고 취업률 제고: ‘취업 역량 제고 사업’47 
  제1절 정책 추진 배경 49 
  제2절 정책 추진 현황 52 
  제3절 정책 추진의 긍정적 효과 및 성공 요인 60 
  제4절 정책 추진 과정상의 문제점 및 보완 사항 65 
  제5절 개선을 위한 과제 67 
제4장 선취업 후진학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향: 재직자 특별전형을 중심으로 71 
  제1절 선취업 후진학 정책 추진 배경 및 경과 73 
  제2절 선취업 후진학 정책 추진 현황 80 
  제3절 선취업 후진학 정책의 모니터링 결과 89 
  제4절 개선을 위한 과제 100 
제5장 세계수준 전문대 육성(WCC) 119   제1절 사업 추진 배경 및 현황 분석 121 
  제2절 사업의 기대 효과 및 보완 사항 131 
  제3절 사업 추진 과정의 문제점 및 보완 사항 136 
  제4절 향후 추진 방안 144 
제6장 요약 및 정책 제언 149   
  제1절 요약 151 
  제2절 정책 제언 158  
SUMMARY 171 
참고문헌 177 
부 록 181 
<부록 1> 2011년 대기업에서의 특성화고졸 인력 채용 계획(안) 183 
<부록 2> 선취업 후진학 체제 FGI 인식조사 184 
<부록 3> 정부의 전문대학 국제화 관련 사업의 비교 191
<부록 4> 연구 자문위원 명단 196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관련 모니터링 자료 및 선행 연구 검토, 언론 보도 및 연구물 분석, 모니터링 자료 분석, 현장 관계자 인식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각 직업교육정책의 추진 상황을 모니터링 한 것임.
  Systematical linkage among Korea’s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of secondary and higher levels inclu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Meister schools, and vocational colleges is the core basis of establishing open life-long education system that enables smooth transitions from school to workplaces and from workplaces to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current situation of previous policy practices, successful cases, and problems found in the middle of practice procedures regarding specialized high schools, Meister schools, and vocational colleges, thereby suggesting policy adjustments for improvem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objectives and the practice backgrounds of each policy with careful examination of current situation, examines positive effects of policy promotion with successful case studies, and analyzes existing problems and complementary factors among promotion procedures.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analysis of press and research results of each policy by monitoring, recognition surveys of related officials, and hosting expert conferences, this study monitored promotion status of each vocational education policy.
  The performance of each vocational education policy and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our suggestions for each poli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urrent major performance of Meister schools policy are the education curriculum reform for industrial demand, selection of competitive students who has potentials and challenged aptitude, hiring principals and teachers from industrial field, securing enough number of teachers which is necessary for Young Meister, improving industrial applicability of teachers and reinforcing competence, and signing industrial-educational contracts with successful industries and improving corporational activities.
  Major problem found in the promotion procedures of Meister school was the one regarding military services, which becomes the main obstacle for hiring graduates who had not finished their military duties according to the Meister Employment Agreement. This represents the problem of reduced possibility of employment for male students due to corporate tendency to avoid employing graduates who had not finished their military duties. Further improvement plans include establishing competitive training system through subject multiplication of Meister training, structuring job application supporting system for graduates of Meister schools, securing credibility of competence that Meister graduates possess by reforming qualification system, providing incentives for successful corporations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expanding budgets and promising stable supports, providing competent teachers, establishing program improvement system for each school based on frequent self-evaluation, establishing support system for continuous education, solving problems regarding military services of graduates, and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of employment.
  Second, in case of the improvement of employment competency project, several issues were foun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mployment function related industrial-customized curriculum reform, expand opportunity to have field internship programs with systematical improvements of appropriate job opportunities, and promoting organizational linkage among informational system of work-education-qualification related fields. For improving project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chieve promotion and provision of appropriate signals for goals of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successful visioning as a skillful worker, expertise reinforcement of workforce graduating specialized high schools, inducing improvement for corporate personnel system, and searching and expanding decent jobs that are appropriate for workforce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Third, the issues related to special admission system for employees, one of policies of ‘employment first, study later’, were as follows: providing expansion methods of acceptance range of industrial experience education, expanding tax reduction benefits and financial supports for workforce-development-centered corporations, developing methods for reducing employment terms from current 3 years to 2.5-2 years in the future, expanding establishment of related field courses in colleges, providing comprehensive operation methods for cooperating with existing divisions by implementing appropriate supports, aiming for maturing corporate culture and establishing program development plans regarding the expansion of education opportunity for residers of HR division, establishing operation methods to run employment program cooperating with high schools, industrial fields, and colleges, implementing individual consulting system for residers based on tracing surveys of students who are employed for their 4th year, implementing and operating programs to alleviate relative exclusiveness of current students and work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establishing operation methods for field- practices-centered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securing professors with industrial field experience, adjusting capacity through inducing structural adjustments in colleges and establishing supportive policies for reforming divisions aiming for special admission tasks for residers.
  Fourth, the expected results of WCC project, aiming for making Korean vocational colleges as ones in World Class College(WCC), include securing probabilities for successful vocational colleges of international level through improvement of quality of education, selecting successful vocational colleges and providing environment apt for securing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operation, inducing positive responses from vocational colleges officials, and securing probability of establishing systematical infrastructure for Korean vocational education. Further direction for WCC project was found to be vitalizing businesses and securing additional budgets for active performances, expanding assessments, adopting adjustments of particular assessment index, industrial categorizing based on college specialties and expanding selection ranges, and setting up medium and long-term operation direction of businesses.
<표 1-1>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방법	6
<표 2-1> 한국형 마이스터고 육성 기본 계획의 주요 내용	11
<표 2-2> 마이스터고 육성 관련 주요 추진 경과	13
<표 2-3> 마이스터고 표준 요건(Standard)	14
<표 2-4> 제 1~4차 마이스터고 선정 현황 종합	16
<표 2-5> 마이스터고 방과후학교 운영 실적	20
<표 2-6> 마이스터고 동아리활동 운영실적	20
<표 2-7> 마이스터고의 협약 산업체 및 채용 약정 인원 현황	21
<표 2-8> 마이스터고 교육과정 산업 현장 적합성 분석 결과	25
<표 2-9> 마이스터고 운영 주요 우수사례	30
<표 3-1> 지역 별 취업률	55
<표 3-2> 목표 취업률 및 최소 취업률	55
<표 3-3> 산업체 현장체험 및 현장실습 개요	56
<표 3-4> 지역 별 대상학교 선정 수	56
<표 3-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수업 선진화 지원사업 규모	57
<표 3-6> 지역별 학교수업혁신팀 수	58
<표 3-7> 글로벌 교류․협력 및 역량강화 개요	60
<표 4-1> 기존, 실업계 동일계 전형 정책 변천 과정	77
<표 4-2> 재직자 특별전형, 동일계 특별전형 선발범위	78
<표 4-3>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의 모집결과 및 산업체 인정범위	83
<표 4-4> 특성화고졸 재직자 특별전형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	83
<표 4-5> 4년제 대학 기준 특성화고 학생 진학 현황	85
<표 4-6> 2010학년도 동일계 특별전형 학교선발범위 현황	85
<표 4-7> 연도별 동일계 특별전형 입학정원 현황	86
<표 4-8> 특성화고 진학 이유	86
<표 4-9> 일부 고등학교의 2010년도 졸업생 중 4년제 대학 진학 비율	87
<표 4-10> 재직자 특별전형 제도를 채택한 대학의 입학 경쟁률	88
<표 4-11>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예상되는 어려움, 노력해야 할 부분	92
<표 4-12> 재직자 특별전형의 확대 시행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	93
<표 4-13> 재직자 특별전형의 확대 시행과 관련한 기업(산업체), 대학의 역할	94
<표 4-14> 재직자 특별전형의 확대 시행과 관련한 지자체의 역할	95
<표 4-15> 정원 외 모집전형 중 기회균등전형의 연도별 개편(안)	97
<표 4-16> 재직자 특별전형 실행방안	98
<표 4-17>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 사업 현황	99
<표 4-18> 병역연기 특례 신설 실행방안	99
<표 4-19> 취업 후 교육생태 환경 조성 관련 조직별 역할 분담 내역	107
<표 4-20> 모니터링 체제구축 및 추진시스템 점검	110
<표 5-1> 정부의 전문대학 국제화 관련 사업의 비교(개요)	142
[그림 2-1]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성장경로(Career Path) 모형	12
[그림 2-2] 제4차 마이스터고 선정 절차	15
[그림 2-3] 마이스터고 시설 및 기자재 보유 현황	18
[그림 2-4] 선취업 후진학 지원 제도	23
[그림 2-5] 마이스터고 지원센터 운영 조직	24
[그림 3-1] 정책 추진 배경과 추진 과제 개요도	51
[그림 3-2] 취업 역량 중심 선택․집중 지원	54
[그림 3-3]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연구 대회 사업 추진절차	59
[그림 3-4]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연구 대회 사업 추진계획	59
[그림 3-5] 취업 역량 제고 사업의 범위	67
[그림 4-1] 일반계고, 특성화고 학생 수 추이	73
[그림 4-2] 동일계 특별전형, 재직자 특별전형 제도 연혁	76
[그림 4-3] 선취업 후진학 정책 개선 방향	96
[그림 4-4] 지속가능한 학교-기업 간 협력관계 유지를 위한 생태 환경 개념도	100
[그림 4-5] 취업 후 교육 생태 환경 개념도 	106
[그림 5-1] WCC 사업을 통한 전문대학 체제 개편 방향	122
[그림 5-2] WCC 사업을 통한 능력경쟁 사회 구현 방향	123
[그림 5-3] WCC의 개념	125
[그림 5-4] WCC의 중장기 비전	125
[그림 5-5] WCC 선정규모	126
[그림 5-6] WCC 선정 절차 및 기준	129
[그림 5-7] WCC의 중장기 비전	13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수시 (수시)교육과학기술분야 16대 중점과제 모니터링(2011)-선진 평생직업 교육체제 구축- 2011.07.01~2011.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