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직자의 특별전형 확대·활성화 중장기 방안 연구
A Study on Employees Special Screening Expansion·Extended Plan Vitalization
- 저자
- 조은상 홍선이 김진모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1-4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1.12.31
- 등록일
- 2012.02.15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재직자 특별전형
요 약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4 제3절 연구 방법 6 제2장 재직자 특별전형 추진의 배경 9 제1절 진학 및 취업의 실태와 문제점 11 제2절 고용시장의 현황과 문제 14 제3절 평생학습 사회의 도래 15 제3장 재직자 특별전형 관련 정책의 성과와 한계 17 제1절 재직자 특별전형 정책의 현황 19 제2절 대학별 재직자 특별전형 개요 28 제3절 재직자 특별전형 정책 주요 성과 41 제4절 정책의 한계 44 제4장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 및 과제 49 제1절 재직자 특별전형의 이해 당사자 51 제2절 재직자 특별전형의 이해당사자별 장애 요인 53 제3절 재직자 특별전형의 이해당사자별 이슈 분석 57 제4절 AHP분석을 통한 과제의 우선순위 도출 64 제5장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 방안 89 제1절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 비전과 추진방향 91 제2절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 추진 주체별 우선 과제 93 제3절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의 시스템적 발전방안 97 Summary 99 참고문헌 101 부 록 103 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지원자격 요약 105 2. 재직자 특별 전형 중장기 확대 방안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1차 설문지 113 3. 재직자 특별 전형 중장기 확대 방안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전문가 2차 설문지(AHP) 121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도입한 재직자 특별전형 관련 정책 현황과 성과 및 한계와 더불어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를 위한 주요 이슈 및 과제를 도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책의 이해당사자를 명확히 하고, 이들의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써 이해당사자별로 영역에 따른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대학, 학생, 산업체(기업), 정부의 입장에서 제기되는 이슈를 파악하고 분석을 통한 과제를 도출하고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재직자 특별전형 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방안을 제안한다.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 비전과 추진방향은 기본적인 방향일 뿐 아니라 추진의 원칙 개념도 포함하며 앞서 도출된 과제들을 중기(2~3년), 장기과제(3년 이상)로 분류하여 이 과제들이 앞의 이해당사자 및 이슈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보여준다.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해당사자별로 과제를 제시하고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consider limitations and check the issues of the policies related to the special recruitment of the incumbent (SRI), and then to draw the middle- and long-term plans for it. To achieve the objective, we adopt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we reviewed the literature on the SRI. Second,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niversity staffs and policy makers. Third, we surveyed the university staffs and incumbents and analyz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we came up with a series of suggestions for implementing four major tasks. First, the public relations of the SRI-related policy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recruitment system, along with clear guidelines, should be improved. Third, the academic affairs, which also take incumbents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need to be improved. Fourth, financial support needs to be expanded to include the scholarships, tuition fee support and corporate support. Through the expert surveys, we drew some conclusions about the middle- and long-term policie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a relatively immediate time-line: to offer scholarship to excellent students; to provide a clear guideline for selection process; to hold a workshop for the teacher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o strengthen public relations; to support evening and weekend classes;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for the universities; to diversify the selection process; to provide an information guide on students academic and campus life. We finally suggested the policies appropriate for each individual sector. As for the incumbents, they need to be given scholarships and tuition aids. As for the government, they should implement a series of policy measures: to have a demand survey for the graduates from specialized high-schools; to check public relations of the policy;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process; to diversify the selection process and recruitment units. As for the universities, they should not only provide incentives for the professors but also support evening and weekend classes in an effort to improve the incumbents situations. As for the corporations, they need to be given incentives and tax reductions.
<표 1-1> 선행연구 현황 및 선행연구와 본연구의 차별성 5 <표 2-1> 지역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 수 변화추이 및 전망 12 <표 2-2> 연도별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진학률과 취업률 변화추이 13 <표 3-1> 2011년 재직자 특별전형 운영현황 21 <표 3-2> 지역별 대학·학과·정원 비율 22 <표 3-3> 계열별 대학·학과·정원 비율 23 <표 3-4> 재직자 특별전형의 교육과정 운영현황 24 <표 3-5> 대학별 학생선발 전형 방법 및 제출서류 26 <표 4-1> 재직자 특별전형 의사결정 대안 70 <표 4-2> 재직자 특별전형 각 과제들의 중‧장기 구별 72 <표 4-3> 재직자 특별전형 중장기 확대방안의 최종 우선순위(전문가 전체 합산) 74 <표 4-4> 평가 항목(상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정책전문가) 75 <표 4-5> 재직자 특별전형 중장기 확대방안의 최종 우선순위(정책전문가) 76 <표 4-6> 재직자 특별전형 상위 과제 내 우선순위(정책전문가) 78 <표 4-7> 평가 항목(상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학과운영자) 79 <표 4-8> 재직자 특별전형 중장기 확대방안의 최종 우선순위(학과운영자) 81 <표 4-9> 재직자 특별전형 상위 과제 내 우선순위(학과운영자) 83 <표 4-10> 평가 항목(상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입학담당자) 84 <표 4-11> 재직자 특별전형 중장기 확대방안의 최종 우선순위(입학담당자) 85 <표 4-12> 재직자 특별전형 상위 과제 내 우선순위(입학담당자) 87 [그림 2-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상황 추이(1990~2010) 14 [그림 3-1] 재직자 특별전형 중 기회균등전형 모집 상한 연도별 개편내용 20 [그림 3-2]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졸 재직자 특별전형 도입 방식 및 절차 25 [그림 4-1] 연구 절차 68 [그림 4-2] 재직자 특별전형 중장기 확대 방안 계층 구조 70 [그림 4-3] 전문가 의견 합산 결과 비교분석 74 [그림 5-1] 재직자 특별전형 세부과제들의 중장기 분석 92 [그림 5-2] 이해 당사자별 과제분류 93 [그림 5-3] 재직자 특별전형 활성화의 시스템적 발전방안 98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수시 | (수시)재직자의 특별전형 확대·활성화 중장기 방안 연구 | 2011.09.01~2011.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