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Ⅱ): 진로정보 보급·확산 촉진 모델 및 진로정보 사례 개발을 中心으로

A Study of Career Inform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II)
저자
이지연 한상근 정윤경 김나라 조희경 안선영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33)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2.31
등록일
2013.01.25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론	 9
제3절  연구 범위 및 한계	 16
제2장 선행연구 및 1차년도 연구 결과_19
제1절  용어 정의	 21
제2절  선행 연구	 26
제3절  1차년도 연구의 주요 결과	 33
제4절  2차년도 연구에 주는 함의	 41
제3장 진로정보 생성을 위한 접근 틀_45
제1절  직업정보 생성을 위한 접근 틀	 47
제2절  진학정보 생성을 위한 접근 틀	 64
제3절  지속적 진로정보개발에 주는 함의	 78
제4장 진로정보 책자발간_81
제1절  직업정보 편	 83
제2절  진학정보 편	 86
제3절  일러두기 및 활용지침	 89
제5장 진로정보「보급·확산」촉진 모델 및 제언_111
제1절  진로정보 ⌜보급․확산⌟을 촉진하는 모델	 113
제2절  제언	 124
SUMMARY_129
참고문헌_131
부  록_137
1. 장애유형별 직업선정을 위한 KNOW 질문문항 검토표	 139
2. KNOW 요인 기준에 따른 장애유형별 직종	 143
3. 2012년 진로정보서「직업편」예시	 145
4. 2012년 진로정보서「진학편」예시	 151
5. 대학별 진학 정보 수렴지	 154
6. 장애직업인과 장애대학생 인터뷰 동의서	 161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로 추진되는 2차년도 연구로, 1차년도 연구(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Ⅰ):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결과의 연속선상에서 일반인에 비하여 진로정보의 접근성이 낮고 진로정보 자체의 양·질적 수준이 열악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구체적인 진로정보 사례를 개발하고 진로정보 생성 정보의 접근 틀을 설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지속적 진로정보의 생성과「보급·확산」을 촉진하는 모델을 국가정책과 연동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차년도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합·유망한 30개의 직업정보 및 34개 진학정보(대학 및 학과)를 생성하여 교사·학부모용의 인쇄책자로 보급·확산하며 이후 2013년부터 국가수준에서 지속적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진로정보가 「보급·확산」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This is the second year of study with the  results of continuum of the 1st year of research (The Study of Career Information for Student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Ⅰ): basic research).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career information cases and suggest the diffusion and dissemination model for career information to facilitate at the national policy level to those who are the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
<표 1-1> 2차년도 연구 주요 내용	 9
<표 1-2> 진로정보 생성을 위한 공동연구진의 핵심 역할	 13
<표 1-3> 2차년도 연구의 소주제별 세부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5
<표 2-1> 중증장애인 정의 	 22
<표 2-2> 특수교육대상자 중증장애인 조작적 정의	 24
<표 2-3> 한국·미국·호주 직업정보 주요 요소	 28
<표 2-4> 장애인 검사도구를 통해 살펴본 직업과 문항구성 요인	 30
<표 2-5> O*NET 추천 장애인을 위한 사이트	 31
<표 2-6> 장애인 직업관련 검사도구 문항구성과 직업	 32
<표 2-7> 장애인 일자리직무매뉴얼 구성요소 및 세부내용	 33
<표 2-8> 특수교육대상 2차년도 연구 이후, 2013-2017 진로정보 5개년 계획표	 40
<표 3-1> 중증 장애인이 취업한 주요 직업	 51
<표 3-2> 중증 장애인이 취업을 희망하는 직업	 52
<표 3-3> 중증 장애유형별 직무개발 현황	 54
<표 3-4> 77개 직업리스트와 장애유형별 취업·희망·직무매뉴얼 종합표	 55
<표 3-5> 장애유형별 도전 직업 선정을 위한 직업 판별 기준	 59
<표 3-6> 진로정보생성을 위한 최종 직업	 60
<표 3-7> ⌜직업편⌟정보 생성을 위한 세부내용과 직·간접 정보원	 62
<표 3-8> 진학정보 수집 대상 대학 선정 기준	 72
<표 3-9> 진학정보 수집 대상으로 선정된 4년제 대학 리스트	 74
<표 3-10> 진학정보 수집 대상으로 선정된 전문대학 리스트	 75
<표 3-11> 진학정보 수집 대상으로 선정된 폴리텍대학 리스트	 76
<표 3-12> ⌜진학편⌟정보 생성을 위한 세부내용과 직·간접 정보원 	 77
<표 4-1> ⌜직업편⌟ 책자 구성	 85
<표 4-2> ⌜진학편⌟ 책자 구성	 87
<표 4-3> 취업자 인터뷰 세부내용	 92
<표 4-4> 고용주 인터뷰 세부내용	 92
<표 4-5> 재학생 인터뷰 세부내용	 101
[그림 1-1] 특수교육대상 진로정보 ⌜생성․보급․확산⌟을 위한 거시적 전달 모형	 6
[그림 1-2] 2차년도 연구의 필요성	 7
[그림 1-3] 2차년도 연구 내용 및 흐름	 8
[그림 2-1] 직업정보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5개의 주요 직무요소(좌측)	 29
[그림 2-2] 특수교육대상 진로정보 ⌜생성․보급․확산⌟의 세부 내용	 39
[그림 3-1] 직업정보 생성 과정	 49
[그림 3-2] 연대기별 직업영역개발 사업 현황	 53
[그림 3-3] 중증장애인의 도전 가능한 직종 선정 과정	 58
[그림 3-4] 직접 직업정보 생성의 수행 단계별 세부사항	 63
[그림 3-5] 최종 진학정보 선정 과정	 66
[그림 3-6] 2011년 고등학교 특수교육 졸업생 진학 현황	 70
[그림 4-1] 2012년 진로정보서 ⌜직업편⌟ 표지	 84
[그림 4-2] 2012년 진로정보서 ⌜진학편⌟ 표지	 86
[그림 4-1] 진로정보서 ⌜직업·진학편⌟ 커버케이스	 88
[그림 4-4] 2012년 진로정보서 ⌜직업편⌟ 일러두기 예시	 93
[그림 4-5] 2012년 진로정보서 ⌜진학편⌟ 일러두기 예시	 102
[그림 5-1] 진로정보의 지속적 생성과 ⌜보급·확산⌟의 모델	 115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진로정보 연구(Ⅱ): 진로정보 보급·확산 촉진 모델 및 진로정보 사례 개발을 중심으로 2012.01.01~2012.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