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창업률 제고를 위한 직종 및 직무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Occupation and Jobs for increasing the rate of Employment and setting up Business of Graduates from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 저자
- 박동열 김민규 김영생 장명희 정태화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2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0.31
- 등록일
- 2013.01.21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절차 7 제2장 농업계고졸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 변천_21 제1절 농업계고 운영실태 23 제2절 농업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 동향 47 제3절 경로의존성 분석 68 제4절 정책 변화에 따른 시사점 78 제3장 농업계 특성화고졸 인력의 취․창업 실태 분석_79 제1절 농업계 특성화고졸 인력의 취․창업 인식 분석 81 제2절 농업계 특성화고에 대한 미래 전망 126 제4장 농업계 특성화고졸 인력에 적합한 직종 및 직무 분석_145 제1절 농산업인력 동향과 전망 147 제2절 국내외 농산업 직업분류체계 현황 181 제3절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가능 직업(안) 212 제4절 농산업분야 직무수준체계(안) 232 제5장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강화방안_383 제1절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강화를 위한 기본방향 385 제2절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강화를 위한 추진과제 388 SUMMARY_407 참고문헌_413 부 록_419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창업률 제고를 위해 농산업분야의 개념과 범위를 규명하여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 및 창업 지원을 위한 추진과제를 발굴하는 데 있다. 첫째, 농산업분야의 현 직무체계와 직무체계에 따른 통계현황을 분석한 후, 확산적 관점에서의 농산업분야 직무체계(안)를 제시하였다. 둘째, 구안된 농산업분야 직무체계(안) 중에서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창업 가능 직무와 직종을 제시하였다. 셋째, 농업계 특성화고졸 인력의 양성 및 활용 실태를 기업, 학교 관점에서 분석하여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생의 취업률과 창업률 제고를 위한 추진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ypes of occupation and jobs available for graduates from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on the basis of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s of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graduates and the demand toward them from agribusiness and its related sectors,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rates of employment and new firm form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f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and establishment of job classification system in agriculture sector on an infrastructure building basis for enhancing rates of employment and new firm formation of graduates from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This study also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past and current policy on manpower cultivation in agriculture vocational high schools and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through contact with human resource managers, workers and agriculturers in agribusiness, analyzing the change of manpower demand toward graduates from agricultural vocational/non-vocational hig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Besides, we conducted Delphi research for forecasting on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and suggested job classification system, models, level system and career, reviewing 20 occupation based on KECO system and focusing on available jobs for employment and new firm formation for graduates from agricultural vocational high schools.
<표 1-1> 농업계 특성화고졸 인력의 활용실태 분석조사 개요 9 <표 1-2> 농산업 기업체의 인사담당자 및 재직근로자 대상 설문구성표 10 <표 1-3> 설문 응답한 인사담당자 조사업체의 업종 분포 11 <표 1-4> 농업분야 창업자(체) 대상 설문문항 구성표 12 <표 1-5> 농업계고졸인력의 고용 유지현황 조사 13 <표 1-6> 농업계고 학생의 진로인식 및 교사가 파악하는 학생의진로인식 조사 14 <표 1-7> 농업계고 학생의 진로인식 조사문항 개요 표 14 <표 1-8> 델파이 전문가 패널 구성 15 <표 1-9> 델파이 조사 설문지의 발송 및 수집기간 계획 16 <표 1-10> 델파이 조사 문항 구성표 17 <표 1-11> 농산업분야 취․창업 직종 및 경력이행경로 개발 절차,내용, 방법 18 <표 2-1> 농업계 특성화고의 학교명칭 변천사 26 <표 2-2> 농업계 특성화고 및 학과현황 29 <표 2-3> 농업계 특성화고 학과운영 중심 분류 32 <표 2-4> 농업계 특성화고 학교현황 33 <표 2-5> 농업 관련 과정별 학급, 학생 수 현황 34 <표 2-6> 특성화고졸 인력의 신규노동력 공급 37 <표 2-7> 농업계 각급 학교, 학급(과), 학생 수 변화 38 <표 2-8> 농업계 고교생의 진로 39 <표 2-9> 농업계 특성화고의 진로현황 40 <표 2-10> 농업계고 졸업자 취업자 41 <표 2-11> 농업계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분야(2008~2012년) 42 <표 2-12> 농업계 특성화고 교과별 교원 수 현황 44 <표 2-13> 교사 1인당 학생 수 국제비교(2004~2009년) 45 <표 2-14> 시도별․지역규모별 교사 1인당 학생 수: 농업계특성화고(2011년) 46 <표 2-15> 2000년대 이후 농산업인력 육성정책 52 <표 2-16>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농업계고의 비전 및 교육목표 54 <표 2-17> 교육과정 변화 58 <표 2-18> 제1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0 <표 2-19> 제2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1 <표 2-20> 제3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1 <표 2-21> 제4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3 <표 2-22> 제5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4 <표 2-23> 제6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고 학과 및 교과목 66 <표 2-24> 제7차 교육과정상의 농업계열 전문 교과목 편제 67 <표 3-1>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농산업 종사 희망 및 성공가능성 여부 82 <표 3-2>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농업계고 학생의 농업에 대한인식 83 <표 3-3>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 교과과정별 만족도 84 <표 3-4> 농산업 분야의 취업 희망 여부 85 <표 3-5>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졸업 후 직업을 가져야하는 이유 86 <표 3-6>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직업) 선택을 위해 가장필요한 요소 87 <표 3-7> 학생과 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직업)정보 획득경로 88 <표 3-8> 대학 진학 희망 여부 및 이유 89 <표 3-9> 선취업 후진학에 대한 인식 90 <표 3-10> 현 직장에 대한 정보 취득 경로 91 <표 3-11> 현 직장 입사방법 93 <표 3-12> 직장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한 점 94 <표 3-13> 구직 소요 기간 95 <표 3-14> 현직장 입사를 위한 직업교육훈련 경험 95 <표 3-15> 직업교육훈련 기간 96 <표 3-16> 직업교육훈련을 받은 이유 97 <표 3-17> 현 직장이 첫 번째인지 여부 98 <표 3-18> 전 직장과 현 직장의 임금수준 비교 98 <표 3-19> 전 직장에서의 근무경력 99 <표 3-20> 전 직장 퇴직사유 100 <표 3-21> 현 직장 고용형태 101 <표 3-22> 현 직장 근무경력 101 <표 3-23> 임금수준에 대한 인식 102 <표 3-24> 현 직장에 대한 직무 만족도 103 <표 3-25> 고교 교육의 직무 수행 도움 정도 105 <표 3-26> 업무와 고등학교 전공 일치 여부 106 <표 3-27> 재학 중 자격 취득 106 <표 3-28> 자격증의 업무 도움 여부 107 <표 3-29> 업무 수행 시 가장 필요한 점 108 <표 3-30> 사내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109 <표 3-31> 사내 직업교육훈련 109 <표 3-32> 업무 관련 사외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110 <표 3-33> 외부 교육훈련의 도움 정도 111 <표 3-34> 임금수준 및 기대임금 분포 111 <표 3-35> 월평균 임금에 대한 추정결과 113 <표 3-36> 정규직 고용에 대한 추정결과 114 <표 3-37> 창업정보 취득경로 115 <표 3-38> 창업농 선택이유 116 <표 3-39> 창업 준비기간 117 <표 3-40> 창업농의 월소득 및 창업 소요기간 관련 변인 118 <표 3-41> 농산업분야의 창업여건 및 전망에 대한 인식 119 <표 3-42> 창업 시 애로사항(중복 응답) 120 <표 3-43> 창업농의 최우선 요구조건 120 <표 3-44> 창업농에 대한 정부지원 요구 121 <표 3-45> 창직 프로젝트 참여 개요(맛다린 팀) 124 <표 3-46> 창직 프로젝트 참여 개요(팜즈 팀) 125 <표 3-47> 2차 델파이 조사에 대한 의견 합의도 및 수렴도 분석결과 129 <표 3-48> 농업계 특성화고 신규 전문 농어업경영인 육성 세부과제별 우선순위 결과 134 <표 4-1> 식료품 제조업 부가가치 추이 세부자료 151 <표 4-2> 국내 농자재산업 현황 154 <표 4-3> 사회서비스분야의 농어촌지역 고용현황(2000~2008년) 156 <표 4-4> 농림․수산 관련 산업의 분류 157 <표 4-5> 농산업 부문별 고용자 수 변화 158 <표 4-6> 농산업 부문별 업종 현황 159 <표 4-7> 농산업분야의 연령별 고용자 수 및 증감률 162 <표 4-8> 농업분야의 고용비중 추이 165 <표 4-9> 식료품 제조업의 고용 증가율 추이 167 <표 4-10> 식품산업분야의 연령별 고용자 수 및 증감률 169 <표 4-11> 농업분야의 인력수요 전망 종합 172 <표 4-12> 식료품 제조업분야의 인력수요 전망 종합 174 <표 4-13>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 175 <표 4-14> 농림․수산업의 총산출 추정결과(1995~2010년) 176 <표 4-15> 농림․수산업 종사자 수 추정결과(1995~2010년) 179 <표 4-16> 미국의 농산업분야별 경로 지식과 기술 183 <표 4-17> 식물시스템분야의 교육수준별 교육과정 및 관련 직업 186 <표 4-18> 농업 관련 사업 시스템분야 교육수준별 교육과정 및관련 직업 188 <표 4-19> 호주의 농업 육우 생산 관련 Group A, B 모듈 및이수시간 191 <표 4-20> 호주의 농업 판촉 관련 그룹별 모듈 및 이수시간 193 <표 4-21> 육우 생산 195 <표 4-22> 농업 판촉 196 <표 4-23> 농산업 직업체계분류 연구 200 <표 4-24> 농림․수산분야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 203 <표 4-25> 농림․수산분야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 205 <표 4-26> 농림․수산분야 한국고용직업분류체계 206 <표 4-27> 농생명산업 학과 관련 진출직업 고용현황(농업생산분야) 207 <표 4-28> 농생명산업 학과 관련 진출직업 고용현황(농업 관련분야) 208 <표 4-29> 농생명산업 학과별 자격증(농업생산분야) 210 <표 4-30> 농생명산업 학과별 자격증(농업 관련 분야) 211 <표 4-31> 농산업분야의 직업분류체계 216 <표 4-32> 농업생산분야의 직업분류체계 217 <표 4-33> 농업 관련 분야의 직무수준체계 219 <표 4-34> 농업계 특성화고졸자의 농산업분야 진출 가능 직업 제시 228 <표 4-35> 농산업분야별 소분류 종사자 수 230 <표 4-36> 농업생산분야의 직무분류체계 235 <표 4-38> 농산업분야의 직업별 직무수준체계 현황 243 <표 4-39>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건설관리 부문)의 직급체계및 직무수준체계 248 <표 4-40>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건축 부문)의 직급체계 및직무수준체계 252 <표 4-41> 생명과학 시험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57 <표 4-42> 상품중개인 및 경매사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62 <표 4-43> 건설 및 채굴 기계 운전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67 <표 4-44> 농업용 기계 정비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72 <표 4-45> 용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77 <표 4-46> 제빵원 및 제과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82 <표 4-47> 떡 제조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86 <표 4-48>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농․수․축산물 부문)의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291 <표 4-49>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가공식품 부문) 직무정의 293 <표 4-50>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가공식품 부문)의 직급체계및 직무수준체계 295 <표 4-51> 육류․어패류 및 낙농품 가공기계 조작원 298 <표 4-52> 육류․낙농품 가공기계 조작원의 직급수준 및 직무수준체계 301 <표 4-53> 어패류 가공기계 조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02 <표 4-54> 제분 및 도정 관련 기계 조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08 <표 4-55> 곡물가공제품 기계 조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13 <표 4-56> 과실 및 채소 관련 기계 조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18 <표 4-57> 기타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23 <표 4-58> 곡식작물 재배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27 <표 4-59> 채소작물 재배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33 <표 4-60> 특용작물 재배원 직무정의 336 <표 4-61> 특용작물 재배원(약용작물 부문)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39 <표 4-62> 특용작물 재배원(버섯재배 부문)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40 <표 4-63> 과수작물재배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47 <표 4-64> 원예(화훼)작물 재배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52 <표 4-65> 조경원(조경식재원 및 식물관리원)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58 <표 4-66> 동물사육사(일반 사기업 부문)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65 <표 4-67> 동물사육사(대공원 부문)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66 <표 4-68> 조림․영림 및 벌목원 직무정의 369 <표 4-69> 조림․영림 및 벌목원(산림사업 설계․시공 부문)의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72 <표 4-70> 조림․영림 및 벌목원(임업기능인 부문)의 직급체계및 직무수준체계 373 <표 4-71> 가축사육 종사원의 직급체계 및 직무수준체계 380 <표 5-1> 농업 관련 분야의 직무수준체계(안) 389 <표 5-2> 농업생산분야의 직무수준체계(안) 390 <표 5-3> 농산업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자격체계 개발을위한 역할 분담(안) 400 [그림 1-1] 연구절차 개요도 20 [그림 2-1] 농업인력 육성정책 변천도 51 [그림 2-2] 농업계고의 졸업자 대비 (전체)취업자, 농림업 취업자,진학자 비율 70 [그림 2-3] 농업계고 인력 육성정책경로 71 [그림 3-1] 대학 진학 시 학생들이 희망하는 계열 90 [그림 3-2] 실질임금과 기대임금 간의 상관관계 112 [그림 3-3] 농어업 경쟁력 제고를 이끌 신규 전문 농업경영인육성을 위한 영역별 주요 과제 133 [그림 3-4] 농업계 특성화고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 136 [그림 3-5] 농업계 특성화고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한 노력 137 [그림 3-6] 2020년경 가장 강조되어야 할 교육역량 138 [그림 3-7]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신규 전문농어업경영인육성 방안 139 [그림 3-8] 효과가 미미할 것으로 보이는 신규 전문농어업경영인육성 방안 140 [그림 3-9] 신규 전문농어업경영인 육성 방안에 대한 문제점 및 한계 141 [그림 3-10] 농업계 특성화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내용 체계화방안 142 [그림 3-11] 농업계 특성화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의내실화 방안 143 [그림 3-12] 농업계 특성화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강화 방안 144 [그림 4-1] 농업생산액 변화 추이 148 [그림 4-2] 농업 부문 부가가치 추이(실질) 149 [그림 4-3] 식료품 제조업 부가가치 변화 추이 150 [그림 4-4] 음식료품 제조업 종사자 1인당 부가가치액의 변화 152 [그림 4-5] 농식품 부문 전후방 관련 산업과 서비스 부문 구분 153 [그림 4-6] 농산업체의 근로자 유형별 고용비중 추이 163 [그림 4-7] 농림․어업분야의 사업체 및 종사자 수 변화 추이 164 [그림 4-8] 식료품 제조업분야의 사업체 및 종사자 수 변화 추이 166 [그림 4-9] 식품산업의 고용비중 추이 168 [그림 4-10] 농림업분야의 취업자 수 전망 170 [그림 4-11] 농업분야의 취업자 수 전망 171 [그림 4-12] 식료품 제조업분야의 취업자 수 전망 173 [그림 4-13] 호주 농산업분야의 경력이행경로 198 [그림 4-14] 농림․수산 관련 산업의 구분 214 [그림 4-15] 농산업분야 직업분류체계의 범위 215 [그림 4-16] 농산업분야 전․후방 관련 직종 구분 225 [그림 4-17]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건설 관리) 직무모형 247 [그림 4-18]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건설관리 부문) 경력이행경로 249 [그림 4-19] 건설 및 광업 관리자(건축 부문) 직무모형 251 [그림 4-20] 건설 및 광업 관련 관리자(건축 부문) 경력이행경로 253 [그림 4-21] 생명과학 시험원 직무모형 256 [그림 4-22] 생명과학 시험원 경력이행경로 258 [그림 4-23] 상품중개인 및 경매사 직무모형 261 [그림 4-24] 상품중개인 및 경매사 경력이행경로 263 [그림 4-25] 건설 및 채굴 기계 운전원 직무모형 266 [그림 4-26] 건설 및 채굴 기계 운전원 경력이행경로 268 [그림 4-27] 농업용 기계 정비원의 직무모형 271 [그림 4-28] 농업용 기계 정비원 경력이행경로 273 [그림 4-29] 용접원 직무모형 276 [그림 4-30] 용접원의 경력이행경로 278 [그림 4-31] 제빵원 및 제과원의 직무모형 281 [그림 4-32] 제빵원 및 제과원의 경력이행경로 283 [그림 4-33] 떡 제조원의 직무모형 285 [그림 4-34] 떡 제조원의 경력이행경로 287 [그림 4-35]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농․수․축산물 부문)직무모형 290 [그림 4-36]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농․수․축산물 부문)경력이행경로 292 [그림 4-37]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가공식품 부문) 직무모형 294 [그림 4-38] 식품가공 검사원 및 등급원(가공식품 부문) 경력이행경로 296 [그림 4-39] 육류․낙농품 가공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299 [그림 4-40] 어패류 가공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300 [그림 4-41] 육류․낙농품 가공기계 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03 [그림 4-42] 어패류 가공기계 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04 [그림 4-43] 제분 및 도정 관련 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307 [그림 4-44] 제분 및 도정 관련 기계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09 [그림 4-45] 곡물가공제품 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312 [그림 4-46] 곡물가공제품 기계 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14 [그림 4-47] 과실 및 채소 관련 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317 [그림 4-48] 과실 및 채소 관련 기계 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19 [그림 4-49] 기타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 직무모형 322 [그림 4-50] 기타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원 경력이행경로 324 [그림 4-51] 곡식작물 재배원 직무모형 326 [그림 4-52] 곡식작물 재배원 경력이행경로 328 [그림 4-53] 채소작물 재배원 직무모형 331 [그림 4-54] 채소작물 재배원 경력이행경로 334 [그림 4-55] 특용작물 재배원(약용작물 부문) 직무모형 337 [그림 4-56] 특용작물 재배원(버섯재배 부문) 직무모형 338 [그림 4-57] 특용작물 재배원(약용작물 부문) 경력이행경로 341 [그림 4-58] 특용작물 재배원(버섯재배 부문) 경력이행경로 342 [그림 4-59] 과수작물 재배원 직무모형 345 [그림 4-60] 과수작물 재배원 경력이행경로 348 [그림 4-61] 원예(화훼)작물 재배원 직무모형 351 [그림 4-62] 원예(화훼)작물 재배원 경력이행경로 353 [그림 4-63] 조경원(조경식재원 부문) 직무모형 356 [그림 4-64] 조경원(식물관리원 부문) 직무모형 357 [그림 4-65] 조경원(조경식재원 및 식물관리원) 경력이행경로 359 [그림 4-66] 동물사육사(일반 사기업 부문) 직무모형 362 [그림 4-67] 동물사육사(대공원 부문) 직무모형 363 [그림 4-68] 동물사육사 경력이행경로 367 [그림 4-69] 조림․영림 및 벌목원(산림사업 설계․시공 부문)직무모형 370 [그림 4-70] 조림․영림 및 벌목원(임업기능인 부문) 직무모형 371 [그림 4-71] 조림․영림 및 벌목원(산림사업 설계․시공 부문)경력이행경로 374 [그림 4-72] 조림․영림 및 벌목원(임업기능인 부문) 경력이행경로 375 [그림 4-73] 가축사육 종사원 직무모형 378 [그림 4-74] 가축사육 종사원 경력이행경로 381 [그림 5-1]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강화 저해 요인 386 [그림 5-2] 농업계 특성화고의 취․창업 제고방향과 과제 387 [그림 5-3] 농산업 교육체계의 자격화 방안(안) 392 [그림 5-4] 국제기준과 산업체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및운영체계 393 [그림 5-5] 교과부 글로벌 현장학습 지원사업의 참여절차(안) 394 [그림 5-6] 농업계 특성화고의 해외취업 연수과정 참여절차(안) 395 [그림 5-7] 농업계 특성화고의 기초학력 향상 추진체계 398 [그림 5-8]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개발및 운영 399 [그림 5-9] 농림수산식품부 연계형 특성화고 지원 및 성과 관리 40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창업률 제고를 위한 직종 및 직무 연구 | 2012.01.01~201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