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초·중등단계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과 진로교육 과제

Roles and Career Education Tasks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저자
정윤경 서유정 김나라 조희경
분류정보
기본연구(2012-2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2012.10.31
등록일
2013.01.24
요 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3절 용어의 정의	15
제2장 진로진학상담교사에 관한 선행연구 및 자료 분석_17
제1절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선발, 양성 및 배치 현황	19
제2절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및 직무	37
제3절 진로진학상담에 대한 설문조사 개요	47
제4절 소결	77
제3장 진로진학상담 교육여건 분석_81
제1절 지역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정책 분석	83
제2절 학교의 조직 문화 및 물리적 여건 분석	85
제3절 학교급간 역할 연계 및 차별화 여건 분석	94
제4절 소결	97
제4장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인식 및 요구 분석_99
제1절 진로교사의 역할과 활동 현황	101
제2절 진로교사에 대한 인식 및 기대 수준	116
제3절 교육주체의 협조 및 지원	123
제4절 진로교사 역할 및 직무수행에 대한 기대	137
제5절 진로교사에 대한 평가 및 만족도	158
제6절 학교급별 진로교사 증원 요구, 애로사항 및 개선사항	163
제7절 초등학교 진로교육 현황 및 진로교사 도입 인식	185
제8절 소결	198
제5장 국내외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 사례 분석_209
제1절 국내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 사례	211
제2절 국외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 및 직무 사례	229
제3절 소결	255
제6장 초・중등단계별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및 전문성 개발_257 
제1절 학교급별 진로교사의 핵심 역할	259
제2절 학교급별 진로교사의 세부 직무 기준	265
제3절 학교급별 진로교사의 직무 지원 전략	278
제4절 진로교사의 양성 및 전문성(재교육) 개발 전략	280
제7장 정책 제언_289
제1절 진로진학상담교사 제도 SWOT 분석	291
제2절 진로교사 역할 강화 및 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	296
제3절 진로교육 정책별 시행 주체	311
SUMMARY_315
참고문헌_325
부  록_331
1. 설문조사지	333
2. 면담조사지	373
3. 설문문항 기타 내용 표	393
4. 진로교사(무경험자) 표	400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과 학교특성을 고려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과 교육여건의 관점에서 본 진로교육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별 진로교사의 핵심 역할과 직무를 마련한다.
  둘째, 학교특성을 고려한 진로교사의 직무 지원 전략을 마련한다.
  셋째, 진로교사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전문성 함양 방안을 마련한다.
  넷째, 진로교사 역할과 관련된 교육여건 조성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A introduction for system of teacher of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TCGC) has faced a new phase of career education in Korea.  Korea government has placed total 3011 TCGCs; 1491 in 2011, 1520 in 2012 according to government policy plan until Sept. 2012. A TCGC will be placed to every secondary school in 201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presented the roles and duties of  TCGC.  However, an empirical research on roles and duties of TCGC in real field of school and a discussion and consensus of education subjects (TCGC, principal, vice principal, other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bout a linkage role between school levels were insufficient.  
  Hence this study is proposed to the roles of TCGC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school and the school level and is presented to the policy challenges of career educ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and roles of TCGC. ...
<표 1-1> 설문 대상 표집 및 회수율	10
<표 1-2> 교사 면담조사 대상고교 현황	12
<표 2-1> 진로진학상담교사 신청 자격 요건	20
<표 2-2>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 기준	21
<표 2-3>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자격연수 실시 현황(1기, 2기)	23
<표 2-4>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교육과정(1기)	25
<표 2-5>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자격연수 교육과정(2기)	26
<표 2-6> 진로진학상담교사 부전공 연수(2기) 과목별 이수방법	27
<표 2-7> 동계 민간기관 합숙연수 세부과정 2기(2012)	30
<표 2-8> 하계 민간기관 합숙연수 세부과정 2기(2012)	32
<표 2-9> 입학사정관제 시행 대학 현황	34
<표 2-10>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연차별 적용 학년	34
<표 2-11> 교육과학기술부의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계획(중등, ’11~14)	36
<표 2-12> 진로진학상담교사 시도별 배치 현황(2012.04.)	36
<표 2-13>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및 직무내용(영역)별 직무활동	42
<표 2-14>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43
<표 2-15> 학교급별 배치에 따른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주요 역할 비중 비교	46
<표 2-16>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응답자 특성(1)	48
<표 2-16>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응답자 특성(2)	49
<표 2-17> 중등학교 교장 응답자 특성(1)	51
<표 2-17> 중등학교 교장 응답자 특성(2)	53
<표 2-18> 중등학교 교감 응답자 특성(1)	54
<표 2-18> 중등학교 교감 응답자 특성(2)	55
<표 2-19> 중등학교 타교과교사 응답자 특성(1)	57
<표 2-19> 중등학교 타교과교사 응답자 특성(2)	58
<표 2-20> 중등학교 학부모 응답자 특성(1)	60
<표 2-20> 중등학교 학부모 응답자 특성(2)	61
<표 2-21> 중등학교 학생 응답자 특성	62
<표 2-22>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 응답자 특성(1)	63
<표 2-22>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 응답자 특성(2)	64
<표 2-23> 초등학교 6학년 학부모 응답자 특성	65
<표 2-24> 진로진학상담교사(유경험자, 무경험자) 대상 설문 구성(1)	68
<표 2-24> 진로진학상담교사(유경험자, 무경험자) 대상 설문 구성(2)	69
<표 2-24> 진로진학상담교사(유경험자, 무경험자) 대상 설문 구성(3)	70
<표 2-25> 중등학교 교장, 교감 및 타교과교사 대상 설문 구성(1)	71
<표 2-25> 중등학교 교장, 교감 및 타교과교사 대상 설문 구성(2)	72
<표 2-26> 중등학교 학부모 설문 구성	73
<표 2-27> 중등학교 학생 설문 구성	74
<표 2-28>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 설문 구성	75
<표 2-29> 초등학교 6학년 학부모 설문 구성	76
<표 3-1>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지원에 대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만족도	84
<표 3-2> 시도교육청의 정책지원에 대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만족도	84
<표 3-3> 학교소재지역에 따른 시도교육청의 정책지원에 대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만족도	85
<표 3-4>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진로교사에 대한 학교 조직문화 우호도	86
<표 3-5> 진로교육전용교실(커리어존) 설치 여부	86
<표 3-6> 진로교육전용교실(커리어존) 미설치 이유	87
<표 3-7>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관련 책자 및 기자재의 충분도	88
<표 3-8> 진로교육 연간계획 수립 및 운영 여부	88
<표 3-9> ‘진로와 직업’ 선택과목 채택 여부	88
<표 3-10> 진로진학상담 외 업무 부과 실태	90
<표 3-11> 진로진학상담 예산 책정 여부	90
<표 3-12> 진로진학상담 예산 구체 사항	91
<표 3-13> 교장의 내년도 진로진학상담 예산 계획	91
<표 3-14>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진로진학상담 예산의 충분도	92
<표 3-15>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학교 주변 진로진학상담 관련 시설의 구비 정도	92
<표 3-16>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학부모 자원의 구비 정도	93
<표 3-17>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학교 조직 문화 및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94
<표 3-18>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학교급간 직무 연계 필요성	95
<표 3-19>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 연계에 대한 요구	96
<표 4-1>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이전 담당 과목	101
<표 4-2>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이전 수행 경험 보직	103
<표 4-3>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이후 업무 수행 시기	104
<표 4-4> 진로진학상담교사 보직 여부	105
<표 4-5>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유경험자)가 인식한 직무별 중요도	107
<표 4-6>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수행율 및 수행 정도	111
<표 4-7>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직무별 어려움	113
<표 4-8>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직무 수행시의 적극성	114
<표 4-9> 진로진학상담교사 전문성 함양 활동 수행 현황	115
<표 4-10>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함양 활동의 유익성	115
<표 4-11> 학부모 및 학생의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인지 여부	116
<표 4-12> 학부모 및 학생의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및 직무 인지 정도	117
<표 4-13> 학부모가 인식한 진로진학상담의 중요성	118
<표 4-14> 교장, 교감, 타교과교사, 학부모 및 학생이 인식한 진로진학상담 전담 교사의 필요성	119
<표 4-15> 교육주체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	122
<표 4-16>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교장의 협조 및 지원	124
<표 4-17>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교감의 협조 및 지원	125
<표 4-18>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타부장교사의 협조 및 지원	126
<표 4-19>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타일반교사의 협조 및 지원	128
<표 4-20> 타교과교사 교과통합 진로교육 수행 여부	129
<표 4-21> 타교과교사 교과통합 진로교육 수행 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협조 및 도움 여부	129
<표 4-22>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하지 않는 이유(주관식)	130
<표 4-23> 자녀 진로교육에 도움을 받는 출처	131
<표 4-24>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도움 수혜 경험 여부	132
<표 4-25> 수혜한 진로진학상담교사의 도움 종류	132
<표 4-26>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학부모 참여 의향과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학부모의 협조 및 지원 정도	133
<표 4-27> 학생의 진로고민 정도	134
<표 4-28> 학생의 진로고민 종류	134
<표 4-29> 학생의 진로고민에 도움을 받는 출처	135
<표 4-30> 학생의 진로진학상담 활동에의 참여 의향	136
<표 4-31>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인식한 학생의 진로진학상담 활동 참여도	137
<표 4-32>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	139
<표 4-33>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일반계고)	141
<표 4-34>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특목고)	144
<표 4-35>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자율고)	146
<표 4-36>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종합고)	148
<표 4-37>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특성화고)	150
<표 4-38>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마이스터고)	153
<표 4-39>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학교유형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중학교)	156
<표 4-40> 교장, 교감, 타교과교사, 학부모 및 학생이 인식한 진로진학상담 전담 교사의 도움 정도	157
<표 4-41> 진로진학상담교사 적성 및 역량에 대한 인식	159
<표 4-42> 진로교사의 자격 취득 및 배치 후 활동 전반에 대한 만족도	160
<표 4-43> 교장, 교감 및 타교과교사의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에 대한 만족도	161
<표 4-44> 학부모의 진로진학상담교사 도움에 대한 만족도	161
<표 4-45> 학생의 진로진학상담 활동 수행 경험 및 만족도	162
<표 4-46> 주체별 현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규모에 대한 인식	163
<표 4-47> 진로진학상담교사 1명당 적정 학생수	164
<표 4-48> 주체별 교과부 2012년 진로교육 주요정책 중 중점 요소에 대한 인식	166
<표 4-49>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교과부 2012년 진로교육 주요 세부정책 중 중점 요소에 대한 인식	168
<표 4-50>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정책지원 개선요구(주관식)	169
<표 4-51> 진로진학상담교사의 활동을 위해 필요한 학교의 지원(주관식)	171
<표 4-52>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대한 요구 및 개선사항(주관식)	173
<표 4-53>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수행 시 애로사항(주관식)	176
<표 4-54>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 협조 및 지원에의 애로사항(주관식)	177
<표 4-55> 진로진학상담교사가 생각하는 진로교육 선진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주관식)	179
<표 4-56>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제도에 대한 교장의 요구사항(주관식)	181
<표 4-57>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제도에 대한 교감의 요구사항(주관식)	183
<표 4-58>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제도에 대한 타교과교사의 요구사항(주관식)	184
<표 4-59>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진로교육 유형	186
<표 4-60>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의 현 초등학교 진로교육 유익성에 대한 인식	187
<표 4-61> 자녀 진로교육에 도움을 받는 출처	188
<표 4-62>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189
<표 4-63> 초등 진로교육에서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할 진로교육 내용	190
<표 4-64> 학교급별 진로교육 연계를 위해 필요한 사항	190
<표 4-65>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의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인지 여부	191
<표 4-66>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의 중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대한 인지도	191
<표 4-67> 초등 진로진학상담 전담 교사 필요성에 대한 인식	192
<표 4-68>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의 초등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별 필요성에 대한 인식 평균	193
<표 4-69>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가 인식한 초등 진로진학상담교사 적정 배치 시수 및 규모	193
<표 4-70> 초등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 시 필요 정책지원	194
<표 4-71> 초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필요성	194
<표 4-72> 초등 진로진학상담교사 활동의 유익성에 대한 인식	195
<표 4-73> 초등학교 6학년 부장교사의 교과부 2012년 진로교육 주요정책 중 중점 요소에 대한 인식	196
<표 4-74> 초등 진로교육에 바라는 점(6학년 부장교사)	196
<표 4-75> 초등 진로교육에 바라는 점(6학년 학부모)	197
<표 5-1> 진로지도교사(Guidance Counsellor)의 역할	230
<표 5-2> 진로 코디네이터의 경력	232
<표 5-3> 전달 구성요소	241
<표 5-4> 학교상담프로그램의 제공을 위한 사용시간 비교	246
<표 5-5> 학교상담교사의 재교육(원격교육)	249
<표 6-1> 교육주체 타 구성원이 인식한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우선순위	272
<표 6-2> 중학교 진로교사의 세부 직무 기준(안)	275
<표 6-3> 일반계고 진로교사의 세부 직무 기준(안)	276
<표 6-4> 특성화고 진로교사의 세부 직무 기준(안)	277
<표 6-5>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수행 여건의 문제점	278
<표 6-6>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수행 여건 조성을 위한 정책 추진 방향	279
<표 6-7> 진로진학상담교사 지원 자격	280
<표 6-8> 진로진학상담교사 선발 기준(안)	282
<표 6-9> 학교급별 진로진학상담교사 전문성(재교육) 대상 직무	287
<표 6-10> 진로진학상담교사 전문성(재교육) 요구사항	288
<표 7-1> 현행 진로진학상담교사 제도에 대한 SWOT 분석	293
<표 7-2>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	302
<표 7-3> 초등진로교사의 역할 및 직무내용(영역)별 직무활동 제언	308
<표 7-4> 진로교육 정책별 시행 주체(이해당사자)	313
[그림 1-1] 연구 추진 전략 및 절차	14
[그림 2-1] 진로진학상담교사 역할 구명(안)	39
[그림 2-2] 진로진학상담교사로서의 경력단계별 주요 역할 수행(안)	40
[그림 2-3]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중심으로 한 교사간 역할 체계도	41
[그림 2-4]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영역별 직무	45
[그림 5-1] 영국 초중등학교의 진로교육 담당자	231
[그림 5-2] 학교급별 상담프로그램 평균 사용 시간	246
[그림 6-1] 진로교사 역할 강조(안)	260
[그림 6-2] 진로교사와 학교내외 구성원 간의 역할 체계 수정안	262
[그림 6-3] 진로교사와 지원인력 간의 역할 체계 수정안	264
[그림 6-4] 중학교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정도 교차 분석	266
[그림 6-5] 일반계고교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정도 교차 분석	268
[그림 6-6] 특성화고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정도 교차 분석	270
[그림 6-7] 학생의 진로진학상담 활동 관련 요구사항	273
[그림 6-8] 중학교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어려움 교차 분석	284
[그림 6-9] 일반계고교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어려움 교차 분석	285
[그림 6-10] 특성화고 진로교사의 직무 중요도와 어려움 교차 분석	286
[그림 7-1] 진로진학상담교사 배치교 교장연수의 현재 교육과정 및 향후 교육과정	300
[그림 7-2] 진학/취업 업무를 위한 교사들의 역할 연계	304
[그림 7-3] 학교 진로교육 지원 인력 양성 체계 수립을 위한 절차	30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초·중등단계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과 진로교육 과제 2012.01.01~2012.10.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