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의 학력과잉과 스킬불일치 측정 방법 연구
A Study on Measurement Methods for Qualification and Skill Mismatch of Youth
- 저자
- 임언 서유정 이지은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1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0.31
- 등록일
- 2013.01.24
요 약 제1장 서론_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주요 개념과 연구의 범위 7 제3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학력 및 스킬 불일치 측정 방법 유형 및 사례_23 제1절 학력불일치 측정 방법 25 제2절 스킬불일치 측정 방법 34 제3절 본 연구에의 시사점 38 제3장 학력 및 스킬 불일치 측정도구 개발의 방향과 절차_43 제1절 측정도구 개발의 기본 방향 45 제2절 타당성 검토를 위한 모델 50 제3절 문항 개발의 절차 58 제4절 본조사 문항 구성 66 제4장 학력 및 스킬 불일치 측정 문항 분석_69 제1절 학력 및 스킬 불일치 문항 개요 71 제2절 학력불일치 문항 간 일치도 분석 78 제3절 스킬불일치 문항 간 일치도 분석 85 제4절 최종 문항 선정 90 제5장 학력 및 스킬 불일치 현황과 측정 방법 타당도 분석_93 제1절 학력 및 스킬 불일치 집단별 차이 95 제2절 불일치에 따른 임금 및 만족도 차이 98 제3절 학력불일치 및 스킬불일치 관련 요인 104 제4절 불일치의 질적 차이 분석 109 제5절 측정 방법 타당도 비교 117 제6장 결론_121 제1절 불일치 측정 방법에 관한 결론 및 제안 124 제2절 학력과 스킬 불일치 현황 요약 및 논점 127 제3절 제안 및 시사점 130 SUMMARY_133 참고문헌_147 부 록_159 1. 학력 및 스킬 불일치의 개념, 현황 및 원인과 결과 161 2. 조사 설문지 190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불일치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데 있다. 학력과잉과 스킬불일치 논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른 한계를 명료히 하고, 가능하다면 신뢰도와 타당도 면에서 개선된 측정 방법을 찾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즉, 학력과잉과 스킬불일치 측정의 문제점을 명료히 하고, 대안 또는 최선안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Despite growing concerns over social and individual costs deriving from qualification and skills mismatch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 that measures such mismatches has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ypical domestic panel surveys and existing researches often diagnose mismatches based on only one question, it is basically impossible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for mismatches. This research focuses on clarifying the limitation of the measurement method and identifying an improved method of measurement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ther words, the objective of the study lies in clarifying the problem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qualification and skill mismatches, and exploring an alternative solution. ...
<표 1-1> FGI 참가자의 특성 18 <표 1-2> 조사 모집단 19 <표 1-3> 주요 요인별 응답자 분포 20 <표 1-4> 최종 설문 구조 및 내용 21 <표 2-1> 국내조사에서의 주관적 학력불일치 측정 문항 및 결과 29 <표 2-2> 학력불일치 측정도구 유형별 장단점 비교 33 <표 2-3> 국내조사별 스킬불일치 측정 문항 및 결과 35 <표 2-4> 학력불일치 주관적 측정방법의 질문 문항 39 <표 2-5> 스킬불일치 주관적 측정방법의 질문 문항 41 <표 3-1> FGI의 주요 질문 64 <표 3-2> 본조사 설문 구조 및 문항 67 <표 4-1> 학력불일치 및 스킬불일치 설문문항 73 <표 4-2> 스킬불일치 문항별 순서에 따른 카이제곱 검정 77 <표 4-3> 학력불일치 측정 문항별 학력불일치 비율 78 <표 4-4> 학력불일치 문항별 필요학력과 적정학력 문항과의 응답 일치율 80 <표 4-5> 학력불일치 측정문항 신뢰도 분석 결과 81 <표 4-6> 학력불일치 측정문항 간 일치 빈도 82 <표 4-7> 문항별 총 응답일치수와 응답일치비율 83 <표 4-8> 스킬불일치 측정 문항별 스킬불일치 비율 85 <표 4-9> 스킬불일치 측정 문항의 항목 총계 통계량 86 <표 4-10> 스킬불일치 측정문항 간 응답일치 수 87 <표 4-11> 문항별 총 응답일치 수와 응답일치 비율 88 <표 4-12> 학력불일치 합산문항과 기존문항의 불일치 비율 91 <표 4-13> 스킬불일치 합산문항과 기존문항에 따른 불일치 비율 92 <표 5-1> 학력불일치와 응답자 특성 96 <표 5-2> 스킬불일치와 응답자 특성 97 <표 5-3> 직장 생활 관련 변인 98 <표 5-4> 학력불일치 유형별 직장생활 관련 특성 차이 101 <표 5-5> 스킬불일치 유형별 직장생활 관련 특성 102 <표 5-6> 학력불일치 프로빗 결과 106 <표 5-7> 스킬불일치 프로빗 결과 108 <표 5-8> 학력과 스킬의 교차에 따른 응답자 비율 110 <표 5-9> 학력・스킬 교차 유형의 성별, 학교특성별 차이 111 <표 5-10> 학력・스킬 교차 유형의 직장 특성별 차이 111 <표 5-11> 학력・스킬 교차모델과 직장생활 관련 특성 차이 112 <표 5-12> 필요학력과 적정학력의 교차분석 113 <표 5-13> 필요학력・적정학력 관계 유형별 차이 114 <표 5-14> 필요학력・적정학력 관계 유형별 직장생활 특성 차이 115 <표 5-15> 스킬합산문항에서 특수스킬과 일반스킬의 불일치 판정 교차 비율 116 <표 5-16> 합산문항의 회귀분석 결과(종속변인: 직무만족도) 118 <표 5-17> 기존문항의 회귀분석 결과(종속변인: 직무만족도) 119 <표 5-18> 합산문항과 기존문항의 설명력 비교 120 <표 6-1> 학력불일치 측정을 위한 최종 선정 문항 124 <표 6-2> 스킬불일치 측정을 위한 최종 선정 문항 125 <부록 표 1> 스킬의 하위 요인 분류 방식 168 <부록 표 2> 학력별 졸업생 전망 176 [그림 1-1] 불일치와 관련된 주체 13 [그림 1-2] 연구 단계의 도식화 17 [그림 3-1] 불일치 측정의 두 개의 기준 48 [그림 3-2]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한 실제 문항 예시 50 [그림 3-3] 학력 및 스킬 불일치와 임금 52 [그림 3-4] 불일치와 직무만족도 53 [그림 3-5] 불일치와 직업탐색 54 [그림 4-1] 학력불일치 측정 문항의 ‘학력과잉’응답 예 75 [그림 4-2] 업무기준문항과 학력(스킬)기준문항의 응답패턴 76 [그림 4-3] 측정문항별 학력과잉/일치/부족의 적정학력문항과의 중복률 83 [그림 4-4] 측정문항별 학력과잉/일치/부족의 스킬기준문항과의 중복률 89 [그림 5-1] 학력불일치 유형별 직장생활 관련 특성 차이 101 [그림 5-2] 스킬불일치 유형별 직장생활 관련 특성 차이 103 [부록 그림 1] 스킬의 분류 체계 162 [부록 그림 2] 청년층(15~29세) 취업자의 첫 직장 근속기간 174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청년층의 학력과잉과 스킬 불일치 측정 방법 연구 | 2012.01.01~2012.10.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