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능력개발의 비전과 과제
Vision and Policy Tasks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저자
- 박천수 김선태 이지연 이동임 황규희 오계택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34)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2.31
- 등록일
- 2013.01.29
요 약 Ⅰ. 들어가면서_1 제1장 서 론_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연구방법 7 제3절 연구내용 9 제4절 기대효과 10 제2장 노동시장 현황 및 환경 변화 전망_11 제1절 직업, 능력개발, 직업능력개발 13 제2절 노동시장과 직업능력개발 14 제3절 대내외 환경 변화 전망 34 Ⅱ. 주요 영역별 직업능력개발의 현황과 과제_45 제3장 직업훈련과 직업능력개발사업_47 제1절 직업능력개발 훈련 및 사업의 개념과 체계 49 제2절 직업능력개발사업의 현황과 문제점 57 제3절 직업능력개발사업의 개선 과제 68 제4장 직업교육: 마이스터고․특성화고와 전문대학을 중심으로_77 제1절 우리나라 직업교육체제의 성과 및 대응력 분석: 개관 79 제2절 마이스터고・특성화고의 직업교육 현황과 과제 86 제3절 전문대학의 정책 추진 현황과 과제 95 제4절 정책 제언 100 제5장 진로교육_115 제1절 진로교육의 필요성 117 제2절 진로교육의 현황 122 제3절 OECD 진로교육의 정책 이슈 141 제4절 진로교육의 비전과 정책 과제 144 제6장 자격제도_159 제1절 자격의 개념 및 특징 161 제2절 자격제도의 현황 165 제3절 자격제도의 이슈 및 논의 과제 173 Ⅲ. 직업능력개발의 주요 현안과 과제_199 제7장 미래인적자원과 고등교육_201 제1절 문제 제기 203 제2절 미래인적자원 205 제3절 고등교육 개선과 사회적 합의 211 제4절 기술변화와 이공계 고등교육 217 제5절 정책 제언 231 제8장 국제협력과 직업능력개발_237 제1절 국제협력의 필요성 239 제2절 한국형 ODA와 직업교육훈련의 비교우위 242 제3절 직업교육훈련 분야 ODA와 직능원의 역할 255 제9장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활성화 방안_271 제1절 직업교육과 직업훈련, 그리고 연계 273 제2절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필요성과 배경 280 제3절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실태 291 제4절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제안 307 제10장 자격의 활용성 제고 방안_319 제1절 서론 321 제2절 현황: 자격의 활용성(효용성) 평가 결과 326 제3절 자격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와 추진 과제 332 제4절 결론 351 제11장 선취업 후진학 체계 정착 방안_359 제1절 문제 제기 361 제2절 선취업 후진학의 개념 364 제3절 선취업 후진학 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369 제4절 기존 선취업 후진학 정책의 성과와 한계: 재직자 특별전형을 중심으로 383 제5절 선취업 후진학 체계의 정착 방안 391 제12장 비정규직 직업능력개발의 현황과 과제_401 제1절 문제 제기 403 제2절 비정규직의 개념과 실태 405 제3절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접근 시각과 직업능력개발의 중요성 426 제4절 비정규직 직업능력개발의 실태 430 제5절 비정규직 직업능력개발정책의 방향과 과제 441 제13장 노사참여적 직업능력개발_447 제1절 노사관계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 449 제2절 노사참여적 직업능력개발의 의의 451 제3절 노사참여적 인적자원개발의 해외사례 456 제4절 한국의 노사참여적 직업능력개발 현황 및 문제 463 제5절 노사참여적 직업능력개발의 발전 방향 468 제14장 산업수요에 기반한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_473 제1절 서론 475 제2절 직업능력개발시장의 수요와 공급 477 제3절 직업능력개발 현황과 산업수요 486 제4절 훈련수급 조정기제 493 제5절 정책 방향 499 Ⅳ. 대내외 환경 변화와 직업능력개발_509 제15장 고령화 시대의 직업능력개발_511 제1절 인구 고령화 추세와 영향 513 제2절 고령자 고용 현황과 전망 515 제3절 고령자 직업능력개발 난점 524 제4절 고령자 직업능력개발 강화 방안 536 제16장 개방화 시대의 직업능력개발_553 제1절 개방화의 주요 트렌드와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기대 556 제2절 개방화 시대 직업능력개발의 발전 방향 576 제17장 남북한 교류 및 통일시대의 인적자원개발_589 제1절 문제 제기 591 제2절 남북한 교류 및 북한의 실태 593 제3절 인적자원개발 추진 실적과 과제 606 제4절 통일 대비 인적자원개발정책 방향과 과제 613 제5절 결론 및 제언 628 Ⅴ. 직업능력개발 인프라_635 제18장 직업능력개발 통계의 현황과 과제_637 제1절 직업능력개발 통계의 필요성 639 제2절 필요한 정보 640 제3절 직업능력개발 관련 통계의 현황 643 제4절 직업능력개발 통계 개선 방안 663 제19장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비전과 과제_673 제1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 15년 성과 675 제2절 분야별 특성과 향후 과제 691 제3절 비전과 과제, 추진 방법 698 Ⅵ. 맺으면서_723 제20장 직업능력개발의 비전과 과제_725 제1절 직업능력개발의 비전과 전략 729 제2절 전략별 추진 과제 733 Summary_757
본 연구는 직업능력개발의 여러 분야에 걸쳐 현 상황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향후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비전을 본 연구를 통하여 명확하게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설정된 비전에 도달하기 위하여 단기적이고 긴급하게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탐색하고, 이와 동시에 이 시점에서 개시되어야 할 장기적이고 단계적인 구조개혁 등 국가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장단기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과제는 향후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직업능력개발 연구과제의 선정과 이슈 제기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명확히 하고 구성원의 의지를 집결하는데 기제로 이용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와 고용노동부를 비롯한 관련 부처에 제시하여 정책설정과 추진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아울러 18대 대통령 취임으로 등장하는 새로운 정부에서 추진해야 할 직업능력개발 의제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As of 2012, the global economy has been witnessing the continuous expanding uncertainty due to deteriorating financial crisis of Greece and Spain, worsening volatility of raw material price, and inflation potential of emerging nations. With unsafe responses to anxiety of the Euro zone caused by financial crisis of some European nations, the possibility of reoccurrence of global financial crisis has raised and concerns over hard landing of the Chinese economic growth have been mounting. In such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circumstances, interests have increased on job creation and relevant vocational capability development as a measure to ease anxiety in the labor market and polarization of the aggregate demand and to stabilize the job market. It means that this era demands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system for learning, employment and welfare based on learning and capacity development rather than compassionate welfare by strengthening the vocational capacity development as a measure for social integration to realize proactive welfare. Along with such demands, the detailed status and issues by each area of career, vocational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certificates are diagnosed in relation with vocational capacity development and based on the diagnosis; it is required to clearly restate the vision desired by Korea. The systematic strategies and concrete policy tasks are reviewed to achieve the vision. ...
<표 2-1> 노동시장의 특성 비교 17 <표 2-2> 근로자의 직업별 조직몰입도 및 직업몰입도 비교 19 <표 2-3> 자기선택에 의해 참여한 재직자의 훈련종류별 훈련목적 20 <표 2-4> 실업자훈련 참가자의 연령별 훈련목적 20 <표 2-5> 훈련결정 주체에 따른 전반적인 훈련만족도 비교 20 <표 2-6> 훈련결정 주체별 이수한 훈련을 타인에게 권유할 의향 21 <표 2-7> 훈련종류별 훈련 불이수에 따른 불이익 여부 21 <표 2-8> 기업 규모별 훈련 불이수에 따른 불이익 여부 22 <표 2-9>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추계 방법 25 <표 2-10> 기업 규모별 신입사원 교육 실시 비율․기간․비용 26 <표 3-1>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 실적 및 예산 53 <표 3-2> 근로자수강지원금 및 근로자능력개발카드제 훈련 실적(2010년) 63 <표 3-3> 연도별 실업자훈련 실시 현황 65 <표 3-4> 연도별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실시 현황 67 <표 3-5> 주요 직업능력개발사업의 추진 체계 72 <표 4-1> 우리나라 평생직업교육체제 SWOT 분석 85 <표 4-2> 특성화고 취업률 현황 87 <표 4-3> 1・2차 마이스터고 현황(2010년 3월 개교) 91 <표 4-4> 3・4차 마이스터고 현황(2012년 3월 개교) 92 <표 4-5> 5・6차 마이스터고 현황(2013년 3월 개교 예정) 92 <표 4-6> 취업률(2004∼2009년) 96 <표 5-1>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직무 126 <표 5-2> 진로교사 자격연수 교육 안 127 <표 5-3>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와 성취기준 131 <표 5-4> 진로교육 관련 법률 135 <표 5-5> 「진로교육진흥법」의 주요 법안 내용 136 <표 5-6> 2005년 학교 진로교육 혁신 방안과 2012년 현주소 138 <표 5-7> 진로교육의 비전, 현황, 그리고 향후 정책 과제 151 <표 6-1> 자격과 면허의 비교 164 <표 6-2> 우리나라 자격의 구분 및 현황(2012년 7월 기준) 165 <표 6-3> 자격의 기능과 내용 구분 166 <표 6-4> 자격 구분에 따른 정의와 목적 167 <표 6-5> 개별법의 국가자격시험 개시 연도 169 <표 6-6> 개별법상의 국가자격 합격자 현황(예시) 170 <표 6-7> 소관부처별 국가공인 신청 민간자격 종목 수 172 <표 6-8> 개발부처 기준 표준 개발 현황(2010년 4월 기준) 175 <표 6-9> 연도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현황(시범적용) 177 <표 6-10> 자격정보 사이트 및 주체 181 <표 6-11> 1차년도 조사 설계 및 내용 183 <표 6-12> 유사 직무 분야 자격종목 현황 191 <표 6-13> 자격 간 직무영역의 중복 사례 193 <표 7-1> OECD 국가의 학생당 연평균 교육비 지출 211 <표 7-2> OECD 국가의 고등교육 GDP 비율 비교 212 <표 7-3> 미국 대학의 설립 유형에 따른 재원 확보 현황 216 <표 7-4> 특허분석을 이용한 이차전지 필요지식 분석 221 <표 7-5> 이차전지 활용과 교과목 보강 필요 정도 223 <표 7-6> 대학교육과정의 학점배분 225 <표 7-7>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인증기준(2012) 225 <표 7-8> 공학교육인증 현황 226 <표 7-9> 학과별 졸업학점에서 필수전공과목이 차지하는 비율 분포 227 <표 7-10> 대졸 3년차 소득자의 월평균 임금수준 229 <표 7-11> 이공계 내 세부 전공별 월평균 임금 수준 229 <표 7-12> 공학계 신규취업자(졸업 3년 후) 임금함수 추정 230 <표 8-1> ODA 부문별 실적 251 <표 8-2> 한국의 ODA 공여실적 252 <표 8-3>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TVET ODA 환경: SWOT 분석 257 <표 9-1>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개념에 대한 법적, 학자적 개념표 277 <표 9-2> 직업 교육․훈련 관련법 중 연계 관련 조항 및 주요 내용 278 <표 9-3> 중소제조업의 직종별 인력부족률(2008년) 283 <표 9-4> 학교 단계별 졸업 후 진로 현황(2011) 284 <표 9-5> 학력별 월평균 근로소득 286 <표 9-6> 참여 교육훈련기관과 향후 희망 교육훈련기관 289 <표 9-7> 직업훈련과 직업교육의 연계 활성화 방안의 참여기관 종합표(안) 292 <표 9-8> 직업훈련과 직업교육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과제 추진(안) 310 <표 9-9> 직업교육과 직업훈련 연계 활성화 정책 추진을 위한 검토 연구 과제(예) 312 <표 10-1> 자격의 효용성 종합 지수(효용성이 낮은 종목) 327 <표 10-2> 효용성이 낮은 자격의 시장수급 현황 329 <표 10-3> 효용성 정도별 자격수급 차이 비교 331 <표 10-4> 자격 하위 체제별 추진 과제 333 <표 10-5> 기업의 자격활용지수 생성을 위한 조사지 344 <표 10-6> 국가자격정보 서비스 표준화 모형 349 <표 11-1> 정규 및 비정규 교육기관에서의 후진학 제도 366 <표 11-2> 주요 후진학 제도의 개요 및 현황 369 <표 11-3> 사내대학의 학과 및 입학정원 371 <표 11-4> 계약학과 제도의 주요 내용 373 <표 11-5> 재직자 특별전형의 교육과정 운영 현황 377 <표 11-6> 사내대학, 계약학과, 재직자 특별전형의 비교 379 <표 11-7> 특성화고 교육과정과 후진학 개설학과의 비교 382 <표 12-1> 고용형태별 규모 추이 409 <표 12-2> 고용형태별․성별 구성(2011년 8월) 411 <표 12-3> 고용형태별 학력 구성(2011년 8월) 412 <표 12-4> 고용형태별 연령 구성(2011년 8월) 412 <표 12-5> 고용형태별 산업 분포(2011년 8월) 413 <표 12-6> 고용형태별 직업 분포(2011년 8월) 415 <표 12-7> 고용형태별 사업체 규모 분포(2011년 8월) 416 <표 12-8> 고용형태별 종사상 지위별 규모 및 비중(2011년 8월) 417 <표 12-9> 고용형태별 월평균 상대임금 추이(8월 기준, 정규직=100) 419 <표 12-10> 고용형태별 평균임금 격차 추이 420 <표 12-11>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 주당 평균 근로시간 추이 421 <표 12-12> 고용형태별 평균 근속기간 추이 422 <표 12-13> 고용형태별 사회보험 가입률 추이 423 <표 12-14> 근로형태별 퇴직금 수혜율 424 <표 12-15> EU 기준을 이용한 비자발적 취업자 비중 425 <표 12-16> 재직자 지원내용 431 <표 12-17> 재직자 내일배움카드제(개인훈련카드제)와 근로자 수강지원금제(근로자 직무능력향상지원금)와 비교 432 <표 12-18> 근로자학자금 대부 433 <표 12-19> 비정규직 근로자 관련 직업능력 예산 추이 435 <표 12-20> 비정규직 직업훈련 현황 436 <표 12-21> 고용형태별 직업훈련 경험 추이 437 <표 13-1> 「직업훈련기본법」과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비교 464 <표 13-2> 직업능력개발사업 재원 부담 465 <표 13-3> 연도별 노사공동훈련사업의 지원 현황 467 <표 14-1> 훈련생과 기업체의 수요 484 <표 14-2> 훈련 분야별 1인당 평균 훈련횟수 487 <표 14-3> 훈련의 수급 불일치 사례 488 <표 14-4> 훈련의 업무수행 도움 정도 490 <표 14-5> 정부가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실업자훈련) 491 <표 14-6> 정부가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재직자훈련) 492 <표 14-7> 강화된 훈련상담의 주요 내용 494 <표 14-8> 실업자계좌제 적합훈련과정 직종별 현황 497 <표 14-9> 훈련생과 기업체의 수요 499 <표 15-1> 부모가 자녀를 부양해야 할 시기 516 <표 15-2> 취약집단 근로자들에 대한 고용자의 고용 의향 524 <표 15-3> 직업훈련 교육 희망 여부 529 <표 15-4> 연령계층별 훈련 불참 이유 530 <표 15-5> 2010년 학력별 피보험자와 사업주훈련 현황 531 <표 15-6> 지원 대상별 훈련 지원의 연도별 추이 534 <표 15-7> 기업과 고령자 요구 537 <표 15-8> 일본의 고령자 직업능력개발 분류 542 <표 15-9> 고령친화성이 높은 직종의 훈련과정 사례 546 <표 16-1> 실질 GDP 증가율(2000~2011년) 558 <표 16-2> 지역으로 수출비중 변화, 아태지역으로의 수출비중이 증가 560 <표 16-3> ASEAN의 발전과정 561 <표 16-4> 학력별 저임금자의 비중 추이 565 <표 16-5> 취업자격 외국인 현황 569 <표 16-6> 주요국의 외국인력 정책 비교표 570 <표 16-7> 국제결혼 증감 추이 573 <표 17-1> 주요 남북한 비교 지표(2010년) 594 <표 17-2> 남북 인적 왕래 현황 595 <표 17-3> 대북지원 현황 597 <표 17-4> 교육 분야의 주요 지원 및 교류 협력 사업 598 <표 17-5> 개성공단 근로자 현황 599 <표 17-6> 개성공단 방문 현황 599 <표 17-7> 기술교육센터 자산보유 실태 599 <표 17-8> 공과별 자산보유 현황 600 <표 17-9> 북한의 인력양성기관 개요 604 <표 17-10> 남북한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정책 및 체제 비교 605 <표 18-1> 직업능력개발 관련 통계 현황 644 <표 18-2>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직능 관련 문항 645 <표 18-3> 임금근로자의 교육훈련 참여율 및 연간 교육훈련시간 645 <표 18-4> 고령층 부가조사의 직업능력개발 관련 문항 646 <표 18-5> 지역별 고용조사의 직업능력개발 관련 문항 648 <표 18-6>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표에서 일반인의 학습 649 <표 18-7> 가계동향조사의 직업능력개발 관련 지출항목 650 <표 18-8>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직능 관련 월평균 지출액 651 <표 18-9> 2인 이상 전국 가구 중 직능 관련 지출 가구의 월평균 지출액 651 <표 18-10> 기업 직업훈련실태조사의 조사항목(3차) 655 <표 18-11> 기업체노동비용조사의 조사항목 656 <표 18-12> 기업직업훈련실태조사(3차, 2011)의 교육훈련 수요 관련 문항 657 <표 18-13> 분야별 직업능력개발 통계 현황 총괄표 662 <표 18-14> 직업능력개발 통계의 개편(안) 669 <표 19-1> 1997~2012년 인적자원개발정책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77 <표 19-2> 1997~2012년 인적자원개발정책 관련 분야별 과제 추진 현황 678 <표 19-3> 1998~2012년 일자리 창출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79 <표 19-4> 1997~2012년 일자리 창출 관련 분야별 과제 추진 현황 680 <표 19-5> 1997~2012년 고용․직업능력개발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81 <표 19-6> 1997~2012년 고용․직업능력개발 관련 분야별․주체별․성격별 과제 추진 실적 682 <표 19-7> 1997~2012년 직업교육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83 <표 19-8> 1997~2012년 진로교육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85 <표 19-9> 1997~2012년 진로교육 관련 분야별 과제 추진 현황 686 <표 19-10> 1997~2012년 자격제도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87 <표 19-11> 1997~2012년 자격제도 관련 분야별 과제 추진 현황 688 <표 19-12> 1997~2012년 국제협력 관련 과제 추진 실적 689 <표 19-13> 1997~2012년 국제협력 관련 분야별 과제 추진 현황 690 <표 19-14> 중․장기 발전목표(경영목표) 개편(안) 716 <표 20-1> 기업규모에 따른 재직자훈련 지원 743 [그림 2-1] 노동시장과 직업능력개발시장 15 [그림 2-2] 한국과 OECD 국가의 학업성취도 비교 23 [그림 2-3] 한국과 OECD 국가의 주당 학습시간 비교 24 [그림 2-4] 대졸 신입사원 1인당 순교육비용 25 [그림 2-5] OECD 국가의 평생교육/직업 관련 비형식 학습 참여율 26 [그림 2-6] OECD 국가의 평생학습 참여율과 1인당 GDP 27 [그림 2-7] OECD 국가의 연평균 근로시간과 노동시간당 GDP 28 [그림 2-8] OECD 국가의 GDP 대비 기술수지(2008년) 29 [그림 2-9] OECD 국가의 1인당 GDP 수준과 고용률(2008년) 30 [그림 2-10] OECD 국가의 1인당 GDP 수준과 연령대별 고용률(2010년) 31 [그림 2-11] 인력수급 불일치(2011년) 32 [그림 2-12] 양질의 일자리와 인력공급 불일치 32 [그림 2-13]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인력부족률 비교 33 [그림 2-14]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인력사정(BSI: 기업조사지표) 33 [그림 2-15] 지역경제통합의 형태 35 [그림 2-16] 물 부족 전망(1967~2099년) 39 [그림 3-1] 평생직업능력개발의 개념 50 [그림 3-2] 직업능력개발훈련 체계 51 [그림 3-3] 연도별 직업능력개발사업(고용보험기금) 예산 현황 55 [그림 3-4] 실업자훈련 예산의 고용보험기금 직업능력개발 사업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64 [그림 4-1] 우리나라의 직업교육체제 80 [그림 5-1] 진로교육의 기본철학 8가지 120 [그림 5-2] 진로교육의 성과와 역할 121 [그림 5-3]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인간상․교육내용․교육과정 편제 123 [그림 5-4] 학교급별 진로개발 역량의 수준 130 [그림 5-5] 교육인적자원부 중심의 수직적 진로교육 역할분담 체제 모형(안) 140 [그림 6-1] 국가자격 활용 실태조사 183 [그림 6-2] 자격분쟁조정위원회의 역할(예시) 195 [그림 7-1] OECD 국가의 연령집단별 고등교육 진학률(2009년) 213 [그림 7-2] 전공계열별 초과공급률(2011~2020년) 214 [그림 7-3] 전공별 논문 추이 219 [그림 8-1] ODA 규모 및 GNI 대비 비율 전망 250 [그림 9-1] 중소기업 및 대기업의 일자리 규모 변화 추이 282 [그림 9-2] 학생의 진로경로에 따른 노동시장 진입 규모 285 [그림 9-3] 연령별․학력별 월평균 임금 격차 287 [그림 9-4]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의 장애 요인 289 [그림 9-5] 취업 매칭 시스템 295 [그림 9-6]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방향(안) 307 [그림 9-7]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 활성화를 위한 비전과 과제(안) 309 [그림 9-8] 진로 전환 지원을 위한 직업교육-직업훈련 연계 방안(예) 311 [그림 10-1] 자격을 통한 교육훈련과 일의 연계 323 [그림 10-2] 자격제도의 하위 체제 325 [그림 10-3] 자격 하위 체제별 논의 주제 332 [그림 10-4] 숙련수요 변화 및 신설 자격종목 파악 절차 337 [그림 10-5] 자격제도 운영 평가 범위와 내용 341 [그림 10-6] 자격정보 홈페이지의 문제점(복수응답) 347 [그림 10-7] 숙련수요 분석 및 자격종목 신설을 위한 네트워크 353 [그림 11-1] 선취업 후진학 지원제도의 개념 및 범위 366 [그림 11-2] 선취업 후진학 지원제도 개념도 368 [그림 11-3] 특별전형 중 기회균등전형 모집 상한 연도별 개편 내용 375 [그림 12-1] 가구 조사에서 고용형태상 분류 408 [그림 13-1] 지역파트너십 구조 457 [그림 14-1] 훈련의 수요 480 [그림 14-2] 개별 훈련기관의 공급곡선 482 [그림 14-3] 직업능력개발시장 수요와 공급 483 [그림 14-4] 기업체의 수요가 높은 훈련지원 성과 485 [그림 14-5] 기업체의 수요가 낮은 훈련지원 결과 486 [그림 14-6] 현장수요 확인 사례 500 [그림 14-7] 현장수요 반영 방법 501 [그림 15-1]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고령화 514 [그림 15-2] 2011∼2020년 연령대별 경제활동인구 변화 517 [그림 15-3] 퇴직연령 비교 519 [그림 15-4] 연령대별 상대적인 빈곤율 520 [그림 15-5] 직업세계 진출 이후 직업능력개발의 강화 540 [그림 16-1] 유로존 경제성장률 및 실업률 추이 556 [그림 16-2] 동아시아가 세계 경제성장을 견인 559 [그림 16-3] 세계경제에서 동아시아 GDP 점유율 560 [그림 16-4] 對 아세안 해외 직접투자 추세(2000~2010년) 562 [그림 16-5]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566 [그림 16-6] 2010~2050년 인구 추계 573 [그림 19-1] 직업교육 관련 분야 과제 주제 분포 684 [그림 19-2] 직업능력개발의 환경 변화와 역할 영역 702 [그림 19-3]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SWOT 707 [그림 19-4] 현행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비전과 전략과제 체계 717 [그림 19-5]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비전과 전략과제 체계 개편(안) 718 [그림 20-1] 우리나라 직업능력개발의 비전과 과제 73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능력개발의 비전과 과제 | 2012.03.30~201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