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II)
A Study on Manpower Supply and Demand Prospect System for Establishment of Higher Education HR Policy(II)
- 저자
- 이의규 이상준 홍광표 김민경 김창환
- 분류정보
- 기본연구(2012-32)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2012.12.31
- 등록일
- 2013.02.18
요약 제1장 서 론_1 제1절 협동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제2절 2차년도 연구의 목적 7 제2장 인력수급전망을 위한 통계 인프라 현황_11 제1절 수요전망과 통계인프라 15 제2절 공급전망과 통계인프라 28 제3절 소결 35 제3장 고등교육 전공분야별 인력공급 현황분석_45 제1절 전문대학 48 제2절 4년제 대학 53 제3절 대학원(석·박사) 64 제4절 소결 73 제4장 고등교육 전공분야별 인력공급 전망_81 제1절 신규인력의 개념과 분석모형 83 제2절 전공분야별 인력공급 전망 90 제3절 소결 118 제5장 고등교육 전공분야별 인력수요 현황 및 전망_123 제1절 전공분야별 인력수요 실태조사 125 제2절 전공분야별 인력수요 전망 145 제3절 소결 155 제6장 정책적 시사점_159 제1절 요약 및 결론 16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65 SUMMARY_171 참고문헌_181 부 록_185 1. 기업체 전공별 인력 분포 조사표 187 2. 고등교육기관 전공별 취업현황 193
○ 본 연구는 2011~2013년 기간의 3개년 시리즈 연구로서 고등학교 인재정책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체제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국민경제 잠재성장력 극대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1차년도에 이어서 2차년도 연구에서는 인력수급 전망 관련 통계의 인프라 구축 현황을 분석하여 미비한 통계자료의 보완을 위한 신규 통계 구축을 제안하는 한편, 전공별 인력수급 전망을 실시하였다.
Importance of workforce development is ever increasing in our society, marked as knowledge-based and low fertility & rapidly aging society. To establish an effective workforce development system, workforce need and supply should be projected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current workforce. Despite their limitations, nationwide aggregate projections are regarded reliable through continuous improvements by researchers. Yet, they seem to fall far short of providing the needed insights into the reliable policies for higher education workforce, ranging from basic statistical infrastructure to projection model development. Therefore, an effective projection system is in need for making efficient and coherent higher education workforce policies aimed at sustainable growth. A multi-year, collaborative study is required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developing a mid and long term projection system for higher education workforce policies, securing its coherence and reliability and enhancing its availability; building up a statistical infrastructure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projection results; and providing workforce projections by major. This 3-year long study (2011-2013) aims to contribute to maximizing the potential of national economy and leading its sustainable growth by providing a mid and long term workforce projection system, which is essential to establishing efficient and effective higher education workforce policies. ...
<표 1-1> 협동연구 연도별 추진계획 6 <표 2-1> 학력별·전공별 인력현황 조사 예시 37 <표 2-2> 설문영역과 문항내용 예시 41 <표 2-3> 인력수급 활용 가능한 자료의 특성과 한계 41 <표 3-1> 전문대학 졸업자/취업자 수 48 <표 3-2> 전문대 재적학생 수 변화 추세 50 <표 3-3> 전문대학 수 및 학과 수 변화 추세 51 <표 3-4> 전문대학 대계열 취업률 52 <표 3-5> 4년제대학 대계열 졸업자/취업자 53 <표 3-6> 4년제 대학수 및 학과수 변화 추세 55 <표 3-7> 대학 진학률 변화 58 <표 3-8> 4년제 대학 대계열 취업률 59 <표 3-9> 연도별 취업률 추이 61 <표 3-10> 미취업자 중 국가고시 준비자 비율(2009년) 62 <표 3-11> 미취업자 중 진학 준비자 비율 63 <표 3-12> 석사 대계열 졸업자/취업자 수 65 <표 3-13> 박사 대계열 졸업자/취업자 수 67 <표 3-14> 석사 대계열 취업률 72 <표 3-15> 박사 대계열 취업률 73 <표 3-16> 전년대비 취업자 증감률 추이(’05~’10) 75 <표 3-17> 교육수준별 고용률 추이(’00~’08년) 75 <표 3-18> 초·중등학교 학생 수 예측(2011~2020) 79 <표 4-1> 지수평활기법을 이용한 예측 모형 89 <표 4-2> 학력별 졸업생 전망 95 <표 4-3>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 97 <표 4-4> 전문대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 100 <표 4-5>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 102 <표 4-6> 대학교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 104 <표 4-7>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대분류 기준 107 <표 4-8> 대학원 졸업생의 전공분야별 전망 결과: 중분류 기준 107 <표 4-9> 학력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0 <표 4-10> 전문대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2 <표 4-11> 전문대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2 <표 4-12> 대학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4 <표 4-13> 대학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4 <표 4-14> 대학원의 전공대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6 <표 4-15> 대학원의 전공중분류별 신규인력 공급 규모 전망 117 <표 5-1> 업종 구분 및 사업장 규모별 모집단 사업체 수 127 <표 5-2> 비례할당이 적용된 표본 사업체 수 129 <표 5-3> 제곱근비례할당이 적용된 표본 사업체 수 130 <표 5-4> 사업장 규모별 표본 조정안 131 <표 5-5> 업종 구분 및 사업장 규모별 표본 사업체 수(최종) 132 <표 5-6> 응답현황 133 <표 5-7> 산업별 가중치 135 <표 5-8> 재직자 산업별 학력별 분포현황 136 <표 5-9> 전문대졸자의 산업별×계열별 분포현황 137 <표 5-10> 대졸자의 산업별ㆍ계열별 분포현황 138 <표 5-11> 대학원 전공-산업별 재직자 현황 139 <표 5-12> 전문대 전공-산업별 신규입사자 현황-전문대 140 <표 5-13> 대학 전공-산업별 신규입사자 현황-대학 141 <표 5-14> 대학원 전공-산업별 신규입사자 현황 142 <표 5-15> 학력-산업별 퇴직자 현황 143 <표 5-16> 2012년 학력-직업별 재직자 현황(가중치 적용) 144 <표 5-17>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수 전망 147 <표 5-18> 산업대분류별 취업자 비중 전망 148 <표 5-19> 학력수준별 취업자 전망 150 <표 5-20> 학력수준별 취업자 비중 전망 151 <표 5-21> 전공별 취업자 전망(고등교육기관) 152 <표 5-22> 전공별 취업자 전망(전문대) 153 <표 5-23> 전공별 취업자 전망(대학) 154 <표 5-24> 전공별 취업자 전망(대학원) 155 [그림 2-1] 직능원 고등교육부문 인력수급 전망 구축 체계도 14 [그림 2-2] 거시경제와 교육시장간의 관계 17 [그림 2-3] 취업통계조사지 39 [그림 2-4] 고등교육기관 졸업 후 노동이동 경로 40 [그림 3-1] 공업계열 졸업자 수 연도별 추이 49 [그림 3-2] 사회계열 졸업자 수 연도별 추이 54 [그림 3-3] 초등학생수 변화 55 [그림 3-4] 중학생 수 변화 56 [그림 3-5] 고등학생 수 변화 56 [그림 3-6]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교 졸업자 수 대비 입학정원 추이 57 [그림 3-7] 대학입학률 57 [그림 3-8] 대학을 졸업한 인구의 비율(2009) 58 [그림 3-9] 연도별 취업률 추이 60 [그림 3-10] 연도별 미취업자의 고용형태 변화 64 [그림 3-11] 석사 – 졸업자 수 66 [그림 3-12] 석사 – 졸업자 수(공학계열 1) 66 [그림 3-13] 석사 – 졸업자 수(공학계열 2) 67 [그림 3-14] 박사 – 졸업자 수 68 [그림 3-15] 박사 – 졸업자 수(공학계열 1) 69 [그림 3-16] 박사 – 졸업자 수(공학계열 2) 69 [그림 3-17] 박사 – 졸업자 수(자연계열) 70 [그림 3-18] 미래 인재 수요 71 [그림 3-19] 고등교육기관 및 학생 수 추이 74 [그림 3-20] 대졸자 첫 일자리 하향취업 비율 76 [그림 3-21] 대졸자 첫 일자리 전공불일치 비율 77 [그림 3-22] 학교급별 학생수 예측치(2006~2030) 78 [그림 4-1] 신규인력공급 전망 절차 91 [그림 4-2] 졸업생 전망 절차 92 [그림 4-3] 학력별 졸업생 수 비중 변화 95 [그림 4-4] 학력별 졸업생 수 현황 및 전망 96 [그림 4-5] 전문대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11~2021년) 상위 5개 전공: 중분류 기준 101 [그림 4-6] 전문대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11~2021년) 하위5개 전공: 중분류 기준 102 [그림 4-7] 대학교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11~2021년) 상위 5개 전공: 중분류 기준 105 [그림 4-8] 대학교 졸업생의 연평균 증가율(2011~2021년) 하위 5개 전공: 중분류 기준 106 [그림 4-9] 학력별 신규인력 공급규모 비중 변화 111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교육 인재정책 수립을 위한 인력수급 전망체제 구축 연구(Ⅱ) | 2012.01.01~2012.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