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Ⅰ- 1> 고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표집 대상과 유효 표본 6
<표 Ⅰ- 2> 학생의 주요 설문내용 7
<표 Ⅰ- 3> 교사의 주요 설문내용 8
<표 Ⅱ- 1> 산업별 국내 총생산 비중에 따른 기간별 평균 성장률 추이 23
<표 Ⅱ- 2>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24
<표 Ⅱ- 3> 직업별 취업자 수, 구성비 전망 및 기간별 증가율 25
<표 Ⅱ- 4> 산업 발전 단계와 중점 필요 인력 26
<표 Ⅱ- 5> 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미국의 기능?기술 인력 추이 27
<표 Ⅱ- 6> 기술?기능 인력의 구성 전망 28
<표 Ⅱ- 7>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 학급, 학생 수, 교원 수 현황 30
<표 Ⅱ- 8> 실업계 고등학교의 설립별 유형에 따른 학교 수 31
<표 Ⅱ- 9>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추이 32
<표 Ⅱ-10>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진학률 추이 33
<표 Ⅱ-11> 과거 10년간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수요 변화의 진단 33
<표 Ⅱ-12> 향후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수요 예측 34
<표 Ⅱ-13> 부모의 자녀 교육 기대 수준 34
<표 Ⅱ-14> 대학 입학 경쟁률 전망 35
<표 Ⅱ-15> 학력별 하향 취업 현황 36
<표 Ⅱ-16>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교육 운영 형태 38
<표 Ⅱ-17> 2+2 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 39
<표 Ⅱ-18> 학생들이 선호하는 연계 교육 기관 40
<표 Ⅱ-19> 교사가 선호하는 직업교육 운영 형태 41
<표 Ⅱ-20> 교육훈련 기관과의 연계 필요성 41
<표 Ⅱ-21> 직업훈련 기관 및 산업체와의 연계 실시 여부 42
<표 Ⅱ-22> 직업교육훈련 기관과의 연계 필요성 42
<표 Ⅱ-23> 교사들이 선호하는 직업교육훈련 기관 43
<표 Ⅲ- 1> 직업 교육과정의 구조 및 운영 요소 58
<표 Ⅲ- 2>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제 6차 교육과정 분석 67
<표 Ⅲ- 3> 실업계 고등학교 학과 운영 현황 69
<표 Ⅲ- 4> 전문 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실업계 교사들의 의견 70
<표 Ⅲ- 5>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71
<표 Ⅲ- 6> 보통 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의견 71
<표 Ⅲ- 7> 전문 교과 내용의 산업체 현장 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72
<표 Ⅲ- 8> 현장 실습이 본래 교육 목표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74
<표 Ⅲ- 9> 교사들이 원하는 연계 분야 74
<표 Ⅲ-10>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공고 ‘2?1 체제’ 교육과정 분석 76
<표 Ⅲ-11>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제 7 차 교육과정 분석 81
<표 Ⅲ-12> 실업계 고등학교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82
<표 Ⅲ-13> 교육과정 총 이수 단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84
<표 Ⅲ-14> 제 6, 7차 교육과정 및 공고 ‘2?1체제’ 교육과정의 편제 비교 85
<표 Ⅲ-15> 공업계 고등학교의 학과군 분류 93
<표 Ⅲ-16> 금속과 전문 교과목과 국가 기술자격 검정(기능사 2급) 과목 비교 95
<표 Ⅳ- 1> Allen의 교수 목표와 교수 매체 간의 상관 관계 112
<표 Ⅳ- 2> 교사의 개별화 교수 전략의 사용 실태 118
<표 Ⅳ- 3> 교사의 효능감 실태 120
<표 Ⅳ- 4> 전공 이론 수업 개선에 대한 학생의 요구 122
<표 Ⅳ- 5> 전공 실기 수업 개선에 대한 학생의 요구 122
<표 Ⅳ- 6> 직업교육 S/W 개발 계획 123
<표 Ⅳ- 7> 재정지원 필요 분야 124
<표 Ⅳ- 8>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125
<표 Ⅳ- 9> 행정 절차에 관한 교원의 요구 127
<표 Ⅳ-10> 교과서 내용의 개선 요구 129
<표 Ⅳ-11> 교사 대상 교수 매체 활용 빈도 130
<표 Ⅳ-12> 교수 매체의 활용 부진 이유 131
<표 Ⅳ-13> 교사가 많이 사용하는 교수 매체 131
<표 Ⅳ-14> 교수 매체 사용의 성과 131
<표 Ⅳ-15> 교수 매체 조작 능력 습득 경로 134
<표 V- 1> 미국의 기술준비 프로그램과 한국의 2+2 연계교육 제도의 비교 152
<표 V- 2> 독일과 한국의 산학 협동 제도 비교 156
<표 V- 3> 외국의 연계교육 사례 및 시사점 161
<표 V- 4> 공업고등학교 부설 직업과정 설치 학교 현황 163
<표 V- 5> 공업고등학교 부설 직업과정 설치운영 및 계획 164
<표 V- 6>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학생 수 현황 165
<표 V- 7> 현재 위탁 운영 중인 직업과정의 교육 분야 현황 166
<표 V- 8>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위탁교육 인원, 자격취득, 취업 현황 167
<표 V- 9>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학교 위탁교육 현황(서울) 169
<표 V-10>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이 각각 선호하는 연계 필요 기관 172
<표 V-11> 교육과정 연계운영 시범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 174
<표 V-12>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전문학교 위탁교육 현황 177
<표 V-13> 양성훈련 대상 인력자원의 추세 178
<표 V-14> 사설학원의 직업별, 학력별 수강자 현황 181
<표 V-15>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연계 필요 기관 193
<표 V-17> 산업체 요구 직무능력과 실업계 고교 교육내용 간의 괴리 정도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견해 208
<표 V-18> 산업체 관리자들이 요구하는 소속산업체 규모별 기업체와 실업계 고등학교간에 필요한 산학협동 분야 208
<표 V-19> 고등학교 중심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 213
<표 Ⅵ- 1>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 의사 217
<표 Ⅵ- 2> 교사 기준 면적 220
<표 Ⅵ- 3> 체육장 기준 면적 220
<표 Ⅵ- 4> 1970년대 특성화 공업고등학교 현황 224
<표 Ⅵ- 5> 공업고등학교와 직업훈련원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편성 비율 (1973~1980) 225
<표 Ⅵ- 6>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현황(1998. 1. 현재) 227
<표 Ⅵ- 7>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현황 조사 및 협의 내용 228
<표 Ⅵ- 8> 부산 디자인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단위 230
<표 Ⅵ- 9> 부산 디자인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편성?운영 내용 230
<표 Ⅵ-10> 동래 원예고등학교 생활원예과의 이수 교과목 232
<표 Ⅵ-11> 동래 원예고등학교 생활원예과의 학년별 교과목 이수 모형 232
<표 Ⅵ-12> 부산 자동차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편성, 운영 내용 234
<표 Ⅵ-13> 정일 디자인고등학교의 교사 및 강사 자격 및 선발 방법 237
<표 Ⅵ-14> 정일 디자인고등학교의 연도별 교사 충원 계획 237
<표 Ⅵ-15> 영상미디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240
<표 Ⅵ-16> 특성화 고등학교의 관심 분야 253
<표 Ⅵ-17> 사업 분야별 학원 현황(1997. 6. 30. 현재) 254
<표 Ⅶ- 1>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학교 수의 변화(1970~1997) 258
<표 Ⅶ- 2>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학생 수의 변화(1990~1997) 258
<표 Ⅶ- 3>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비율의 변화 추이(1990~1997) 259
<표 Ⅶ- 4> 공업고등학교 수준의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 공급 260
<표 Ⅶ- 5> 한국과 일본의 취업자 수 증가율이 큰 중분류 수준의 상위 15개 직업 261
<표 Ⅶ- 6> 향후 고등학교 입학대상 인원 추정 262
<표 Ⅶ- 7> 고등학교 중도 탈락자 현황 263
<표 Ⅶ- 8> 1997년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현황 266
<표 Ⅶ- 9> 교사들의 실업계 고등학교 우수학생 유치 방안 266
<표 Ⅶ-10> 무시험 검정에 따른 최초자격 취득 과정과 종류 269
<표 Ⅶ-11>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출신별 현황 270
<표 Ⅶ-12> 공업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0
<표 Ⅶ-13> 농?수산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1
<표 Ⅶ-14> 상업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1
<표 Ⅶ-15> 실업계 고등학교 관련 과목별 교사 재교육 현황 273
<표 Ⅶ-16>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 수 현황 274
<표 Ⅶ-17> 교사 임용 시험에서 각 영역별 비중에 대한 의견 275
<표 Ⅶ-18> 실기평가를 제외할 경우 대안에 대한 방안 276
<표 Ⅶ-19>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 277
<표 Ⅶ-20> 교사들의 교육훈련 기관 및 산업체 연수 참여 여부 277
<표 Ⅶ-21> 교사들의 희망 연수 프로그램의 형태 278
<표 Ⅶ-22> 실기교육의 중요도 및 가중평균 순위표 280
<표 Ⅶ-23> 실업계 고등학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1997.12 기준) 281
<표 Ⅶ-24>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실험?실습 운영 방안 285
<표 Ⅶ-25>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설치현황(28개소) 287
<표 Ⅶ-26> 농업계 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설치현황(9개소) 287
<표 Ⅶ-27>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산업별 취업 분포 292
<표 Ⅶ-28>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기술자격 취득 현황 297
<표 Ⅶ-29> 자격증 취득에 대한 요구 298
<표 Ⅶ-30> 직반장의 공업고등학교 졸업자 직무 배치시 자격증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 299
<표 Ⅶ-31> 1996년도 사무관련 기능검정 평균 합격률 300
<표 Ⅶ-32> 공업고등학교 기계과 실습교과와 국가기술자격 취득 종목 301
<표 Ⅶ-33> 교사의 교육행정 지원 요구사항 304
<표 Ⅶ-34> 교사의 교육재정 지원 요구 사항 305
<표 Ⅶ-35> 교육부 세출예산(1996) 306
<표 Ⅶ-36> 3개년간(1996~1998)의 교육개혁 예산 현황 309
[그림 Ⅱ-1] 바람직한 직업교육 체제 54
[그림 Ⅲ-1] 직업 교육과정의 요소 연계 56
[그림 Ⅲ-2] 직업 교육과정 운영 체제 59
[그림 Ⅲ-3] 직업 교육과정 구성의 주요 개념 65
[그림 Ⅲ-4]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델 93
[그림 V-1]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교육 학생의 위탁 기관별 자격증 취득률과 취업률의 비교 168
[그림 Ⅴ-2] 진로지도를 위한 연계 체제 192
[그림 Ⅵ-1] 동래원예고등학교 학과 개편 내용 231
[그림 Ⅵ-2]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 242
[그림 Ⅵ-3]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모형 248
[그림 Ⅵ-4] 벤처 기업 사업 분야 255
[그림 Ⅶ-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 취업자의 직종별 진로 상황 293
[그림 Ⅶ-2] 인적, 물적, 정보자원 및 행?재정 지원방안 요약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