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교육체제 개편에 따른 고등학교 직업교육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at the Upper Secondary School under the New Educational System in Korea
저자
이종성 강경종 장명희 김종우 김해동 최지희 옥준필 이용순 주인중 김선태 나현미 강종훈 서창교 이수경 정향진 김영상 변숙영 정지선 이병준 손유미 김덕기 나영선 이현정
분류정보
기본연구(1997-01)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06.20
등록일
1998.06.20
요 약
 Ⅰ .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가. 연구의 필요성 1
    나.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3
    가. 연구의 방법 3
    나. 조사의 대상 및 내용 5
    다. 자료의 분석 8
II . 고등학교 직업교육 체제의 설정 9
  1. 직업교육의 변화와 그 전망 9
    가. 직업교육 개념의 변화와 동향 9
    나. 직업교육의 성격과 역할 변화 16
  2.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환경 변화 22
    가. 산업구조 및 인력 수요의 변화 추이 23
    나.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현황과 교육 시장의 여건 변화 29
  3. 고등학교 직업교육 및 체제에 대한 요구 분석 37
    가. 고등학교 직업교육 체제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 38
    나. 고등학교 직업교육 체제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 40
    다. 고등학교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44
  4.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체제 개편 방향 48
Ⅲ.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방안 55
  1.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성격 및 구조 55
    가. 직업 교육과정의 개념 및 성격 55
    나. 직업 교육과정의 구조 및 운영체제 57
  2.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 방향 60
  3.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64
    가. 교육과정 분석의 기본 설계 64
    나. 제 6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66
    다. 공업계 고등학교 2·1체제 교육과정 분석 75
    라. 제 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80
  4.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방안 89
    가. 고등학교 직업 교육과정의 새로운 운영 체제 89
    나. 실업계 고등학교 92
    다. 일반계 고등학교 97
Ⅳ.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수 매체의 개선 방안 101
  1. 직업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수 매체 101
    가. 직업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수 매체의 특성 101
    나. 직업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수 매체 113
  2. 고등학교 단계 직업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과 교수 매체의 현황 및 문제점 118
    가. 교사의 개별화 교수 방법 118
    나. 교사 및 학생의 정의적 특성 119
    다. 교수 매체 개발·보급 및 홍보 121
    라. 교수 매체 구입, 사용 및 관리 126
    마. 교과서 개선 128
    바. 교수 매체의 활용 130
    사. 교원 연수 133
  3. 고등학교 단계 직업교육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 및 교수 매체 개선 방안 136
    가. 이론과 실습이 통합된 교육의 실현 136
    나. 개별화 교육의 실현 137
    다. 문제해결 능력과 전이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의 실현 138
    라. 체계화된 전문 교과서의 개발 139
    마. 교수 매체의 확보 및 활용률 제고 141
V. 직업교육훈련기관 간의 연계 방안 145
  1. 연계의 필요성 및 개념 145
    가. 연계의 필요성 145
    나. 연계의 개념 146
  2. 직업교육훈련 연계에 관한 외국 사례 분석 148
    가. 미국의 기술준비 프로그램 148
    나. 독일의 이원화 제도 153
    다. 호주의 직업교육훈련 157
    라. 시사점 159
  3. 연계의 현황과 문제점 162
    가. 교육기관 간의 연계 162
    나. 훈련기관과의 연계 176
    다. 산업체와의 연계 179
    라. 기타 사회교육기관의 현황 180
  4. 직업교육훈련의 효율적 연계 방안 184
    가. 교육기관 간의 연계 184
    나. 훈련기관과의 연계 206
    다. 산업체와의 연계 207
    라. 기타 사회교육기관에서의 연계 가능성 및 방안 212
Ⅵ. 고등학교 직업교육기관의 특성화 방안 215
  1.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의 배경 215
    가.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경과 215
    나. 특성화 고등학교 관련 주요 법령 218
    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개념과 성격 221
  2.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특성화 사례 222
    가. 1970년대의 실업계 고등학교 특성화 사례 222
    나. 최근의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사례 226
  3.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과 효과적인 운영 방안 241
    가.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 241
    나.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 244
Ⅶ.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인적, 물적, 정보 자원 및 행·재정 지원 방안 257
  1. 인적 자원 지원 방안 257
    가. 학생 정원조정 및 우수학생 선발 257
    나. 실무능력 중심의 교사양성 및 연수 268
  2. 물적 자원 지원 방안 279
    가. 시설설비의 현대화 279
    나. 시설설비 활용의 효율화 284
  3. 정보 자원 지원 방안 288
    가.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288
    나. 직업교육과 기술자격 검정의 연계 296
  4. 행·재정 지원 방안 303
    가. 직업교육의 여건 개선을 위한 행정지원 체제 강화 307
    나. 교육투자 규모의 확대 및 적정 배분 308
    다. 중앙과 지방자치단체 간의 역할분담 310
    라. 교육개혁의 주체로서 학교의 중심적 역할 강화 311
Ⅷ. 고등학교 직업교육 발전을 위한 제안 315
  1. 정부기관 317
  2. 시·도 교육청 321
  3. 학 교 323
  4. 연구기관 326
참고문헌 329
부 록 343
  1. 학생용 설문지 343
  2. 교사용 설문지 351
ABSTRACT 363
  본 연구는 1996년 교육개혁위원회에서 제시한 신 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Ⅱ) 에 따라 고등학교 단계의 직업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의 각종 문헌과 자료를 분석하고, 직업교육 현장의 요구를 수렴하기 위하여 실업계 고등학교 및 직업과정이 설치된 일반계 고등학교 96개교를 선정하여, 교사 413명, 학생 8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10개의 산업체를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특히 원활한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30명의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였고, 연구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education at the upper secondary school in Korea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various aspects of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pecifically, this study accomplish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vocational education; to develop the system of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 needs analysis for vocational education at the upper secondary school ;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the newly reformed curriculum of vocational education, to improve instructional methods and materials??, to develop the linkage system among educational and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design the support system for informational, material,  human resources, etc..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public statistics were analyzed in order to redefine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o figure out the trends of change of the environment of vocational education.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d to 871 students and 413 teachers from 84 vocational high schools and 12 academic high schools for a needs analysis of vocational education. In addition, Several expertise meetings were held to develop the strategies to improve vocational education. Finally, a symposium were held to  discuss our conclusions about  redefinition of the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policy directions to reform vocational education at the upper secondary school.
...
<표 Ⅰ- 1> 고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표집 대상과 유효 표본	6
<표 Ⅰ- 2> 학생의 주요 설문내용	7
<표 Ⅰ- 3> 교사의 주요 설문내용	8
<표 Ⅱ- 1> 산업별 국내 총생산 비중에 따른 기간별 평균 성장률 추이	23
<표 Ⅱ- 2> 산업별 취업자 수 전망	24
<표 Ⅱ- 3> 직업별 취업자 수, 구성비 전망 및 기간별 증가율	25
<표 Ⅱ- 4> 산업 발전 단계와 중점 필요 인력	26
<표 Ⅱ- 5> 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미국의 기능?기술 인력 추이	27
<표 Ⅱ- 6> 기술?기능 인력의 구성 전망	28
<표 Ⅱ- 7> 실업계 고등학교 학교, 학급, 학생 수, 교원 수 현황	30
<표 Ⅱ- 8> 실업계 고등학교의 설립별 유형에 따른 학교 수	31
<표 Ⅱ- 9>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추이	32
<표 Ⅱ-10>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진학률 추이	33
<표 Ⅱ-11> 과거 10년간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수요 변화의 진단	33
<표 Ⅱ-12> 향후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수요 예측	34
<표 Ⅱ-13> 부모의 자녀 교육 기대 수준	34
<표 Ⅱ-14> 대학 입학 경쟁률 전망	35
<표 Ⅱ-15> 학력별 하향 취업 현황	36
<표 Ⅱ-16> 학생들이 선호하는 직업교육 운영 형태	38
<표 Ⅱ-17> 2+2 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	39
<표 Ⅱ-18> 학생들이 선호하는 연계 교육 기관	40
<표 Ⅱ-19> 교사가 선호하는 직업교육 운영 형태	41
<표 Ⅱ-20> 교육훈련 기관과의 연계 필요성	41
<표 Ⅱ-21> 직업훈련 기관 및 산업체와의 연계 실시 여부	42
<표 Ⅱ-22> 직업교육훈련 기관과의 연계 필요성	42
<표 Ⅱ-23> 교사들이 선호하는 직업교육훈련 기관	43
<표 Ⅲ- 1> 직업 교육과정의 구조 및 운영 요소	58
<표 Ⅲ- 2>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제 6차 교육과정 분석	67
<표 Ⅲ- 3> 실업계 고등학교 학과 운영 현황	69
<표 Ⅲ- 4> 전문 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실업계 교사들의 의견	70
<표 Ⅲ- 5>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71
<표 Ⅲ- 6> 보통 교과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의견	71
<표 Ⅲ- 7> 전문 교과 내용의 산업체 현장 적합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72
<표 Ⅲ- 8> 현장 실습이 본래 교육 목표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74
<표 Ⅲ- 9> 교사들이 원하는 연계 분야	74
<표 Ⅲ-10>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공고 ‘2?1 체제’ 교육과정 분석	76
<표 Ⅲ-11> 직업 교육과정 분석 요소와 제 7 차 교육과정 분석	81
<표 Ⅲ-12> 실업계 고등학교 성격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82
<표 Ⅲ-13> 교육과정 총 이수 단위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	84
<표 Ⅲ-14> 제 6, 7차 교육과정 및 공고 ‘2?1체제’ 교육과정의 편제 비교	85
<표 Ⅲ-15> 공업계 고등학교의 학과군 분류	93
<표 Ⅲ-16> 금속과 전문 교과목과 국가 기술자격 검정(기능사 2급) 과목 비교	95
<표 Ⅳ- 1> Allen의 교수 목표와 교수 매체 간의 상관 관계	112
<표 Ⅳ- 2> 교사의 개별화 교수 전략의 사용 실태	118
<표 Ⅳ- 3> 교사의 효능감 실태	120
<표 Ⅳ- 4> 전공 이론 수업 개선에 대한 학생의 요구	122
<표 Ⅳ- 5> 전공 실기 수업 개선에 대한 학생의 요구	122
<표 Ⅳ- 6> 직업교육 S/W 개발 계획	123
<표 Ⅳ- 7> 재정지원 필요 분야	124
<표 Ⅳ- 8>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	125
<표 Ⅳ- 9> 행정 절차에 관한 교원의 요구	127
<표 Ⅳ-10> 교과서 내용의 개선 요구	129
<표 Ⅳ-11> 교사 대상 교수 매체 활용 빈도	130
<표 Ⅳ-12> 교수 매체의 활용 부진 이유	131
<표 Ⅳ-13> 교사가 많이 사용하는 교수 매체	131
<표 Ⅳ-14> 교수 매체 사용의 성과	131
<표 Ⅳ-15> 교수 매체 조작 능력 습득 경로	134
<표 V- 1>  미국의 기술준비 프로그램과 한국의 2+2 연계교육 제도의 비교	152
<표 V- 2> 독일과 한국의 산학 협동 제도 비교	156
<표 V- 3> 외국의 연계교육 사례 및 시사점	161
<표 V- 4> 공업고등학교 부설 직업과정 설치 학교 현황	163
<표 V- 5> 공업고등학교 부설 직업과정 설치운영 및 계획	164
<표 V- 6> 전국 일반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 학생 수 현황	165
<표 V- 7> 현재 위탁 운영 중인 직업과정의 교육 분야 현황	166
<표 V- 8>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위탁교육 인원, 자격취득, 취업 현황	167
<표 V- 9>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학교 위탁교육 현황(서울)	169
<표 V-10>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이 각각 선호하는 연계 필요 기관 	172
<표 V-11> 교육과정 연계운영 시범 전문대학과 실업계 고등학교 현황	174
<표 V-12> 일반계 고등학생의 직업전문학교 위탁교육 현황	177
<표 V-13> 양성훈련 대상 인력자원의 추세	178
<표 V-14> 사설학원의 직업별, 학력별 수강자 현황	181
<표 V-15>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연계 필요 기관	193
<표 V-17> 산업체 요구 직무능력과 실업계 고교 교육내용 간의 괴리 정도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견해	208
<표 V-18> 산업체 관리자들이 요구하는 소속산업체 규모별 기업체와 실업계 고등학교간에 필요한 산학협동 분야	208
<표 V-19> 고등학교 중심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	213
<표 Ⅵ- 1>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 의사 	217
<표 Ⅵ- 2> 교사 기준 면적 	220
<표 Ⅵ- 3> 체육장 기준 면적 	220
<표 Ⅵ- 4> 1970년대 특성화 공업고등학교 현황	224
<표 Ⅵ- 5> 공업고등학교와 직업훈련원의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편성 비율 (1973~1980)	225
<표 Ⅵ- 6>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현황(1998. 1. 현재)	227
<표 Ⅵ- 7>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 추진 현황 조사 및 협의 내용	228
<표 Ⅵ- 8> 부산 디자인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단위	230
<표 Ⅵ- 9> 부산 디자인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편성?운영 내용	230
<표 Ⅵ-10> 동래 원예고등학교 생활원예과의 이수 교과목	232
<표 Ⅵ-11> 동래 원예고등학교 생활원예과의 학년별 교과목 이수 모형	232
<표 Ⅵ-12> 부산 자동차고등학교의 전문 교과 편성, 운영 내용	234
<표 Ⅵ-13> 정일 디자인고등학교의 교사 및 강사 자격 및 선발 방법	237
<표 Ⅵ-14> 정일 디자인고등학교의 연도별 교사 충원 계획	237
<표 Ⅵ-15> 영상미디어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240
<표 Ⅵ-16> 특성화 고등학교의 관심 분야	253
<표 Ⅵ-17> 사업 분야별 학원 현황(1997. 6. 30. 현재)	254
<표 Ⅶ- 1>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학교 수의 변화(1970~1997)	258
<표 Ⅶ- 2> 실업계 고등학교 계열별 학생 수의 변화(1990~1997)	258
<표 Ⅶ- 3>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비율의 변화 추이(1990~1997)	259
<표 Ⅶ- 4> 공업고등학교 수준의 기능 인력에 대한 수요 공급	260
<표 Ⅶ- 5> 한국과 일본의 취업자 수 증가율이 큰 중분류 수준의 상위 15개 직업	261
<표 Ⅶ- 6> 향후 고등학교 입학대상 인원 추정	262
<표 Ⅶ- 7> 고등학교 중도 탈락자 현황	263
<표 Ⅶ- 8> 1997년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현황	266
<표 Ⅶ- 9> 교사들의 실업계 고등학교 우수학생 유치 방안	266
<표 Ⅶ-10> 무시험 검정에 따른 최초자격 취득 과정과 종류	269
<표 Ⅶ-11>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출신별 현황	270
<표 Ⅶ-12> 공업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0
<표 Ⅶ-13> 농?수산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1
<표 Ⅶ-14> 상업계 사범학과 설치 현황(1997)	271
<표 Ⅶ-15> 실업계 고등학교 관련 과목별 교사 재교육 현황	273
<표 Ⅶ-16>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사 1인당 학생 수 현황	274
<표 Ⅶ-17> 교사 임용 시험에서 각 영역별 비중에 대한 의견	275
<표 Ⅶ-18> 실기평가를 제외할 경우 대안에 대한 방안	276
<표 Ⅶ-19>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  	277
<표 Ⅶ-20> 교사들의 교육훈련 기관 및 산업체 연수 참여 여부  	277
<표 Ⅶ-21> 교사들의 희망 연수 프로그램의 형태 	278
<표 Ⅶ-22> 실기교육의 중요도 및 가중평균 순위표 	280
<표 Ⅶ-23> 실업계 고등학교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현황(1997.12 기준)	281
<표 Ⅶ-24>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실험?실습 운영 방안	285
<표 Ⅶ-25> 공업계 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설치현황(28개소) 	287
<표 Ⅶ-26> 농업계 고등학교 공동실습소 설치현황(9개소)	287
<표 Ⅶ-27>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산업별 취업 분포	292
<표 Ⅶ-28>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의 기술자격 취득 현황	297
<표 Ⅶ-29> 자격증 취득에 대한 요구	298
<표 Ⅶ-30> 직반장의 공업고등학교 졸업자 직무 배치시 자격증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	299
<표 Ⅶ-31> 1996년도 사무관련 기능검정 평균 합격률	300
<표 Ⅶ-32> 공업고등학교 기계과 실습교과와 국가기술자격 취득 종목	301
<표 Ⅶ-33> 교사의 교육행정 지원 요구사항	304
<표 Ⅶ-34> 교사의 교육재정 지원 요구 사항	305
<표 Ⅶ-35> 교육부 세출예산(1996)	306
<표 Ⅶ-36> 3개년간(1996~1998)의 교육개혁 예산 현황	309

[그림 Ⅱ-1] 바람직한 직업교육 체제	54
[그림 Ⅲ-1] 직업 교육과정의 요소 연계	56
[그림 Ⅲ-2] 직업 교육과정 운영 체제	59
[그림 Ⅲ-3] 직업 교육과정 구성의 주요 개념	65
[그림 Ⅲ-4]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델	93
[그림 V-1] 일반계 고등학교 직업교육 학생의 위탁 기관별 자격증 취득률과 취업률의 비교	168
[그림 Ⅴ-2] 진로지도를 위한 연계 체제	192
[그림 Ⅵ-1] 동래원예고등학교 학과 개편 내용	231
[그림 Ⅵ-2] 특성화 고등학교의 유형	242
[그림 Ⅵ-3]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이수 모형	248
[그림 Ⅵ-4] 벤처 기업 사업 분야	255
[그림 Ⅶ-1]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 취업자의 직종별 진로 상황	293
[그림 Ⅶ-2] 인적, 물적, 정보자원 및 행?재정 지원방안 요약	31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교육체계 개편에 따른 고등학교 직업교육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1997.11.01~1998.06.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