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연구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체계화 방안

Policies for Effective System of Career Guidance and Job Security
저자
김병숙 권진희 진미석 정윤경 강일규
분류정보
기본연구(1997-04-05)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연구요약
Ⅰ. 서론	1
   1. 문제의 제기	1
   2. 연구의 목적	2
   3. 이론적 틀	3
   4. 연구의 방법	4
   5. 용어의 정의	4
   6. 연구의 제한점	5
Ⅱ. 우리 나라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여건변화	7
   1. 우리 나라 산업 및 직업전망	7
   2. 노동시장의 변화	12
   3. 생애주기의 변화	18
   4. 직업가치관의 변화	21
   5. 직업정보 생명의 길이 단축화 진행	24
Ⅲ. 우리 나라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현황 	29
   1. 진로지도 	29
   2. 직업안정	75
Ⅳ. 우리나라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문제점 	83
   1. 진로지도	83
   2. 직업안정	92
Ⅴ. 개선 방안	99
   1.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방향	99
   2.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체계화 방안	101
   3. 직업안정	110
참고문헌	115
ABSTRACT	11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의 청소년, 여성, 중 ·고령자, 장애자 등의 진로지도와 직업안정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안을 모색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정책을 제안하는데 있다.
  The importance of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guidance as the effective means for the human resources allocation in the future industrial society  has sharply increased. Under IMF managing system, the un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up to more than 7.0%. Thus, it is urgent to specialize the function of vocational security to enhance the employment of the unemploy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areer guidance system, and suggested policies for the effective system of career guidance and job information. 
...
<표 Ⅰ- 1>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문헌 및 연구논문 수 	4
<표 Ⅱ- 1> 기술개발이 진행될 분야	8
<표 Ⅱ- 2> 신산업 분야의 유망분야	8
<표 Ⅱ- 3> 전문대졸 이상 근로자가 판단되는 유망직종의 분야	9
<표 Ⅱ- 4> 전문대졸 이상 근로자가 판단되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직업	9
<표 Ⅱ- 5> 고학력 미취업자의 취업유망분야	10
<표 Ⅱ- 6> 미국의 향후 취업증가?취업증가율?취업감소가 될 직종(1996~2006) 	11
<표 Ⅱ- 7> 산업구조 변화 추이 및 전망	12
<표 Ⅱ- 8> 우리 나라 직업구조 추이	13
<표 Ⅱ- 9> 직업별 취업전망	13
<표 Ⅱ-10> 회사의 감원계획 유무-사업체 규모별	14
<표 Ⅱ-11> 우리 나라의 실업률	14
<표 Ⅱ-12> 실업전망	15
<표 Ⅱ-13> 우리 나라 성별 실업자 현황	15
<표 Ⅱ-14> 성별?직업별 및 종사자 지위별 취업자 변화율(1998. 8)	16
<표 Ⅱ-15> 학력별 및 연령계층별 실업률 현황	17
<표 Ⅱ-16> 우리 나라 평균수명추이와 전망	19
<표 Ⅱ-17> 성별의 바람직한 진로유형	19
<표 Ⅱ-18> 정치?경제?사회적 변화와 직업가치관	21
<표 Ⅱ-19> 직업의식의 부정적인 요소	22
<표 Ⅱ-20> 일에 대한 헌신?만족감에 대한 추이	23
<표 Ⅱ-21> 한국인의 바람직한 직업의식	24
<표 Ⅱ-22> 우리 나라 대표적 직업정보의 생성기간	25
<표 Ⅱ-23> 사양 또는 사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직업	26
<표 Ⅱ-24> 직업정보와 관련된 기관 및 전문가	27
<표 Ⅲ- 1> 청소년 인구(1995년)	29
<표 Ⅲ- 2> 수퍼의 진로발달단계(청소년기)	30
<표 Ⅲ- 3> 서울시내 진로적성관련 검사현황	31
<표 Ⅲ- 4> 중학교의 직업정보 생산기관	32
<표 Ⅲ- 5> 계열별 월평균소득수준 비교	32
<표 Ⅲ- 6> 계열별 계열 선택시 의논대상비교   	32
<표 Ⅲ- 7> ‘97학년도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현황 	33
<표 Ⅲ- 8> 고등학교계열별 계열변경  의지비교	33
<표 Ⅲ- 9> ‘97 학년도 고졸자의 취업경로별  분포	34
<표 Ⅲ-10> 대학의 진로지도 관련기관의 설치 현황	34
<표 Ⅲ-11> 취업보도기관의 취업알선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35
<표 Ⅲ-12> 직업에 관한 정보 제공원 (학생집단별)	37
<표 Ⅲ-13> 평소의 가장 큰 고민사항	38
<표 Ⅲ-14> 고민에 대한 대화 상대자 	38
<표 Ⅲ-15> 상담받고 싶은 사항	39
<표 Ⅲ-16> 현재의 학교에서 상담을 받아본 경험	39
<표 Ⅲ-17> 여성취업에 대한 태도(1995년도)	40
<표 Ⅲ-18> 주부근로자의 진로형태	41
<표 Ⅲ-19> 여성의 취업형태 (성별)	42
<표 Ⅲ-20> 생애단계별 여성의 취업상태변화	43
<표 Ⅲ-21> 학력별 재취업여성의 복귀기간별 분포	44
<표 Ⅲ-22> 여성취업자의 취업사유	44
<표 Ⅲ-23> 직업정보 제공원(성별)	46
<표 Ⅲ-24> 직업선택시 가장 중요한 요인(성별)	47
<표 Ⅲ-25> 취업시 우선 순위별 어려운점	48
<표 Ⅲ-26> 담당업무와 학교전공과의 일치율	48
<표 Ⅲ-27> 전공과 업무의 도움	49
<표 Ⅲ-28> 고령자의 작업능력의 정당한 평가	51
<표 Ⅲ-29> 중장년?고령자를 위한 효과적인 훈련지도법	52
<표 Ⅲ-30> 평생직업교육훈련체제의 정비(예시)	53
<표 Ⅲ-31> 대학부설 사회교육 과정수 및 정원	53
<표 Ⅲ-32> 대학부설교육기관의 전문기술프로그램	54
<표 Ⅲ-33> 창업관련프로그램유형과 기관	55
<표 Ⅲ-34> 전국의 사설학원현황	55
<표 Ⅲ-35> 지정교육훈련기관의 대표적인 연수프로그램	56
<표 Ⅲ-36> 고령자 적합직종	57
<표 Ⅲ-37> 고령자 직업능력 배양	58
<표 Ⅲ-38> ‘96 고령자 인재은행 취업알선 실적	58
<표 Ⅲ-39> 장애유형별 추정 장애인 현황	59
<표 Ⅲ-40> 장애인 고용의무 사업체 현황	59
<표 Ⅲ-41> 장애인 취업자 및 취업희망 장애인 비율(1995)	60
<표 Ⅲ-42> 장애인 직업훈련 현황	60
<표 Ⅲ-43> 특수학교 졸업자 진로현황	61
<표 Ⅲ-44> 직업재활서비스의 만족도	61
<표 Ⅲ-45> 장애인이 희망하는 지원의 우선 순위	62
<표 Ⅲ-46> 장애인 취업알선 현황	62
<표 Ⅲ-47> 취업알선을 받고 취업이 되지 않은 이유	63
<표 Ⅲ-48> 스트레스 증상	64
<표 Ⅲ-49> 생활 스트레스의 10 순위	65
<표 Ⅲ-50> 연령별 대처행동척도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66
<표 Ⅲ-51> 찾고 있는 직장(일)의 형태	68
<표 Ⅲ-52> 직장제의 여부 및 제의 받은 횟수	68
<표 Ⅲ-53〉구직기간	69
<표 Ⅲ-54> 직장제의를 받지 못한 주된 이유	69
<표 Ⅲ-55> 실직 가능성과 이직사유	70
<표 Ⅲ-56> 훈련기관별 주요 훈련정보원	71
<표 Ⅲ-57> 훈련기관별 훈련생들의 현직종 선택동기 분포도	71
<표 Ⅲ-58> 훈련기관별 훈련생의 희망직종과 훈련받고 있는 직종간의 일치도	72
<표 Ⅲ-59> 훈련기관별 훈련생들의 직종불일치에 대한 주된 이유	72
<표 Ⅲ-60> 취업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사항	73
<표 Ⅲ-61> (해당직종)취업사정에 대해 정보 보유 여부	73
<표 Ⅲ-62> 실업충격완화 프로그램 설치에 대한 생각	74
<표 Ⅲ-63> 훈련내용에 직업의식이나 직장예절 등의 사항 첨가여부	74
<표 Ⅲ-64> 상담원 배치	74
<표 Ⅲ-65> 직업안정망의 기능	75
<표 Ⅲ-66> 직업안정기관 분포(1998. 7.)	76
<표 Ⅲ-67> 직업안정기관별 취업알선현황	77
<표 Ⅲ-68> 직업상담?직업지도?직업정보 관련법규	77
<표 Ⅲ-69> 인력은행 상담실적(1997. 12. 31 현재)	78
<표 Ⅲ-70> 직업안정기관의 직원수 국제비교	78
<표 Ⅲ-71> 직업상담원 소요예상인원 추계	79
<표 Ⅲ-72> 경제활동인구당 취업알선 직원수	79
<표 Ⅲ-73> 구직급여의 소정급여일수	79
<표 Ⅲ-74> 직업정보 및 직업지도 실시 관련기관	80
<표 Ⅲ-75> 연도별 적성검사 실시	81
<표 Ⅲ-76> 직업상담에 필요한 프로그램	81
<표 Ⅳ-1> 교육부 및 노동부의 진로지도 및 직업지도 정책부서의 업무분장	84

[그림 Ⅰ-1] 단계별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 요소	3
[그림 Ⅱ-1] 정년퇴직 후의 생활형태	20
[그림 Ⅱ-2] 직업정보시스템	27
[그림 Ⅲ-1] 진로나 직업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인물 (학생집단별) 	36
[그림 Ⅲ-2] 만약에 실직하게되면 하는 일의 내용	70
[그림 Ⅴ-1] 실업자의 진로지도 및 직업안정의 정책 틀	10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1997.11.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