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연구
직업교육훈련기관의 경쟁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 저자
- 서준호 김수원 김미숙 조은상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7-04-07)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훈련기관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3. 연구의 한계점 3 Ⅱ.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기관의 현황 5 1. 교육훈련공급자로서의 직업교육훈련기관 5 2. 교육훈련기관 및 시설의 현황 10 3. 교육훈련시장의 한계점 40 Ⅲ. 외국의 직업교육훈련시장 현황 43 1. 프랑스 43 2. 영국 46 3. 미국 50 4. 독일 53 5. 일본 56 6. 외국의 직업교육훈련의 시사점 58 Ⅳ. 직업교육훈련시장의 변화와 내부적 변화방향 61 1. 직업교육훈련시장의 변화 추세 61 2. 직업교육훈련기관의 내부적 변화방향 68 Ⅴ.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 및 활용 79 1.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의 목적 및 역할 79 2.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의 관리 81 3.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결과의 활용 93 Ⅵ. 결론 및 제언 97 1. 결론 97 2. 향후의 추진과제 98 참 고 문 헌 101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훈련시장의 과도기적 변화에서 기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직업교육훈련시장의 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직업교육훈련시장의 변화는 열린 시장, 수요자 중심의 시장, 결과지향적 시장, 자율적 시장, 기관들의 연계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시장 변화에 당면하여 직업교육훈련기관들이 어떤 개선 및 변화를 가져와야 할 것인가를 고찰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로서 직업교육훈련기관에 대한 평가의 활용방안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This study was one approach of series of actions aimed at vitaliz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VET) market. Study's topic was the evaluation of VET institutions. Methodology was only used to literature review. We thought the evaluation of VET would b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italization of VET market positively. We reviewed current situation of VET institutions, foreign VET systems, recent trend of VET market. And, we deduced necessary action of VET institutions from changing direction of market, reviewed factors related to introduce evaluation system of VET. In reviewing VET institutions, it was treated to relationship of parties in market, scope of VET institution,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it's types. Types of VET institutions were divided to 5 domains according to laws related. In current situation, it was reviewed open universities, technical colleges, junior colleges, polytechnic college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vocational high schools, and private technical institutes. ...
<표 Ⅱ- 1> 직업교육훈련기관 및 시설의 형태 9 <표 Ⅱ- 2> 산업대학의 현황 11 <표 Ⅱ- 3> 산업대학의 연령별 신·편입 학생 수 12 <표 Ⅱ- 4> 산업대학의 직업별 신·편입 학생 수 14 <표 Ⅱ- 5> 졸업생 및 취업자 현황 15 <표 Ⅱ- 6> 전문대학의 현황 16 <표 Ⅱ- 7> 지역별 전문대학 분포(1997년도 기준) 17 <표 Ⅱ- 8> 전문대학의 입학생 현황 18 <표 Ⅱ- 9> 전문대학의 졸업생 및 취업자 현황 19 <표 Ⅱ-10> 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기술대학 특성비교 21 <표 Ⅱ-11> 연도별 기능대학 분포 23 <표 Ⅱ-12> '97년도 직업교육훈련 23 <표 Ⅱ-13> 전문대학과 기능대학의 교과편성 비교 24 <표 Ⅱ-14> 기능대학 다기능기술자과정 졸업생의 취업실적 24 <표 Ⅱ-15> 1997년도 직업훈련기관 현황 26 <표 Ⅱ-16> 기능정도별 직업훈련인원 수의 추이 27 <표 Ⅱ-17> 공공 직업훈련의 추이 28 <표 Ⅱ-18> 사업내 직업훈련 인원 30 <표 Ⅱ-19> 사업내 직업훈련의 추이 31 <표 Ⅱ-20> 인정직업훈련의 추이 32 <표 Ⅱ-21> 인정직업훈련 인원 32 <표 Ⅱ-22>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반적 현황 33 <표 Ⅱ-23> 계열별 학교수의 추이 34 <표 Ⅱ-24> 계열별 학생수의 추이 35 <표 Ⅱ-25> 졸업생의 진로현황 36 <표 Ⅱ-26> 계열별 교원 수 36 <표 Ⅱ-27> ‘97년도 기술계학원 현황 37 <표 Ⅱ-28> ‘97년도 기술계 학원의 이수기간별·직업별 수강자 수 38 <표 Ⅱ-29> 기술계 학원에 대한 학원총연합회의 과정분류 39 <표 Ⅲ- 1> 영국의 국가기술자격(NVQ)의 등급 49 <표 Ⅴ- 1> 기관별 평가주체 82 <표 Ⅴ- 2> 기관별 평가대상 84 <표 Ⅴ- 3>기관별 평가운영조직 87 <표 Ⅴ- 4> 기관별 평가절차 88 <표 Ⅴ- 5> 기관별 평가비용분담 91 <표 Ⅴ- 6> 기관별 평가주기 93 [그림 Ⅱ-1] 직업교육훈련시장의 구성요소 및 상호관계 7 [그림 Ⅳ-1] 직업교육훈련기관 목적의 특성화 69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1997.11.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