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 연구
직업교육훈련의 국제협력 방안 연구
Research on Progra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저자
- 이영현 홍선이 이남철 이지연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7-04-10)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31
- 등록일
- 1998.12.31
빈도높은 키워드
전문(Full-text) 내 키워드를 추출하고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제공합니다.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국제협력
연구요약 Ⅰ .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3 Ⅱ .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의 분석 틀 5 1. 국제협력의 개념 5 2.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의 내용 6 3.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체계 7 Ⅲ.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 현황 및 문제점 10 1. 우리 나라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의 발전 10 2. 선진국과의 국제협력 16 3. 개발도상국과의 국제협력 28 4. 국제기구를 통한 국제협력 66 Ⅳ .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 개선 방안 102 1. 국제협력의 저변 확대 102 2. 직업교육훈련 정보체제 구축 103 3. 공동연구 지원 104 4. 개발도상국 협력사업 추진체제의 확립 105 참고문헌 109 부 록 111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국제협력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직업교육훈련의 국제협력을 대상을 선진국, 개발도상국, 국제기구로 나누어 국제협력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재의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에 관련된 제도를 개선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표 Ⅱ-1> 직업교육훈련의 국제협력 체계 9 <표 Ⅲ-1> 국제협력의 시대적 구분 11 <표 Ⅲ-2> 우리 나라 직업교육훈련 국제협력의 연혁 15 <표 Ⅲ-3> 수원사업의 현황 16 <표 Ⅲ-4> 국제회의 및 공동연구 추진실적 22 <표 Ⅲ-5> 선진국의 전문가 초청 현황 23 <표 Ⅲ-6> 선진국에 전문가 파견 현황 24 <표 Ⅲ-7> 선진국 원조 기관 연수 26 <표 Ⅲ-8> 국제회의 참가 내역 27 <표 Ⅲ-9> 선진국 원조기관의 원조전략 비교 38 <표 Ⅲ-10> 선진국 원조기관의 조직적 특성 비교 40 <표 Ⅲ-11> 정부개발원조(ODA)의 국제협력 수행 체계 43 <표 Ⅲ-12> 한국의 연도별 ODA실적 44 <표 Ⅲ-13> DAC 회원국의 ODA실적 추이 46 <표 Ⅲ-14> 대 개발도상국 직업훈련 사업 실적 47 <표 Ⅲ-15> 개발도상국 기술연수생 훈련 실적 51 <표 Ⅲ-16> ’91.4-’97.11 KOICA 시행 직업훈련지원사업 현황 54 <표 Ⅲ-17> '87 - ’98 EDCF 차관에 의한 직업훈련지원사업 현황 62 <표 Ⅲ-18> NGO에 의한 직업훈련 지원사업 현황 63 <표 Ⅲ-19> APEC 회원국의 국제협력정책 83 <표 Ⅲ-20> 국가별 프로그램 87 <표 Ⅲ-21> UNDP/ILO 중앙직업훈련원 수원사업 현황 91 <표 Ⅲ-22> 차관도입 및 상환실적 92 <표 Ⅲ-23> APEC 프로그램 훈련 실적 9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직업교육훈련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 1997.11.01~1998.12.31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