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교육훈련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to Develop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dicators
저자
김해동 이의규 강일규 장원섭 김철희 오민경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02)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31
등록일
1998.12.31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가. 연구의 필요성 1
	나. 연구의 목적 3
  2. 연구의 내용 4
	가. 직업교육훈련 지표체제의 범위 설정 4
	나. 국내외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현황 4
	다.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체계 5
	라.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 개발 5
	마.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개발방향 및 제언 6
  3. 연구방법 및 절차 6
	가. 문헌분석 6
	나. 전문가 및 수요자 대상 지표수요조사 6
	다. 전문가 협의회 및 관련전문가 검토 7

Ⅱ.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개념 및 범위 설정 8
  1. 지표의 중요성과 배경 8
	가. 지표개발의 배경 8
	나.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의의 9
  2. 지표의 개념 10
	가. 지표의 성격과 정의 11
	나. 지표의 개발단계 13
	다. 지표의 측정수준 14
	라. 지표의 기능과 한계 16
	마. 지표의 조건과 분류 20
  3. 직업교육훈련지표의 범위 23
	가. 직업교육 25
	나. 직업훈련 25
	다. 기타 직업교육훈련 27

Ⅲ. 국내외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현황 28
  1. 국내 지표개발의 현황 28
	가. 국내 지표 개발의 흐름 28
	나. 각 영역별 지표의 개발과정 30
  2.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국제동향 48
	가. 국제지표 개발의 흐름 48
	나. 직업교육훈련 관련 국제지표 49

Ⅳ.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체계 61
  1. 직업교육훈련지표 체계 개발 61
	가. 직업교육훈련지표 체계 개발 논의 61
	나. 직업교육훈련지표 체계 구성 63
  2.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체계 65
	가. 직업교육훈련의 환경 66
	나. 직업교육훈련의 투입 68
	다. 직업교육훈련의 과정 70
	라. 직업교육훈련의 결과 71
	마. 직업교육훈련의 국제비교 72
  3. 국제비교를 위한 직업교육훈련지표 체계 74
	가. 국제비교지표의 중요성 74
	나. 국제비교 지표체계의 구성근거 75
	다.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국제비교 항목체계 76

Ⅴ.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 개발 83
  1.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선정 83
	가. 사회지표에 나타난 직업교육훈련 관련 항목 83
	나.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 추가설정 90
  2.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 선정 93
	가. 직업교육훈련지표의 항목 선정 93
	나. 설정된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개발단계 97
  3. 직업교육훈련지표 항목별 용어해설 및 산식 112
	가. 직업교육훈련의 환경 112
	나. 직업교육훈련의 투입 125
	다. 직업교육훈련의 과정 135
	라. 직업교육훈련의 결과 149
	마. 직업교육훈련의 국제비교 159

Ⅵ.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개발방향 및 제언 167
  1. 직업교육훈련지표의 개발방향 167
  2. 제언 168

참 고 문 헌 171
Abstract 177
부록1 182
부록2 189
 본 연구는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체계를 개발하고 개별 지표항목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목적은 ①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을 통합하는 지표 체계와 항목 개발, ②직업교육훈련의 정보 및 새로운 자료 구성을 위하여 관련 통계치를 주기적·누적적으로 수집·가공하고, 이러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항목의 개념과 산식 제시, ③현재 개발 가능한 지표와 장래 개발 가능한 지표를 단계별로 제시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직업교육훈련지표」를 발간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develop indicator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Researchers have tried to develop the system and items of indicators to integrate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to prepare the concepts and formula for each item,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dicator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used several research methods. First, we reviewed literature about social indicators related to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 we assessed needs and opinions of educators, researchers, and officials who worked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rea. Third, we had a series of conferences with specialists in this area such as professors, researchers, and officials from ministries.

...
<표Ⅱ-1> 사회지표의 기능 18
<표Ⅱ-2> 사회지표의 분류 22
<표Ⅱ-3> 직업훈련의 형태 26
<표Ⅲ-1> 사회보장심의위원회의 보고서에 포함된 사회개발영역의 추이 32
<표Ⅲ-2> 한국의 사회지표 의 부문구성 33
<표Ⅲ-3> 최근 각 부문별 지표의 세부관심영역 체계 36
<표Ⅲ-4> 1997년 여성통계연보 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38
<표Ⅲ-5> 한국의 청소년 지표 중 교육 부문의 지표 항목 41
<표Ⅲ-6> 한국의 보건복지지표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42
<표Ⅲ-7> 한국의 교육 지표 의 항목 44
<표Ⅲ-8>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중 교육 및 취업·고용 관련 지표 46
<표Ⅲ-9> 근로복지지표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부문 47
<표Ⅲ-10> 사회지표체계의 국제비교 49
<표Ⅲ-11> OECD 사회복지지표 체계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체계 50
<표Ⅲ-12> OECD의 사회지표(1982) 중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체계 51
<표Ⅲ-13> OECD 교육지표(1997) 체계와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53
<표Ⅲ-14> UNESCO 통계연감(1997)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54
<표Ⅲ-15> ILO 세계노동보고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55
<표Ⅲ-16> ILO의 노동통계연감(1997)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지표 56
<표Ⅲ-17> PLI의 교육·노동 지표항목비교 59
<표Ⅳ-1> 직업교육훈련지표 목표영역 환경 의 구성 68
<표Ⅳ-2> 직업교육훈련지표 목표영역 투입 의 구성 69
<표Ⅳ-3> 직업교육훈련지표 목표영역 과정 의 구성 71
<표Ⅳ-4> 직업교육훈련지표 목표영역 결과 의 구성 72
<표Ⅳ-5> 직업교육훈련지표 목표영역 국제비교 의 구성 73
<표Ⅳ-6> 직업교육훈련의 국제 비교를 위한 항목 82
<표Ⅴ-1> 사회지표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교육 부문의 관심영역 변화 85
<표Ⅴ-2> 사회지표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노동 부문의 관심영역 변화 88
<표Ⅴ-3> 교육부문지표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주요항목 91
<표Ⅴ-4> 노동부문지표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주요항목 92
<표Ⅴ-5> 직업교육훈련지표의 체계 및 지표수 95

<그림Ⅱ-1> 직업교육의 범위 24
<그림Ⅳ-1> 지표작성체계도 64
<그림Ⅳ-2> 지표 체계의 체계론적 접근모형 66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교육훈련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1998.05.01~1998.12.31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