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여성 직업훈련 현황과 취업 유망직종의 개발

The Current Status of the Vocational Train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spective Occupations in Employment for Women
저자
나영선 이병준 이현정 고혜원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04)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1.30
등록일
1998.11.30
연구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2
  3. 연구의 방법 4
  4. 연구의 제한 5

Ⅱ. 「일하는 여성의 집」에 대한 개관 7
  1. 운영주체 및 재정현황 7
  2. 훈련직종 개설현황 10
  3. 훈련수료생의 취업현황 12

Ⅲ. 훈련수강생의 특성 및 훈련과정 만족도 분석 17
  1. 훈련수강생의 특성 17
  2. 훈련참여동기 및 경로 21
  3. 훈련과정 만족도 24
	가. 강사 및 교육훈련환경 25
	나. 훈련시간 및 훈련기간 26
	다. 이론 및 실기내용 27
	라. 자격증 취득 도움 정도 28
	마. 훈련수강생들의 개설희망 훈련과정 29
  4. 전직경험 및 취업계획 30
	가. 전직경험 30
	나. 취업계획 31
	다. 희망근로형태 34

Ⅳ. 훈련프로그램 운영현황 및 전문성 제고방안 37
  1. 최근 6개월간 개설된 프로그램과 수강생의 수 37
  2. 훈련직종과 수강생의 참여도 38
  3. 「일하는 여성의 집」의 취업유망 훈련직종 42
	가. 현재 취업이 유망하다고 진단되어 개설된 훈련직종 42
	나. 새로이 개설될 취업유망 훈련직종 43
  4. 훈련직종 개발의 실제 44
	가. 훈련직종 개발의 방법과 기준 44
	나. 훈련직종 개발의 난점(難點) 46
  5. 「일하는 여성의 집」의 교육훈련조직으로서의 전문성 제고방안 47
	가. 인적구성 현황 47
	나. 프로그램 선정과 개발 50
	다. 교육훈련상담과 취업알선상담 50
	라. 운영단체들의 정부에 대한 지원요구사항「일하는 여성의 집」조직운영과 관련하여 52

Ⅴ. 여성 취업유망직종의 개발 55
  1. 교육훈련을 위한 여성 취업유망직종 개발절차 55
	가.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 55
	나. 직업세계의 변화과정 탐색 56
	다. 지역노동시장의 흐름 64
	라. 여성 취업유망분야의 추출 71
	마. 여성 취업유망직종의 개발 72
  2. 분야별 여성 취업유망직종 74
	가. 사무 74
	나. 상담 85
	다. 정보 및 컴퓨터 91
	라. 환경 106
	마. 관광·레저 112
	바. 건강·보건서비스 118
	사. 대행서비스 및 소규모창업 128
  3. 「일하는 여성의 집」훈련직종 적합성 조사 137

Ⅵ. 요약 및 제언 143
  1. 요약 143
  2. 제언 146

참고문헌 147

ABSTRACT 150

부 록 153
  본 연구에서는 민간 여성사회단체가 비정규교육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여성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용,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기획·구성하는 데 있어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미래 직업사회변화에 대한 전망 및 현장의 교육훈련 실시 가능성 등에 기초하여 여성 취업유망직종을 개발·제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as the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 in "The House for Working Women".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of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The House for Working Women" and develop the prospective occupations in employment for women. 
  "The House for Working Women" has been being established since 1993, sponsored by the Korean Ministry of Labour. "The House for Working Women" is designed to suggest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married women who want to return to the workforce. The number of branches was 24 as of October, 1998. "The House for Working Women" is managed by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for women such as YWCA. 
...
<표 Ⅱ- 1>「일하는 여성의 집」 운영실적(1993-1997))	8
<표 Ⅱ- 2>「일하는 여성의 집」 재정현황(1997)	10
<표 Ⅱ- 3>「일하는 여성의 집」의 분야별 개설 훈련직종	11
<표 Ⅱ- 4> 1997년 「일하는 여성의 집」의 취업실적 	13
<표 Ⅱ- 5> 1998년 1/4분기 「일하는 여성의 집」 취업실적	14
<표 Ⅲ- 1> 설문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17
<표 Ⅲ- 2> 설문응답자의 훈련직종	19
<표 Ⅲ- 3> 연령계층별 훈련직종 유형	20
<표 Ⅲ- 4> 교육수준별 훈련직종 유형	20
<표 Ⅲ- 5> 훈련을 받게 된 동기	21
<표 Ⅲ- 6> 현재 수강중인 훈련과정을 알게 된 동기	22
<표 Ⅲ- 7> 수강료에 대한 의견	23
<표 Ⅲ- 8>「일하는 여성의 집」을 선택하게 된 이유 	23
<표 Ⅲ- 9> 현재 수강중인 훈련과정 만족도	24
<표 Ⅲ-10> 중도포기 이유	25
<표 Ⅲ-11> 강사의 실력 및 성의에 대한 만족	25
<표 Ⅲ-12> 훈련환경에 대한 만족도	26
<표 Ⅲ-13> 훈련시간대에 대한 만족도	26
<표 Ⅲ-14> 훈련기간에 대한 만족도	27
<표 Ⅲ-15> 이론내용에 대한 만족도	27
<표 Ⅲ-16> 실기내용에 대한 만족도	28
<표 Ⅲ-17> 자격증 취득에 도움이 되는 정도	28
<표 Ⅲ-18> 개설 희망 프로그램	29
<표 Ⅲ-19> 연령계층별 직장경험 여부	30
<표 Ⅲ-20> 전직경험 기간의 형태	31
<표 Ⅲ-21> 연령계층별 취업계획	32
<표 Ⅲ-22> 학력수준별 취업계획	32
<표 Ⅲ-23> 결혼상태별 취업계획	33
<표 Ⅲ-24> 취업에 대한 기대감	33
<표 Ⅲ-25> 결혼상태별 희망근로형태	34
<표 Ⅳ- 1> 최근 6개월간 개설된 프로그램과 수강생의 수	38
<표 Ⅳ- 2> 수강생들이 선호하는 과정 (1,2 순위)	39
<표 Ⅳ- 3> 수강생들의 참여가 저조한 과정 (1,2순위)	41
<표 Ⅳ- 4>「일하는 여성의 집」의 취업유망 훈련직종	42
<표 Ⅳ- 5> 새로이 개설될 예정인 취업유망한 훈련직종	44
<표 Ⅳ- 6> 직종선정의 방법	45
<표 Ⅳ- 7> 훈련직종개설의 기준	46
<표 Ⅳ- 8> 신규 프로그램 개발시 애로사항	47
<표 Ⅳ- 9>「일하는 여성의 집」의 인적자원구성	48
<표 Ⅳ-10> 누가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대한 상담을 하고 있는가?	51
<표 Ⅳ-11> 누가 취업알선에 대한 상담을 하고 있는가?	51
<표 Ⅳ-12>「일하는 여성의 집」에서 바라는 정부지원 요구사항	52
<표 Ⅴ- 1> 노동부가 전망한 분야별 미래의 유망직종	57
<표 Ⅴ- 2> 미국의 향후 2006년까지의 고용증가율이 높은 30대 직종	63
<표 Ⅴ- 3> 여성취업 집중직종현황(1997)	65
<표 Ⅴ- 4> 지역별 「일하는 여성의 집」 훈련수요 성장/감소 전망	68
<표 Ⅴ- 5> 분야별 개발 직종명칭	72
<표 Ⅴ- 6>「일하는 여성의 집」 훈련직종 적합성 조사 결과	139

[그림 Ⅲ-1] 훈련과정 선택시 상담기관	22
[그림 Ⅲ-2] 훈련수료후의 취업계획	31
[그림 Ⅲ-3] 훈련수료 후 희망하는 일의 종류	34
[그림 Ⅲ-4] 직장취업이나 개인사업 운영시 희망소득액 수준	35
[그림 Ⅲ-5] 직장취업이나 개인사업을 운영하고자 하는 이유	35
[그림 Ⅴ-1] 직종개발의 절차	56
[그림 Ⅴ-2] 분기별 직종별 여성 구인자수	66
[그림 Ⅴ-3] 분기별 직종별 여성 구직자수	67
[그림 Ⅴ-4] 훈련직종 개발모형	73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여성직업훈련 현황과 취업유망직종의 개발 1998.05.01~1998.11.30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