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1> 인력수급의 분석 및 예측 접근방법의 내용 3
<표 I-2> 노동시장 인력수요 증가산업, 증가직업, 감소직업 전망을 위한 과정 4
<표 II-1> ??장래인구추계??와 ?경제활동인구조사?의 15세 이상 인구 비교 10
<표 II-2> 성별?연령계층별 민간인구비율(1995년) 10
<표 II-3> 15세 이상 인구의 전망 11
<표 II-4> 15세 이상 인구의 전망 13
<표 II-5> 총인구 및 인구성장률 추이 14
<표 II-6> 연령계층별 인구구조의 전망 14
<표 II-7> 청년층 인구의 추이 16
<표 II-8> 인구구조의 국제비교 17
<표 II-9> 경제활동인구 및 참가율 추이 18
<표 II-10> 경제활동인구의 구성비 19
<표 II-11>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의 국제비교 22
<표 II-12> 청년층(15-29세)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성 23
<표 II-13> 경제활동참가율의 국제비교 24
<표 II-14> 최근 경제활동참가율의 변동 비교 27
<표 II-15> 연령계층별 남성 경제활동참가율 추정회귀방정식 29
<표 II-16> 연령계층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추정회귀방정식 30
<표 II-17>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1
<표 II-18>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전망 31
<표 II-19> 성별 경제활동인구 규모와 증가율 전망 32
<표 II-20> 경제활동인구 증감의 요인분해 33
<표 II-21> 전체 경제활동참가율의 전망 34
<표 II-22> 초등학교 및 중학생의 졸업생 추이 35
<표 II-23> 고등학교 졸업생의 추이 36
<표 II-24> 고등교육 기관 졸업생수의 추이 37
<표 II-25> 학력구성의 변화(25세이상 성인) 37
<표 II-26> 경제활동인구의 학력 구성 국제 비교(25-64세, 1995) 38
<표 II-27> 연령계층별 최종학력의 국제 비교(1995) 38
<표 II-28> 18-25세 인구의 고등교육 참여율(1995) 39
<표 II-29> 대학정원과 진학률 40
<표 II-30> 직업훈련 대상자의 추이(비진학 청소년) 41
<표 II-31> 고등학교 교육의 계열별 졸업생 구성 42
<표 II-32> 실업계 고교의 계열별 졸업생 배출 추이 43
<표 II-33> 고등학교 교육의 계열별 학생 비중의 국제비교(1995) 43
<표 II-34> 전문대학 졸업생의 계열별 추이 44
<표 II-35> 대학교 졸업생의 계열별 추이 45
<표 II-36> 평생교육 참여자의 비율(1996) 46
<표 II-37> 25-64세의 계속교육 참여율의 국제비교 47
<표 II-38> 25세 이상 인구 중 고등교육기관 재학생수와 비율 47
<표 II-39> 고등학교 졸업생의 진로 및 취업 추이 50
<표 II-40> 실업계 고교 계열별 졸업생의 취업률 추이 51
<표 II-41> 전문대학 졸업생의 진로 및 취업률 52
<표 II-42> 전문대학 졸업생의 계열별 취업률 추이 53
<표 II-43> 일반대학 졸업생의 취업률 추이 54
<표 II-44> 일반대학 졸업생의 계열별 취업률 추이 55
<표 II-45> 남녀간 일반대학 계열별 졸업자의 취업률(1997) 56
<표 II-46> 공학계열의 학과별 남녀 취업률 57
<표 II-47> 이학계열의 학과별 남녀 취업률 58
<표 II-48> 사회계열의 학과별 취업률 58
<표 II-49> 학졸 신규 취업자의 추이 및 학력별 구성 59
<표 II-50> 전공과 직업의 일치도(1996) 62
<표 III-1> 주요국가의 선진제조기술 활용의 애로요인 74
<표 III-2> 산업구조 전망 83
<표 III-3>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87
<표 III-4> 산업 중분류별 취업자수 전망 88
<표 III-5> 주요국가의 산업 대분류별 취업자 구성 (1992년) 90
<표 III-6> 한미일 직업구조 94
<표 III-7> 직업별 취업자수전망 95
<표 III-8> 직업 중분류별 취업자수전망 96
<표 III-9> 독일의 직업전망 100
<표 III-10> 미래세계의 작업조직 전개방향 102
<표 III-11> 미래의 직업세계가 요구하는 노동력의 자질 105
<표 IV-1> 장단기별 노동시장지표의 예 122
<표 IV-2> 추정자료의 임금 및 성별, 학력별, 경력별 근로자속성 127
<표 IV-3> 향후 취업증가인원이 가장 많을 30대 직종(미국) 129
<표 IV-4> 향후 취업증가율이 가장 높을 30대 직종(미국) 130
<표 IV-5> 향후 취업 감소가 가장 심할 30대 직종(미국) 131
<표 IV-6> 전체근로자, 성별 임금함수 추정(1996) 133
<표 IV-7> 소분류(3 digit)별, 남녀별 인력이 부족한 산업별 임금함수 추정 135
<표 IV-8> 소분류(3digit)별, 남녀별 인력이 부족한 직업별 임금함수 추정 140
<표 IV-9> 직접(B/C)방법에 의한 학력별 교육투자수익률 추세치 146
<표 IV-10> 학력별, 성별, 인적자본 투자수익률(1996) 147
<표 IV-11> 학력별, 대 분류별 투자수익률이 기준치 보다 높은 산업 148
<표 IV-12> 학력별 소 분류별 전체근로자 투자수익률 기준 보다 높은 산업 150
<표 IV-13> 학력별 소 분류별 시장이자율 기준보다 투자수익률이 높은 산업 152
<표 IV-14> 학력별 중 분류별 투자수익률이 높은 직종 추정 153
<표 IV-15> 노동시장 기준 보다 투자수익률이 높은 직업 155
<표 IV-16> 학력별 시장이자율 기준보다 투자수익률이 높은 직업 157
<표 IV-17> 학력별, 소분류별 노동시장 투자수익률기준 보다 1/2이하인 직업 160
<표 IV-18> 학력별, 소분류별 시장이자율보다 투자수익률이 1/2이하인 직업 162
<표 IV-19> 인력수요 세세 분류별 증가산업 167
<표 IV-20> 세세분류별 인력수요 증가직업 171
<표 IV-21> 세세 분류별 인력수요 감소직업 176
<표 Ⅴ-1> 전공별?학력별 담당 업무의 분포 183
<표 Ⅴ-2> 담당업무와 전공과의 일치도(문1) 185
<표 Ⅴ-3> 담당 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전공(문7) 186
<표 Ⅴ-4> 담당업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학력(문7) 187
<표 Ⅴ-5> 전공과 자격증 취득 준비과정의 업무에 도움이 되는 정도 188
<표 Ⅴ-6>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받을 의사 191
<표 Ⅴ-7>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 192
<표 Ⅴ-8> 옮기고 싶은 직종의 직업 194
[그림 II-1] 인구성장률 12
[그림 II-2]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 15
[그림 II-3]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남자) (단위 : %) 21
[그림 II-4] 연령계층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여자) (단위 : %) 21
[그림 II-5] 노동력 배출 플로우 (1997년) 60
[그림 II-6] 노동력 배출 플로우(1985년) 61
[그림 II-7] 고등학교 졸업생수 전망 추이 66
[그림 II-8]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수 전망 추이 67
[그림 II-9] 학력별 신규취업자 전망 추이 68
[그림 III-1] 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전망과 직업구조의 변화전망 92
[그림 III-2] OECD 분류에 의한 직업구조의 변화 97
[그림 III-3] 미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의 직업구조전망 99
[그림 III-4]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근로자의 직무능력 106
[그림 V-1] 인력 및 교육계획 입안자가 갖추어야 할 공통능력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