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on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저자
정철영 나승일 서우석 송병국 이종성
분류정보
기본연구(1998-07)
발행기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발행일
1998.12.05
등록일
1998.12.05
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내용 5
  4. 연구의 방법 6
	가. 문헌연구 6
	나. 조사연구 7
	다. 내용분석 7
	라. 전문가협의회 8
  5. 용어의 정의 10
	가. 직업기초능력 10
	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1
  6. 연구의 제한 11
II .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연계 동향 13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5
  2. 교육과정에의 직업기초능력 반영 토대 20
	가. 교육의 개념 측면에서의 토대 21
	나. 교육과정 측면에서의 토대 24
	다. 법적 근거 31
  3.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연계에 대한 37
	가. 미국 37
	나. 영국 65
	다. 호주 85
	라. 독일 104
	마. 뉴질랜드 114
	바. 한국 126
III.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요소 개발 13 1
  1. 직업기초능력 시안 개발 133
	가. 시안 개발 방법 133
	나. 직업기초능력 시안 139
  2. 직업기초능력 시안에 대한 현장조사 145
	가. 현장조사 방법 145
	나. 현장 조사 결과 150
  3. 직업기초능력 최종안 개발 168
	가. 최종안 개발 방법 168
	나. 직업기초능력 최종안 173
IV .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 분석 185
  1.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한 연계 실태 분석 188
	가. 교육과정 내용분석 방법 188
	나.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2
  2.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의 의견조사를 통한 205
	가. 의견조사 방법 205
	나. 의견조사 결과 206
  3. 연계 실태 분석 결과의 종합 및 시사점 233
	가. 연계 실태 분석 결과의 종합 233
	나.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에 주는 시사점 240
V .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강화 방안 247
  1. 직업기초능력 교육 방안 249
	가. 의사소통능력 249
	나. 수리능력 254
	다. 문제해결능력 257
	라.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261
	마. 자원활용능력 266
	바. 대인관계능력 269
	사. 정보능력 275
	아. 기술능력 279
	자. 조직이해능력 282
  2.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전략 286
	가. 교육과정 개발시 반영 전략 286
	나. 교과서 개발시 반영 전략 289
	다.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반영 전략 291
  3.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293
	가. 인식 전환을 위한 지원 294
	나. 교사의 교수- 학습 능력 강화 지원 295
	다. 활성화를 위한 지원 295
	라. 법적·제도적 지원 297
VI. 결론 및 제언 299
  1. 결론 301
  2. 제언 303
	가. 후속 연구 303
	나. 정책적인 과제 304
	다. 활용 방안 306

참고문헌 307

Abstract 313

부록 317
부록 1. 직업기초능력 추출을 위한 질문지(근로자용) 319
부록 2. 직업기초능력 추출을 위한 질문지(고용주용) 325
부록 3. 제7차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명단 331
부록 4. 제7차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 관한 질문지 337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를 분석하여,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우리 나라 일의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요소를 추출한다.
  나.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실태를 분석한다.
  다.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It is absolutely clear that the world is fast changing in terms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Germany and New Zealand have taken a leading role in this developments and they have succeeded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put more efforts on utilizing human resources. In order to prepare the workforce for the future in this respect, we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human resources that we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to be successful, to analyze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designed for grades one through ten) with respect to the  key competencies, and to suggest a model for integrating those skills into the school systems. Th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
<표 Ⅰ- 1> 연구 방법별 연구 내용	8
<표 Ⅱ- 1> 산업체 요구 직무능력과 실업계 고교 교육내용간의 괴리 정도에 대한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견해	29
<표 Ⅱ- 2> 외국 연계교육의 사례	30
<표 Ⅱ- 3> SCANS가 제시한 8가지의 직업기초능력	44
<표 Ⅱ- 4> ASTD의 직업기초능력	45
<표 Ⅱ- 5> Michigan의 직업기초능력	47
<표 Ⅱ- 6> New York의 직업기초능력	48
<표 Ⅱ- 7> NAS의 직업기초능력	50
<표 Ⅱ- 8> SCANS 직업기초능력의 수준 예	54
<표 Ⅱ- 9> 서비스업에 취업하는데 요구되는 SCANS 직무현장능력의 수준	54
<표 Ⅱ-10> 제조업에 취업하는 데 요구되는 SCANS 직무현장능력의 수준	55
<표 Ⅱ-11> New York 직업기초능력 수준의 차원	58
<표 Ⅱ-12> New York 대인관계능력의 수준	58
<표 Ⅱ-13> SCANS Competencies의 교육과정 영역으로의 통합	62
<표 Ⅱ-14> FEU의 직업기초능력 분류	69
<표 Ⅱ-15> GNVQs의 직업기초능력 분류	72
<표 Ⅱ-16> GNVQs의 세가지 필수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	73
<표 Ⅱ-17> NVQs의 직업능력 수준	74
<표 Ⅱ-18> 영국 의무교육 기간의 주요단계	79
<표 Ⅱ-19> Mayer 위원회의 직업기초능력	90
<표 Ⅱ-20> Mayer 위윈회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91
<표 Ⅱ-21> 정보의 수집, 분석 및 조직 능력의 하위 요소	92
<표 Ⅱ-22> 아이디어와 정보의 의사교환능력의 하위 요소	92
<표 Ⅱ-23> 직무 활동의 기획 및 조직능력의 하위 요소	93
<표 Ⅱ-24> 팀 내에서 타인과 조화롭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의 하위 요소	94
<표 Ⅱ-25> 수리적인 아이디어와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94
<표 Ⅱ-26> 문제해결 능력의 하위 요소	95
<표 Ⅱ-27> 기술공학활용능력의 하위 요소	96
<표 Ⅱ-28> 독일의 교육제도	106
<표 Ⅱ-29> 교육과정 통합 연구학교의 초점	123
<표 Ⅱ-30> 통합 교육과정 탐구 연구 - 의상술	125
<표 Ⅱ-31> 통합 교육 과정 탐구 연구 - 전기	126
<표 Ⅱ-32> 직업기초능력의 영역	128
<표 Ⅱ-33> 직업기초능력의 등급	129
<표 Ⅱ-34> 직업기초능력의 등급 적용 예	129
<표 Ⅲ- 1> 외국의 직업기초능력 설정 방법	133
<표 Ⅲ- 2> 국내외의 직업기초능력 종합	136
<표 Ⅲ- 3> 직업기초능력 시안 현장조사를 위한 산업 구분	146
<표 Ⅲ- 4> 직업기초능력 시안과 조사 도구 문항과의 관계	148
<표 Ⅲ- 5> 근로자의 일반 사항	151
<표 Ⅲ- 6> 고용주의 일반 사항	154
<표 Ⅲ- 7> 직업기초능력 관련 업무 내용의 수행 정도	156
<표 Ⅲ- 8> 필요성이 낮게(3.50 미만) 응답된 업무 관련 내용과 해당 직업 기초능력	160
<표 Ⅲ- 9> 근로자와 고용주가 자유 응답한 기타 업무 수행 내용	161
<표 Ⅲ-10> 기타 업무 수행 내용 기록자의 특성	165
<표 Ⅲ-11> 요인분석 결과	170
<표 Ⅲ-12> 우리 나라의 직업기초능력	184
<표 Ⅳ- 1> 교육과정 내용분석 틀	189
<표 Ⅳ- 2>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2
<표 Ⅳ- 3>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4
<표 Ⅳ- 4>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5
<표 Ⅳ- 5>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7
<표 Ⅳ- 6>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8
<표 Ⅳ- 7>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9
<표 Ⅳ- 8>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201
<표 Ⅳ- 9>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202
<표 Ⅳ-10>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203
<표 Ⅳ-11>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204
<표 Ⅳ-12> 조사 도구의 구성 내용	205
<표 Ⅳ-13> 학교 교육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	206
<표 Ⅳ-14> 직업기초능력의 학교교육 영역별 반영 정도	208
<표 Ⅳ-15> 교육과정 개발시 반영 정도	209
<표 Ⅳ-16> 교과서 개발시 반영 정도	210
<표 Ⅳ-17> 교수-학습 과정에의 반영 정도	211
<표 Ⅳ-18> 특별 활동에의 반영 정도	212
<표 Ⅳ-19> 재량 활동에의 반영 정도	213
<표 Ⅳ-20>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교과 구성 방법	214
<표 Ⅳ-21>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15
<표 Ⅳ-22> 국어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17
<표 Ⅳ-23> 도덕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18
<표 Ⅳ-24> 사회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19
<표 Ⅳ-25> 수학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0
<표 Ⅳ-26> 과학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1
<표 Ⅳ-27> 실과(기술?가정)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2
<표 Ⅳ-28> 체육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3
<표 Ⅳ-29> 음악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4
<표 Ⅳ-30> 미술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5
<표 Ⅳ-31> 영어과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연계 실태 및 연계 방법에 관한 인식	226
<표 Ⅳ-32> 직업기초능력별 교육과정에 반영된 정도	227
<표 Ⅳ-33> 직업기초능력별 교과서에 반영해야 할 정도	229
<표 Ⅳ-34> 직업기초능력별 교수-학습 과정에 반영해야 할 정도	231
<표 Ⅳ-35> 내용분석 결과와 조사연구 결과의 비교	236
<표 Ⅳ-36> 전체 교육과정 및 각과 교육과정에의 직업기초능력 반영 정도에 대한 인식	239
<표 Ⅳ-37> 전체 교과서 및 각과 교과서 개발시 직업기초능력 반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239
<표 Ⅳ-38> 전체 교수-학습 과정 및 각과 교수-학습 과정시 직업기초능력 반영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239
<표 Ⅴ-1> 국민공통 기본교과별 관련 주요 직업기초능력(예시안)	289

[그림 Ⅰ- 1] 전체 연구 과정	10
[그림 Ⅱ- 1]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27
[그림 Ⅱ- 2] “Learning A Living” 체제	59
[그림 Ⅱ- 3] 영국의 교육제도	76
[그림 Ⅱ- 4] 학문자격증과 직업자격증의 관계	85
[그림 Ⅱ- 5] 호주의 지역별 학교제도의 구조와 형태	99
[그림 Ⅱ- 6] 의무교육 이후의 호주 교육제도	101
[그림 Ⅱ- 7] 호주의 자격 구조	103
[그림 Ⅱ- 8] 뉴질랜드 교육과정의 틀	120
[그림 Ⅱ- 9] 뉴질랜드의 교육제도	122
[그림 Ⅲ- 1] 직업기초능력 최종안 개발 과정	174
[그림 Ⅳ- 1] 내용분석 절차 모형	191
[그림 Ⅳ- 2] 학교교육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인식 정도 	207
[그림 Ⅳ- 3] 교육과정 개발시 반영 정도	209
[그림 Ⅳ- 4] 교과서 개발시 반영 정도	210
[그림 Ⅳ- 5]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반영 정도	211
[그림 Ⅳ- 6] 특별 활동에의 반영 정도	212
[그림 Ⅳ- 7] 재량 활동에의 반영 정도	213
[그림 Ⅳ- 8] 교과별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234
[그림 Ⅳ- 9] 직업기초능력별 직업기초능력의 교육과정 반영 정도	235
[그림 Ⅴ- 1] 교육부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	289
관련 주제 다른자료의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ㅈ어보
번호 제목 저자 발행일 발행기관 첨부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기본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분석 1998.04.28~1998.12.05 바로가기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홍보팀 · 044-415-355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