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Post-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저자
- 정우현 구병림 강희돈 정철영 손준종 김호동 김선희
- 분류정보
- 기본연구(1998-08)
- 발행기관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발행일
- 1998.12.05
- 등록일
- 1998.12.05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방법 5 Ⅱ. 고등교육 단계 직업교육의 의의 9 1. 고등교육 단계 교육기관의 현황 9 2. 고등교육 단계 직업교육의 의의 14 Ⅲ.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 현황과 문제점 35 1. 일반적 현황과 문제점 35 2. 인력수급차원에서의 직업교육 현황과 문제점 45 3. 고등교육기관 유형별 직업교육 현황과 문제점 50 Ⅳ. 직업교육의 환경변화와 전망 73 1. 교육환경의 변화추이 및 전망 73 2. 산업 및 직업구조의 변화 추이 및 전망 78 3. 산업기술발전 및 인력구조의 변화 추이 및 전망 90 4. 인력 수급의 변화 추이 및 전망 93 5. 직업교육제도 및 정책의 변화 추이 및 전망 100 V. 외국의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개혁 및 발전동향 105 1. 미국 106 2. 영국 133 3. 독일 166 4. 일본 174 5. 중국 177 6.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 181 Ⅵ. 조사 결과 및 해석 183 1. 직업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제도적 측면 183 2. 직업교육의 재정과 운영체제 192 3. 직업교육 프로그램 201 4. 대학 직업교육프램의 실제 211 5.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수 및 직원 238 6. 학생에 대한 서비스 253 7. 부서의 수행 업무 264 8. 부서의 행정 조직운영 280 9. 부서의 직원 및 훈련 289 10. 대학의 직업교육 발전을 위한 개선책에 대한 의견 294 Ⅶ. 고등교육 단계 직업교육 발전 방안 295 1. 원리 295 2. 발전방안 298 Ⅷ. 요약, 결론 및 제언 329 1. 요약 및 결론 329 2. 제언 338 참고문헌 343 ABSTRACT 349 [부록 Ⅰ : 설문지] 352 [부록 Ⅱ : 부록표] 39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고등교육기관의 직업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여러 각도에서 모색해 봄으로써,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체제의 발전과 효율화를 증대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모색한다. <연구의 내용> 첫째, 고등교육단계에서 직업교육의 성격과 역할 등에 대한 의의를 고찰한다. 둘째,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고찰한다. 셋째, 산업구조 및 직업체계의 변화를 전망과, 이러한 전망이 고등교육의 직업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한다. 넷째, 외국의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개혁 및 발전동향을 고찰한다. 다섯째,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요구를 파악한다. 여섯째, 이상의 목적달성을 통하여 고등교육단계에서 직업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원리와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 -문헌연구 : 산업구조 및 직업세계에 대한 전망, 직업교육의 개념 및 목적, 특징, 성격,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의 직업교육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파악한다. -질문지 조사 : 대학에서의 직업교육 체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분석한다. -전문가 협의회 : 연구실행계획 검토 및 연구의 방향과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직업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타당성·실효성을 검토한다. -현장조사 : 현재 대학에서 수행 중에 있는 각종 직업교육 및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과 수행상황을 파악한다. -대학관계자 회의 및 인터뷰 : 고등교육기관에서 직업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도출 및 새로운 대안 직업교육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직업교육 또는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대학관계자들과 상호 협의회를 개최한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한다.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원리로 ①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을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 인식, ②평생학습의 이념에 따라 추진, ③능력계발 중심의 교육수행, ④대학은 학습자의 취업에 책무성을 지님, ⑤학습자와 직업세계의 요구를 반영, ⑥직업교육은 사회평등 기제로서 기능해야 함, ⑦평생에 걸친 진로지도 제공, ⑧산학협동에 기초, ⑨고등교육단계의 직업교육에 관한 계속적 연구 수행, ⑩모든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직업교육은 협력하여야 함 등을 제시한다.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은, ①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제도, ②직업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③학생선발과 학생지도 및 서비스, ④교수, ⑤지원체제(참여증진 방안), ⑥교수·학습과정, ⑦교육시설·설비, ⑧교육재정 부분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대학에서 직접 활용할 수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vocational education in postsecondary institutes including junior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pecific objectives addressed were as follows: 1)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postsecondary level. 2)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s, trends and issues of vocational education at the postsecondary level. 3) To clarify the future direc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responding to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s and occupational systems. 4) To review the reforms and improvements of the selected foreign countries in vocational education. 5) To assess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vocational education at the postsecondary level. 6)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or enhancing vocational education in postsecondary institutes. ...
<표 Ⅰ- 1> 설문지 회수현황 6 <표 Ⅱ- 1> 고등교육 단계 교육기관의 특징 14 <표 Ⅱ- 2>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특성 비교 종합 17 <표 Ⅱ- 3> 미국의 대학학위를 요구하는 직업에서의 고용추이 19 <표 Ⅱ- 4> 새로운 직업교육 패러다임의 특징 20 <표 Ⅱ- 5> ISCO-88 기술수준과 교육의 관계 21 <표 Ⅱ- 6>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로 상황 24 <표 Ⅱ- 7> 고등교육 진학자의 학교 유형별 구성 24 <표 Ⅱ- 8> 주요 국가의 직업세계 진입 연령 32 <표 Ⅲ- 1> 고등 교육 학생수의 변화 38 <표 Ⅲ- 2> 교원 1인당 학생수 42 <표 Ⅲ- 3> 학생 1인당 교지 면적 43 <표 Ⅲ- 4> 학생 1인당 교사 면적 43 <표 Ⅲ- 5> 기술 인력의 보유 현황 및 수요 전망 46 <표 Ⅲ- 6> 산업 기술 인력의 전공별 분포 47 <표 Ⅲ- 7> 학력별?전공별 부족 인원 및 부족률 : 전문대졸 이상 48 <표 Ⅲ- 8> 기술 인력에 대한 만족도 : 학력별 비교 49 <표 Ⅲ- 9> 전문대학 진학 동기 50 <표 Ⅲ-10> 전문대학 졸업 후 상급 학교 진학의 필요성 50 <표 Ⅲ-11> 전문대학에서의 수업 및 성적 처리 강도 51 <표 Ⅲ-12> 전문대학 교육의 취업 기여도 52 <표 Ⅲ-13> 전문대학 교육의 직무 수행상의 기여도 52 <표 Ⅲ-14> 전문대학 교육의 직업 적성 신장에의 기여도 53 <표 Ⅲ-15> 전문대학에의 진학 및 계열(전공) 선택의 타당성 여부 54 <표 Ⅲ-16> 출신 전문대학에 대한 자부심의 정도 54 <표 Ⅲ-17> 당초의 기술 인력 양성 목적의 성취도 55 <표 Ⅲ-18> 직업 교육에 대한 종합적 평가 56 <표 Ⅲ-19> 직업교육의 성과 제고 방안 56 <표 Ⅲ-20> 전문대학의 앞으로 교육 방향 57 <표 Ⅲ-21>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문대학 교육 개선 방안 57 <표 Ⅲ-22> 전문대학의 교육 체제 개선 방향 58 <표 Ⅲ-23> 학력별 취업 직장의 수 59 <표 Ⅲ-24> 학력별 현 직장에 대한 만족도 60 <표 Ⅲ-25> 학력별 현 직장에 대한 불만 사항 60 <표 Ⅲ-26> 학력별 학교 전공(계열)과 직장 담당 업무와의 관련성 61 <표 Ⅲ-27> 기능대학별 개설학과 65 <표 Ⅲ-28> 기능대학별 졸업생 및 재학생수 66 <표 Ⅲ-29> 산업대학 현황 67 <표 Ⅲ-30> 산업대학의 계속교육 기회 제공 기능의 타당성 68 <표 Ⅲ-31> 산업대학의 계속교육 기회 제공 기능의 구현 정도 68 <표 Ⅲ-32> 산업대학의 직업교육 기능의 구현 정도 69 <표 Ⅲ-33> 산업대학의 연령별 신?편입학생 수 69 <표 Ⅲ-34> 일반대학 직업교육의 문제점 70 <표 Ⅳ- 1> 17~34세의 교육단계별?성별 고등교육기관 순취학률 74 <표 Ⅳ- 2> 대학 입학 학령인구 추계 74 <표 Ⅳ- 3> 대학입학정원 변화 추이 및 전망 75 <표 Ⅳ- 4> 고등교육 진학률 변동추이 및 전망 75 <표 Ⅳ- 5> 직업기초능력의 국가별 비교 77 <표 Ⅳ- 6> 산업별 국내총생산비중과 성장률 79 <표 Ⅳ- 7> 산업별 취업자 구성비 80 <표 Ⅳ- 8> 직업군별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 81 <표 Ⅳ- 9> 1992년에 개정된 직업분류체제를 기초로 한 직업군별 종사자의 구성 변화 추이 82 <표 Ⅳ-10> 산업별 국내총생산의 장기 전망 85 <표 Ⅳ-11>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추이 86 <표 Ⅳ-12> 직종별 취업자 변화 추이 86 <표 Ⅳ-13>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구조 변화 추이 87 <표 Ⅳ-14> 한국형 지식기반산업의 개요와 세부업종 88 <표 Ⅳ-15> 성별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참가율 변화 추이 90 <표 Ⅳ-16> 성별?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추이 92 <표 Ⅳ-17> 성별?학력별 경제활동인구 구성비 추이 93 <표 Ⅳ-18> 고등교육의 양적 팽창 추이 94 <표 Ⅳ-19> 계열별 학생수 변화 추이 : 대학교와 전문대학 95 <표 Ⅳ-20>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진로상황 및 취업률 : 대학과 전문대학의 비교 96 <표 Ⅳ-21> 대졸 및 전문대졸 취업자의 직종별 구성비 99 <표 Ⅴ- 1> 전문적인 자격증 및 면허증에 대한 Empire State College의 학점인정 내용 131 <표 Ⅴ- 2>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엠파이어 주립대학의 학점인정 내용 132 <표 Ⅴ- 3> 계속교육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육분야 137 <표 Ⅴ- 4> 옥스퍼드 브룩스대학에서 개설하는 전공과목 138 <표 Ⅴ- 5> 폴리테크닉에서 실시하는 과정 139 <표 Ⅴ- 6> 국가직업자격 수준에 따른 학위, 직업능력 실행 상태 151 <표 Ⅵ- 1> 국가차원의 단일적, 통합적 체제 구축을 위한 의견 185 <표 Ⅵ- 2> 대학에 직업교육프로그램 평가 인정제도 도입에 관한 의견 185 <표 Ⅵ- 3> 평가 인정의 주체 186 <표 Ⅵ- 4> 요구중심 직업교육프로그램 개발 187 <표 Ⅵ- 5> 직업교육프로그램과의 자격제도 연계 188 <표 Ⅵ- 6> 학위와 자격제도 연계에 관한 의견 189 <표 Ⅵ- 7> 직업교육프로그램과 학위 및 자격제도와의 연계 190 <표 Ⅵ- 8> 기업체 및 산업체의 투자에 관한 의견 191 <표 Ⅵ- 9> 교수의 재교육에 관한 의견 192 <표 Ⅵ-10> 대학 예산편성시 교수 및 학생의 의견 수렴 정도 193 <표 Ⅵ-11> 대학의 예산계획이 교수 및 학생에게 공개되는 정도 194 <표 Ⅵ-12> 예산집행의 적시성 195 <표 Ⅵ-13> 대학 예산결산 결과의 교수 및 학생들에게 공개 196 <표 Ⅵ-14> 대학에서의 수익사업에 관한 의견 197 <표 Ⅵ-15> 대학내 연구단지 설립에 관한 의견 199 <표 Ⅵ-16> 대학 창업보육센터에 관한 의견 200 <표 Ⅵ-17> 대학 직업교육기관의 정부지원에 관한 의견 201 <표 Ⅵ-18> 대학의 교육목적에 관한 의견 202 <표 Ⅵ-19> 바람직한 대학의 교육목적에 관한 의견 203 <표 Ⅵ-20>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편성 204 <표 Ⅵ-21> 직업교육프로그램의 목적 205 <표 Ⅵ-22>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우선적인 목적 206 <표 Ⅵ-23> 직업교육에 대한 의견수렴시 우선사항 207 <표 Ⅵ-24> 직업교육에 관한 정보활용의 우선순위 208 <표 Ⅵ-25> 자문위원회 구성원의 우선순위 209 <표 Ⅵ-26> 자문위원회 구성시 각 분야의 인사참여율 210 <표 Ⅵ-27> 직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학의 사명과 목적 제시 여부 211 <표 Ⅵ-28> 직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학의 사명과 목적 이해 여부 212 <표 Ⅵ-29> 대학의 사명과 목적 설정에 있어서 외부인사 참여 여부 212 <표 Ⅵ-30> 직업교육목표의 주기적인 평가 여부 213 <표 Ⅵ-31> 직업교육의 장기계획 수립 여부 214 <표 Ⅵ-32> 장기계획 내용 세부사항 215 <표 Ⅵ-33> 일의 세계 경험을 위한 협동교육 프로그램 실시 216 <표 Ⅵ-34> 전공이 아닌 직업교육프로그램 운영 217 <표 Ⅵ-35> 직업교육프로그램에 학생의 성장·발달을 위한 사항 제시 여부 218 <표 Ⅵ-36> 프로그램의 목표에 구체적인 능력수준 진술 정도 219 <표 Ⅵ-37> 프로그램 목적의 구체적이고 달성가능한 기술 형태 220 <표 Ⅵ-38> 직업교육프로그램 목표의 실용성 여부 221 <표 Ⅵ-39> 직업교육프로그램 내용과 목적의 일치 여부 222 <표 Ⅵ-40> 직업교육프로그램 내용이 기업체·산업체 요구를 반영하는 정도 223 <표 Ⅵ-41> 직업교육프로그램이 학생의 요구반영 정도 224 <표 Ⅵ-42> 직업교육프로그램의 학생에 대한 개방 정도 225 <표 Ⅵ-43> 관련직업의 지식, 기술, 직업습관, 행동유형, 태도 등의 포함 여부 226 <표 Ⅵ-44> 직업교육프로그램에 직무 관련 안전교육내용 포함정도 227 <표 Ⅵ-45> 직업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 구성 정도 228 <표 Ⅵ-46>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시설, 설비 정도 229 <표 Ⅵ-47>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용 기자재 설치 정도 230 <표 Ⅵ-48>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실습용 기자재 설치 정도 230 <표 Ⅵ-49> 직업교육프로그램을 위한 현장실습 정도 231 <표 Ⅵ-50> 직업교육프로그램의 평가실시 현황 232 <표 Ⅵ-51> 학생 성취결과 보존 정도 233 <표 Ⅵ-52> 평가결과를 학생의 발전을 위해 사용하는 정도 234 <표 Ⅵ-53> 외부인사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의 체계적인 평가 정도 235 <표 Ⅵ-54> 교육결과 평가시 양적지표를 사용하는 정도 236 <표 Ⅵ-55> 졸업생에 대한 추수활동 정도 237 <표 Ⅵ-56> 졸업생 추수활동 책무성 정도 238 <표 Ⅵ-57> 교수 확보 정도 239 <표 Ⅵ-58> 교수들의 적절한 학위 240 <표 Ⅵ-59> 교수들의 직무수행 경험 241 <표 Ⅵ-60> 교수들이 학생의 요구 반영 정도 242 <표 Ⅵ-61> 교수들과 기업체와의 연계 정도 243 <표 Ⅵ-62> 교수들의 강의 평가 정도 244 <표 Ⅵ-63> 교수들의 현장기술 체험 정도 245 <표 Ⅵ-64> 충분한 직원수 확보 정도 246 <표 Ⅵ-65> 직원들의 적절한 학위 소지 정도 247 <표 Ⅵ-66> 직원들의 적절한 직무경험 정도 248 <표 Ⅵ-67> 직원들의 재교육 정도 249 <표 Ⅵ-68> 직원들의 직무수행능력 평가 정도 250 <표 Ⅵ-69> 직원들의 임무와 역할 규정 정도 251 <표 Ⅵ-70> 직원들의 임무와 역할에 대한 홍보 정도 252 <표 Ⅵ-71> 보조교원 확보 정도 253 <표 Ⅵ-72> 학생상담 활동 정도 254 <표 Ⅵ-73> 직업교육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정도 255 <표 Ⅵ-74> 학생정보 수집 및 기록 정도 256 <표 Ⅵ-75> 직업교육에 대한 학생고충 및 불만 처리 정도 257 <표 Ⅵ-76> 학생의 학비지원 정도 258 <표 Ⅵ-77> 직업과 관련된 학생활동 장려 정도 259 <표 Ⅵ-78> 직업교육 관련 학생활동과 대학 목적의 일치 정도 260 <표 Ⅵ-79> 학생의 건강과 안전 배려 정도 261 <표 Ⅵ-80> 학생의 직업정치활동에 관련된 의사소통 네트워크 정도 262 <표 Ⅵ-81> 기업체 및 산업체로부터 관련 정보 수집 정도 263 <표 Ⅵ-82> 학생 취업에 관한 정부차원과의 협조 여부 264 <표 Ⅵ-83> 학생 취업에 관한 사적 기관 등과의 협조 여부 266 <표 Ⅵ-84> 원활한 학생 진로지도 수행을 위한 대학내 타 부서와의 협조체제 구비 여부 267 <표 Ⅵ-85> 학생들에게 타 취업기관의 알선 정도 268 <표 Ⅵ-86> 대학내 자문위원회 구성 여부 269 <표 Ⅵ-87> 자문위원회 구성원 270 <표 Ⅵ- 88> 자문위원회 주요업무 271 <표 Ⅵ- 89> 부서의 연보나 정기간행물 발간 여부 273 <표 Ⅵ- 90> 부서 연보나 정기간행물의 주요 보고내용 274 <표 Ⅵ- 91> 학생들에 대한 추수연구 수행 여부 275 <표 Ⅵ- 92> 직업알선활동 전반에 대한 평가 수행 여부 276 <표 Ⅵ- 93> 취업요건 전반에 대한 조사 여부 277 <표 Ⅵ- 94> 연구 수행시의 주요 측면 278 <표 Ⅵ- 95> 진로상담 평가시의 주요 측면 279 <표 Ⅵ- 96> 부서의 유형 280 <표 Ⅵ- 97> 부서의 인원 현황 281 <표 Ⅵ- 98> 부서의 예산확보 방식 282 <표 Ⅵ- 99> 부서의 정책결정 283 <표 Ⅵ-100> 프로그램 이용시 학생들의 요금 부담 여부 284 <표 Ⅵ-101> 학생들의 부서 왕래 편리성 여부 285 <표 Ⅵ-102> 타 학생서비스기관과의 협력을 위한 근접성 여부 285 <표 Ⅵ-103> 부서의 주요 공간 확보 실태 286 <표 Ⅵ-104> 부서 보관 기록 내용 287 <표 Ⅵ-105> 부서에서 사용하는 검사 종류 288 <표 Ⅵ-106> 부서의 필요 정보수집 방식 289 <표 Ⅵ-107> 부서의 전문진로지도 상담요원 배치 현황 289 <표 Ⅵ-108> 부서의 사무직원 배치 현황 290 <표 Ⅵ-109> 부서장과 전문 진로상담요원의 특성 평균 291 <표 Ⅵ-110> 부서장과 진로지도 상담요원들의 취업알선에 대한 전문훈련 경험 여부 291 <표 Ⅵ-111> 부서장과 진로지도 상담요원들의 취업알선에 대한 전문훈련 정도 및 내용 292 <표 Ⅵ-112> 부서장과 전문 진로지도 상담요원의 능력 293 [그림 Ⅱ-1] 바람직한 직업교육 체제 22 [그림 Ⅳ-1] 기술혁신과 경제활동의 범세계화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 83 [그림 Ⅳ-2] 1980년과 1997년의 남녀 경제활동참가율 비교 92 [그림 Ⅳ-3] 고등교육기관 졸업생의 취업률 비교 : 대학교와 전문대학 97
번호 | 제목 | 저자 | 발행일 | 발행기관 | 첨부 |
---|
관련 과제 정보전체 1 건
기본 | 고등교육단계 직업교육 발전 방안 연구 | 1998.04.27~1998.12.05 | 바로가기 |
- 보고서·자료 콘텐츠 문의처
- 홍보팀 · 044-415-3557